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철학]][[분류:과학철학]] >'''폐하, 제게는 그 가설이 필요 없었습니다.''' > ------ >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자신의 책에서 신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말하자 라플라스가 대답한 말. [목차] == 개요 == [[인식론]]적 입장 가운데 하나.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데는 [[자연]]적인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가령 위키질을 하려고 컴퓨터를 켰는데 인터넷이 안된다고 하자. 한 가지 설명 방식은 [[컴퓨터]]가 위키에 중독된 주인을 위해 자발적으로 인터넷을 끊어버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설명 방식은 '''초자연적'''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그 대신 '''자연적'''인 설명, 즉 인터넷의 선이 빠졌거나 다른 기술상의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과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니, 오히려 과학과는 떨어지기 힘들다. 자세한 사항은 유용성에서 설명한다. == [[무신론]]과의 관계 == [[철학적 자연주의]]와는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신]]이 초자연적인 뭔가라고 가정하는 한, 철학적 자연주의는 [[무신론]]을 함축한다. 하지만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필연적으로 강한 무신론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물론 그렇다고 [[유신론]]을 옹호한다는 것은 아니다. 비록 강한 무신론이 필연적으로 동반되지는 않지만, 자연현상에 대하여 [[신]] 등을 필요로 하지않는 설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자연현상에서 신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마음에 들지 않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 덕분에 약하게나마 무신론을 옹호한다.[* 뒤에서도 설명하겠지만 과학자들의 거의 대부분은 이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채택한다. 그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과학자들 중에서는 유신론자의 비율이 낮은 편이다.] == 유용성 ==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자연현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연적인 설명을 추구함으로써 [[종교]]를 가진 [[과학자]]들이라고 할지라도 그들의 종교적 신념에 크게 얽매이지 않고 연구를 수행 할 수 있게 해준다.[* 과학자들 중 유신론자의 비율은 낮다. 어쩌면 과학자들의 다수가 신을 믿지 않는 이유가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받아들이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 한계점 == 무엇이 '''자연적'''이냐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이다. 오늘날 틀렸다고 여겨지는 많은 개념들이 고대에는 자연스럽다고 받아들여진 것도 많이 있다. 예컨대, [[플로지스톤]]이나 [[4체액설]] 등도 당대에는 자연적으로 합리적인 설명으로 취급받았다. 공기가 화살에 추진력을 준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이론도 한때는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초자연적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관측결과를 설명하기에 유용하기 때문에 널리 퍼진 개념도 있다. 예를 들면,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중력]] 개념이 제시되었을 당시, 어떤 학자들은 그런 '''초자연적''' 원격작용은 다른 자연적 메커니즘에 의해 설명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 == 오해와 반론 == >나로서는 비전문적인 물리학자로서 물리적 대상들의 존재를 믿고 있으나, 호메로스의 신들의 존재는 믿고 있지 않다. 그리고 나는 이와 다르게 믿는 것은 과학적인 오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식론적 입장에서 볼 때 물리적 대상들과 신들은 오직 정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지, 그 종류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두 종류의 실재들은 오직 문화적인 요청물로서 우리들의 개념에 들어온다. 물리적 대상들에 관한 신화는 다루기 쉬운 구조를 경험의 흐름에 작용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다른 신화들보다 좀더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인식론적으로 가장 우월하다. > ------ > [[윌러드 밴 오먼 콰인]], [[http://zolaist.org/wiki/images/f/f8/%EA%B2%BD%ED%97%98%EC%A3%BC%EC%9D%98%EC%9D%98_%EB%91%90_%EA%B0%80%EC%A7%80_%EB%8F%84%EA%B7%B8%EB%A7%88.pdf|경험주의의 두 도그마]] *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우리가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단히 오만한 태도이다 * 이 또한 흔한 오해이다.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우리가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 [[지식]]의 한계를 인정하며,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일종의 방법론이다. 왜냐하면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어디까지나 [[진리]]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론'''일 뿐이지 '''실체적'''으로 진리가 어떻다고 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관련 문서 == * [[과학적 방법론]] * [[회의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