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hyssenkrupp288-formatted.jpg|width=100%]]}}} || || '''Bagger 288''' || [목차] == 개요 == || [youtube(9JYZ7K5y86k)] || || 배거 288의 위엄. || 배거 288은 [[독일]]의 노천 광산용 [[굴착기]]다. 이름에 붙은 Bagger의 뜻은 굴삭기이며 [[독일어]]로 '''바거'''라고 발음한다. 독일 대사관이나 문화원 등에서 배포하는 자국 홍보 자료에는 꼭 등장하는 독일 중공업의 자존심. 제조사인 [[크루프]](Krupp)사는 이외에도 [[8,8cm FlaK]] 등의 군수품도 만들었으며, 현재는 티센과 합병해서 [[티센크루프]]가 됐다. 거대한 톱니바퀴처럼 생긴 장치는 굴삭기의 버킷을 원형으로 붙인 것이라서 이것을 돌리면 하루에 약 24만 톤의 흙을 퍼 올릴 수 있다. 5년의 제작 기간을 거쳐 1978년에 완성했으며 길이 240m, 높이 96m, 무게 13,500t, 회전반경 100m, 이동속도 0.6km/h이다. 마음만 먹었다면 시속 5km까지는 올릴 수 있지만 이렇게 거대한 물건이 빠르게 움직이면 섬세한 기동이 불가능하다. [[NASA]]의 [[로켓]] 이동기 크롤러 트랜스포터를 제치고 '''지상 최대의 자력 주행 기계'''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현재는 독일 기업인 [[MAN]]에서 제작한 Bagger 293이 뒤이어 기네스북에 올라있다. == 루머 == 덩치가 하도 커서 마음대로 이동하기 힘들다 보니, 이동 경로에 차량 내지는 건물이 있으면 그 건물을 피해 가는 것 보다, 일단 밟아 부수고 지나가고는 나중에 보상금을 지불하는 게 더 싸게 먹힌다는 [[루머]]가 있다. 그 규모를 볼때도 그렇고, 대충 계산까지 해보면 그럴 듯한 발언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애초에 이걸 운용하는 사람들이 꽁돈 나가는걸 용납할 수 있는 종류의 사람이 아닌지라[* 애초에 이 거대한 장비를 유지관리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텐데 한번 움직일 때마다 경로상에 있는 것들을 다 부수고 보상해주는 것을 계속 반복하다보면 유지비와 보상비가 겹치면서 손해가 어마어마하게 쌓일 것이다.] 움직이기 전에 철저히 장애물이 없는 최적의 루트를 계획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전혀 상관없는 건물과 차량을 죄다 박살내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다만 아주 루머도 아닌것이 어쩔 수 없이 포장도로를 지나가게 될 경우 지나가면서 도로를 다 작살내기때문에 보수공사를 한다. == 창작물 == 워낙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탓에 등장하면 압도적인 위압감을 자랑한다. === 레고 === [[파일:external/www.technicfactory.net/Lego-Technic-42055.jpg]] 2016년 상반기에 [[레고]]에서 직접 작동하는 배거 288을 출시했다. 가히 끝판왕이다. 제품번호 42055. 당시에는 [[레고 테크닉]] 역사상 최대 크기의 모델이었으며[* 현재는 높이 1미터가 넘는 [[립헬]] 크롤러 크레인 LR 13000제품이 존재해서 옛말이 되었다.], 사진에 있는 작은 [[덤프트럭#s-3.3]]과[* 사실 배거 모형에 비율을 맞추느라 작게 나와서 그렇지, 저 광산용 덤프트럭(Haul Truck)도 실제로는 적재량이 300t에 이르는 어마어마하게 큰 울트라 클래스 차량이다. 바퀴 높이만 사람 키의 거의 2배 가까이 되고 탑승할 때도 계단으로 올라가야 할 정도. 그 커다란 덤프트럭이 난쟁이로 보일 정도의 비율이면 배거가 얼마나 거대한 녀석인지 짐작 가능하다.][* 위 두번째 사진을 보면 이해가 빠르게 될 것이다.] 바위 역할을 하는 브릭들 역시 별도 판매가 아니라 다 포함되어있다. 브릭 수는 총 3929개이며 가격은 한국 정발가 기준으로 349,900원이다. ||
[youtube(cgOzcFYXVwg)] || || 개인이 레고로 만든 배거. 현재는 제주 브릭캠퍼스에 있다. || === 영상 === * [[아바타(영화)]] 초반에 등장하는 초거대 굴착기의 디자인은 이 기계에서 따온 것이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보르쿠타 미션에서 등장하는데,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고증오류|1978년에 개발된 서독제 굴삭기가 1963년의 소련 수용소에 등장한다.]] 좀비 모드 DLC중 하나인 Rezurrection "MOON" 맵에서도 출연한다.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면 주기적으로 달기지를 파괴하러 오는데, 해킹툴로 스폰 지점에 있는 단말기를 해킹하여 멈추게 할 수 있다. * [[고스트 라이더: 복수의 화신]] 고스트라이더의 지옥불 능력 덕분에 원래 스펙을 씹어먹는 속도로 움직이고, 굴삭 바퀴 부분은 불길에 휩싸인 대형 회전톱날이 되어 적들을 무자비하게 갈아버리는 [[뒤틀린 황천|황천의 뒤틀린 굴삭기]]가 된다. 톱날을 들어올렸다가 내려찍을때마다 폭발을 일으켜 주변 적들을 날려버리는 모습이 압권. *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 메트로플렉스가 배거 288에 어레인지를 가한 형태로 변신한다. 기존 배거 288의 특징인 거대한 크레인 회전삽은 변형시 통째로 떼어내 무기로 사용한다.[* 게다가 완구화로 발매된 모형 시리즈, 특히 구판 리더급도 그렇지만 2022년에 발매한 레거시 타이탄급 모형이 실제 배거처럼 다른 모형들을 압도하는 크기를 자랑한다(56cm).] 또한 [[트랜스포머 2]]에서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데바스테이터]]와 함께 이 배거 288을 토대로 변신하는 로봇도 등장한다는 루머가 있지만 결국은 무산되었다. ||
[youtube(loWWXq_Bz74)] || || 팬메이드 영상. --만약 정말로 나왔어도 이것보다 딸렸을 것 같다-- || * 슈팅 게임 Sine mora 협곡 보스인 PAPA CARLO가 이 굴삭기와 상당히 많이 닮았다. * [[니어:오토마타]] 대형 기계생명체인 [[기계생명체(니어 시리즈)#s-4.2|엥겔스]]는 영락없이 이 굴착기에서 외형을 따왔다. 2페이즈에서는 2대가 몸체와 합체하여 [[거대로봇]]이 되기도 하는 기묘한 보스. * [[데스티니 가디언즈]] 네소스 공격전 중 등장하는 [[기갑단]]의 기계가 이 굴착기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경로상 수호자가 바로 옆을 지나게 되는데, 위압감이 엄청나다. * [[케무리쿠사]] 주요 떡밥이자 오브젝트. 엔딩에 항상 나오는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11화에서 밝혀졌다. * [[유희왕]] [[무한기동]] 카드군의 엑시즈 몬스터인 [[무한기동#s-4.3.1|무한기동 어스셰이커]]와 [[유희왕 SEVENS]]의 신규 [[맥시멈 소환]] 몬스터인 [[환룡중기 웜 Ex커베이터]]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 [[러스트(게임)|러스트]] 지역 중 [[러스트(게임)/지역#s-5.3|거대한 굴착기 구덩이]]도 이 굴착기가 모티브다. 어마무시한 크기를 증명하듯 많은 양의 광석을 캘 수 있다. * [[에이스 컴뱃 5 The Unsung War]] 미션 21 [[SOLITAIRE]]와 미션 22 [[CLOSURE]]에 두 대 나온다. 가만히 멈춰있기만 하며, 미션 21에서는 이동 경로에 따라 침투 작전을 방해하는 존재가 될 수 있고, 미션 22에서는 공격해 파괴할 수는 있으나 큰 덩치 때문인지 완파할 순 없다. 여기서는 이 굴착기들이 있는 광산이 [[벨카 공국]]의 [[핵무기]] 저장고를 겸하기 때문에 정황 상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방사성 물질을 캐고 있을 확률이 높다. * Bagger 288 || [youtube(x4Gtw0iYQkE)] || [youtube(shD4E5Ixj9Y)] || [[Guy Collins Animation]]이 만든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으로 나온다. 끝나기 직전 화면에 뜨는 링크를 누르면 사람들이 감사하며 기념공원을 만드는 영상이 나온다. === 테마송 === [youtube(azEvfD4C6ow)] --건설장비 주제에 테마송도 가지고있다.-- [[분류:1978년 출시]][[분류:건설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