|| [[파일:Bob_Backlund_bio.jpg|width=100%]] || ||<#4169E1><:> '''{{{+5 {{{#000 Bob Backlund}}} }}}''' || [목차] == 프로필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Bob_Backlund_pro.png|width=100%]]}}} || ||<-2>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e5b827 '''본명'''}}} || Robert Lee "Bob" Backlund || || {{{#e5b827 '''출생일'''}}} || [[1949년]] [[8월 14일]] || || {{{#e5b827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미네소타 주]] 프린스턴 || || {{{#e5b827 '''신장'''}}} || '''185cm''' || || {{{#e5b827 '''체중'''}}} || '''109kg''' || || {{{#e5b827 '''피니시 무브'''}}} || '''[[슬리퍼 홀드|크로스페이스 치킨 윙]]''' [br] '''[[프로레슬링/기술/핀 #s-2.10|재패니스 레그롤 클러치]]''' || || {{{#e5b827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드 스쿨|올드 스쿨]]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e5b827 '''주요 커리어'''}}} || NWA 웨스턴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NWA 조지아 태그팀 챔피언 1회 [br] NWA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1회 [br] NWA 미주리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EWF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WWE 챔피언십|WWWF 헤비웨이트/WWF 챔피언]] 2회''' [br]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WAR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 1회 || == 소개 == [youtube(aNMPFS_3tuk)] [[미국]]의 前 [[프로레슬러]]로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다. == 커리어 == [[파일:밥 백런드.jpg]] 왈도프 대학교 신입생 시절부터 올 아메리칸에 선정될 정도로 만능 스포츠맨이었던 백런드는 NCAA 챔피언 자리에도 오르는 등 아마추어 스포츠에서 활약한다. 그러다 1973년 에디 샤키의 가르침을 받아 본격 프로로 전향했고, [[AWA]]에서 활동을 시작한다. 아마추어 레슬링으로 다져진 훌륭한 기초 덕분에 이내 인기 선수가 되었고,[* AWA는 회장 [[번 가니에]]가 아마추어 레슬러 출신이라 테크니션을 기본적으로 우대했다.] 1974년에는 [[NWA(프로레슬링)|NWA]]로 넘어가 [[텍사스]] 지역에서 활동했고, 도리 펑크 주니어를 꺾고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데 성공한다. 1975년에는 GCW로 넘어갔고, 여기서는 제리 브리스코와 태그팀 챔피언에 올랐고 그외에도 CWF, 세인트루이스 클럽 등지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챔피언에 등극한다. [[파일:bob_backlund_promotional_image_smiling_wwf_wwf_championship.jpg]] 1977년 [[빈스 맥마흔 시니어]] 휘하의 [[WWE|WWWF]]에 들어간 밥 백런드는 데뷔 4개월 만에 [[빌리 그레이엄(프로레슬러)|'슈퍼스타' 빌리 그레이엄]]과 타이틀 매치를 갖게 된다. 첫 대결에서는 카운트 아웃으로 패배했지만 백런드는 굴복하지 않고 계속된 도전 끝에 1978년 2월 2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흥행에서 빌리 그레이엄을 이기고 [[WWE 챔피언십|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챔피언에 오른 백런드는 스피로스 아리온, [[미스터 푸지]], 이반 콜로프, 조지 '애니멀' 스틸 등 당대 선수들과 대결했으며 당대 NWA 월드 챔피언이었던 할리 레이스와 WWWF VS NWA 대결에서 무승부를 거뒀고, 이후로도 NWA 출신의 몇몇 챔피언들로부터 WWWF를 지킨다. [[파일:밥 백런드 WWF.png]] 1980년대에는 피터 마이비아와 팀을 이루어 태그팀 챔피언십에도 도전하지만 피터 마이비아가 배신하는 바람에 둘의 대립이 시작되었고, 이 대립은 방송에서 쌍욕이 나올 정도로 매우 격하게 진행되었었다. 이후 페드로 모랄레스와 태그팀을 맺어 활동했고, 1982년부터는 애드리안 아도니스, 밥 오턴, [[빅 존 스터드]], [[서전 슬로터]] 등 초기 1980년대 선수들과 대결을 가졌다. 이렇게 그는 골든 제네레이션 시절 이전까지 WWWF를 책임졌다. [[파일:아이언 쉬크 VS 밥 백런드.jpg]] 1983년 [[헐크 호건]]이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하자 기존의 장발의 훈남 이미지에서 짧은 머리와 아마추어 레슬링 복장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1983년 12월 26일 당대 최악의 악당으로 활동했던 [[아이언 쉬크]]에게 [[카멜 클러치]]에 걸려 결국 항복했고, 그렇게 5년 간의 긴 챔피언 커리어를 마무리 짓게 된다. 1984년 8월 살바도르 벨로모를 꺾은 뒤 WWF를 떠나 잠깐 AWA에서 활동했고, 당시 일본의 U계열 단체였던 UWF 인터내셔널에서 경기를 가졌지만 백런드는 1차 은퇴를 하게 된다. 1992년 백런드는 다시 WWF로 돌아온다. [[WWF 로얄럼블(1993)]]에서 2번으로 나와 최후의 3인까지 버텼으나 [[요코주나]]에게 탈락 당해 3위에 그쳤고, [[WWF 레슬매니아 IX|레슬매니아 9]]에서는 [[스캇 홀|레이저 라몬]]에게 패하는 수모를 겪는다. [[파일:076_WWE_Encyclopedia_215--a4e0d24be0af4dac0bc5ddc6b7c71fac.jpg]] 1994년 7월 [[빈스 맥마흔]]은 구세대 VS 신세대의 대결을 원했고, 백런드는 당대 월드 챔피언이었던 [[브렛 하트]]와 대결을 하게 된다. 이 대결은 [[WWF 서바이버 시리즈(1994)]]에서 서브미션 매치로 이어졌고, 백런드는 [[브렛 하트]]를 치킨윙 크로스페이스로 꺾고, 약 10년 만에 다시 챔피언에 오른다.[* WWF 사상 최초로 선역과 악역 두 포지션에서 챔피언에 오른 선수이다.] 하지만 챔피언에 오른 3일 뒤 [[하우스 쇼]]에서 [[케빈 내시|디젤]]과 챔피언십 매치에서 3초 만에 잭나이프 파워밤을 맞고 패해 타이틀을 잃는다. 타이틀을 잃은 뒤 [[WWF 레슬매니아 XI|레슬매니아 11]]에서 [[브렛 하트]]와 재대결로 I Quit 매치를 가졌지만 이번에는 패배했고, 다시 WWF를 떠난다. 그 뒤 1999년과 2000년[* 로얄럼블 매치에 깜짝등장하였다.]에 각각 다시 한 번씩 WWF로 돌아와 이벤트에 참여한다. [[파일:밥 백런드 TNA.jpg]] 이후 [[임팩트 레슬링|TNA]]와 인디 단체들에 출전하기도 하고, 2012년에는 WWE에 복귀해 [[히스 슬레이터]]를 상대하는 등, WWE 내외에서 프로레슬러로서 커리어를 이어가다가 2013년에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2016년 5월 5일 [[WWE 스맥다운|스맥다운]]에서부터 [[대런 영]]이 방출될 때까지 그의 멘토 기믹을 수행했다. == 둘러보기 == ||||||||||
<:> [[파일: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jpg]] || ||||||||||<:>'''2008년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WEHOF.jpg|width=100%]]}}} || ||||||||||<:><#1054b5> {{{#e5b827 '''[[2013년|{{{#e5b827 2013년}}}]]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선수'''}}} || ||<:> [[할리 레이스]][br](1979) ||<:>{{{+1 → }}} ||<#FFFFA1><:>'''{{{#000000 밥 백런드[br](1980)}}}'''||<:>{{{+1 → }}} ||<:> [[릭 플레어]][br](1981) || ||<:> [[릭 플레어]][br](1981) ||<:>{{{+1 → }}} ||<#FFFFA1><:>'''{{{#000000 밥 백런드[br](1982)}}}'''||<:>{{{+1 → }}} ||<:> [[할리 레이스]][br](1983)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악역'''}}} || ||<:> [[제리 롤러]][br](1993) || {{{+1 → }}} ||<#FFFFA1><:> '''{{{#000000 밥 백런드[br](1994)}}}''' || {{{+1 → }}} ||<:> [[제리 롤러]][br](1995)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 감동을 준 레슬러'''}}} || ||<:> [[브루노 삼마르티노]][br](1976) ||<:>{{{+1 → }}} ||<#FFFFA1><:>'''{{{#000000 밥 백런드[br](1977)}}}'''||<:>{{{+1 → }}} ||<:> 블랙잭 멀리건[br](1978) || ||<:> 정크야드 도그[br](1980) ||<:>{{{+1 → }}} ||<#FFFFA1><:>'''{{{#000000 밥 백런드[br](1981)}}}'''||<:>{{{+1 → }}} ||<:> [[로디 파이퍼]][br](1982)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신인'''}}} || ||<:> [[릭 플레어]][br](1975) || {{{+1 → }}} ||<#FFFFA1><:> '''{{{#000000 밥 백런드[br](1976)}}}'''|| {{{+1 → }}} ||<:> [[리키 스팀보트]][br](1977) ||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 1978년 || 2월 20일[br][[WWE|WWF]] || [[WWE 챔피언십|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빌리 그레이엄 vs '''밥 백런드''' || || 1982년 || 6월 28일[br][[WWE|WWF]] || [[WWE 챔피언십|W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스틸 케이지 매치[br][[지미 스누카]] vs '''밥 백런드'''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고의 테크니션'''}}}|| ||<:> 창설 ||<:>{{{+1 → }}} ||<:><#FFFFA1>'''{{{#000000 밥 백런드[br](1980)}}}'''||<:>{{{+1 → }}} ||<:> [[테드 디비아시]][br](1981)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가장 과대평가된 선수'''}}}|| ||<:> [[페드로 모랄레스]][br](1982) || {{{+1 → }}} ||<:><#FFFFA1> '''{{{#000000 밥 백런드[br](1983)}}}''' || {{{+1 → }}} ||<:> [[빅 존 스터드]][br](1984)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경기'''}}}|| || 1980년 || 5월 19일[br][[WWE|WWF]] || 텍사스 데스 매치[br]켄 파테라 vs '''밥 백런드''' || ||<-5>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width=20]] {{{#white '''역대 [[월드 태그 리그|{{{#white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 || {{{#000000 '''창설'''}}} || {{{#000000 →}}} || {{{#000000 '''1980'''}}} || {{{#000000 →}}} || {{{#000000 '''1981'''}}} || || {{{#000000 - }}} || {{{#000000 →}}} || '''[[안토니오 이노키|{{{#000000 안토니오 이노키}}}]] & {{{#000000 밥 백런드}}}''' || {{{#000000 →}}} || [[앙드레 더 자이언트|{{{#000000 앙드레 더 자이언트}}}]] & {{{#000000 르네 굴렛}}} || [[분류:1949년 출생]][[분류:1973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밀랙스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스웨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