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배리어프리영화란 기존의 [[영화]]에 화면을 설명해주는 '''음성해설'''과 화자 및 대사, 음악, 소리 정보를 알려주는 '''[[배리어프리]] 자막'''을 넣어 모든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영화를 말한다. [[파일:배리어프리영화란.jpg|width=100%]] == 배리어프리영화로 제작된 영화 == === 배리어프리영화로 제작된 단편영화 === ==== 반짝반짝 두근두근 ==== '''영화정보''' 2014년/ 한국/ 극영화/ 단편/ 15분/ 전체관람가/ 감독 김태균[* 영화 암수살인 감독, 2019년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출연 [[박보검]], [[이청아]], [[한상진]], [[김수안]]/ 배리어프리버전 연출 김태균/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권율(배우)|권율]]/ 배리어프리버전 제작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시놉시스''' 시각장애를 가진 온유와 청각장애를 가진 은수는 배리어프리영화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영화를 보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느낀다. '''반짝반짝 두근두근 영화보기''' 영화진흥위원회(KOFIC)의 제작지원으로 제작한 영화 반짝반짝두근두근은 유튜브를 통해 언제든지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 반짝반짝 두근두근 배리어프리버전 [[https://youtu.be/k4cGjHOwKPA]] * 반짝반짝 두근두근 일반버전 [[https://youtu.be/zCF1yVdJolI]] [[파일:반짝두근 배리어프리버전.jpg]] ==== 볼링블링 ==== '''영화정보''' 2017년/ 한국/ 극영화/ 단편/ 10분/ 감독 김아론/ 출연 [[박규리]], [[김흥수(배우)|김흥수]], [[박경혜(배우)|박경혜]], [[정준원]], 이호철/ 배리어프리버전 연출 김아론/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이연희]][* 2017년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 배리어프리버전 제작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시놉시스''' 볼링장 직원 보라는 시각장애를 가진 단골손님 희준에게 호감을 느낀다. 희준은 보라에게 소설 '소리가 나는 드레스'의 내용을 알려주는데... '''볼링블링 영화보기''' 영화진흥위원회(KOFIC)의 제작지원으로 제작한 영화 볼링블링은 유튜브를 통해 언제든지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 볼링블링 배리어프리버전 [[https://youtu.be/FGJsSUPXCDs]] * 볼링블링 메이킹영상 [[https://youtu.be/kqrBEOH8dhs]] [[파일:볼링블링 스틸3.jpg]] ==== 소리 찾기 ==== '''영화정보''' 2022/ 한국/ 극영화/ 단편/ 12분/ 전체관람가/ 감독 전인환/ 출연 임승민, 김시은/ 제작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배리어프리버전 연출 전인환/ 내레이션 [[김보라]]/ 제작지원 영화진흥위원회, 서울산업진흥원 미디어콘텐츠센터배리어프리버전 '''시놉시스''' 영현은 보청기를 낀다. 그 보청기를 빼면 멀리 있는 바다에서 파도치는 소리와 숲의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가 들린다.영현의 귀를 차지하고 있는 그 소리가 어디서부터 들려오는 것인지 소혜는 알고 싶다. 그곳에서는 길을 잃은 영현의 소리가 있을지도 모른다.바다와 숲, 갈대밭을 다니며 소리의 행방을 쫓는 영현과 소혜. 그리고 마침내 소혜는 영현의 소리를 찾는다. '''소리 찾기 영화보기''' * 소리 찾기 배리어프리버전 [[https://youtu.be/IiQBz-eDJBs]] * 소리 찾기 일반버전 [[https://youtu.be/MikDLKIRsX8s]] [[파일:소리 찾기 스틸2.jpg]] [[파일:소리 찾기 스틸.jpg]] === 한국영화 === 2022년 12월 기준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가 제작한 배리어프리영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한국농아인협회에서도 영화진흥위원회의 제작지원으로 가치봄영화라는 이름으로 개봉 한국영화 중 일부를 배리어프리버전으로 만들고 있다.] 중 한국영화는 총 59편이다. 대표작으로는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별의 정원', 극영화 '오마주', '우리들', '아이 캔 스피크', '감쪽같은 그녀', '남매의 여름밤', '벌새'등이 있다. 자세한 정보 및 공동체상영 관람가능작은 [[http://barrierfreefilms.or.kr/board_wSFC32|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 '''{{{#white BF[* 배리어프리버전] 제작연도}}}''' || '''{{{#white 영화제목}}}''' || '''{{{#white 제작연도}}}''' || '''{{{#white 국적}}}''' || '''{{{#white 장르}}}''' || '''{{{#white 길이}}}''' || '''{{{#white 등급}}}''' || '''{{{#white 감독}}}''' || '''{{{#white BF 연출}}}''' || '''{{{#white 내레이션}}}''' || ||2011||블라인드||2011||한국||극영화||111분||청소년관람불가||안상훈||안상훈||서혜정(성우)|| ||2012||[[그대를 사랑합니다(영화)|그대를 사랑합니다]]||2010||한국||극영화||118분||15세||추창민|| ||[[유다인]]|| ||2012||달팽이의 별||2012||한국||다큐멘터리||85분||전체||이승준||이승준||[[김창완]]|| ||2012||[[도가니(영화)|도가니]]||2011||한국||극영화||125분||청소년관람불가||황동혁||황동혁||이진화(성우)|| ||2012||[[도둑들]]||2012||한국||극영화||135분||15세||최동훈||최동훈||서혜정(성우)|| ||2012||[[마당을 나온 암탉(애니메이션)|마당을 나온 암탉]]||2011||한국||애니메이션||93분||전체||오성윤||오성윤||전숙경(성우)|| ||2012||엄마 까투리||2010||한국||애니메이션||28분||전체||정길훈||정길훈||전숙경(성우)|| ||2012||[[완득이(영화)|완득이]]||2011||한국||극영화||107분||12세||이한||이한||[[최강희(배우)|최강희]]|| ||2013||[[7번방의 선물]]||2012||한국||극영화||127분||15세||이환경||이환경||[[차태현]]|| ||2013||[[더 테러 라이브]]||2013||한국||극영화||98분||15세||김병우||김병우||[[준호|이준호]]|| ||2013||사랑의 가위바위보||2013||한국||극영화||35분||12세||김지운||김지운||[[박신혜]]|| ||2014||[[군도: 민란의 시대]]||2014||한국||극영화||137분||15세||윤종빈|| ||[[김성균]]|| ||2014||반짝반짝 두근두근||2014||한국||극영화||15분||전체||김태균||김태균||[[권율(배우)|권율]]|| ||2014||[[변호인(영화)|변호인]]||2013||한국||극영화||127분||15세||양우석||양우석||[[정진영(배우)|정진영]]|| ||2015||[[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2014||한국||극영화||109분||전체||김성호||김성호||[[정겨운]]|| ||2015||[[족구왕]]||2013||한국||극영화||104분||15세||우문기||우문기||김경아(아나운서)|| ||2016||[[소중한 날의 꿈]]||2011||한국||애니메이션||100분||전체||안재훈, 한혜진||안재훈||[[김정은(배우)|김정은]]|| ||2017||볼링블링||2017||한국||극영화||10분||전체||김아론||김아론||[[이연희]]|| ||2017||소나기||2017||한국||애니메이션||48분||전체||안재훈||안재훈||[[변요한]]|| ||2018||두 개의 빛: 릴루미노||2017||한국||극영화||31분||전체||허진호||허진호||박노식(성우)|| ||2018||별리섬||2018||한국||극영화||31분||전체||배종||배종||신온유(성우)|| ||2018||산책가||2009||한국||애니메이션||9분||전체||김예영, 김영근||김예영, 김영근||[[오하늬|오하늬]]|| ||2018||[[시집가는 날]]||1956||한국||극영화||79분||전체||이병일||백승화||[[김새벽]]|| ||2018||[[아이 캔 스피크]]||2017||한국||극영화||119분||12세||김현석|| ||[[엄지원]]|| ||2018||엄마의 공책||2017||극영화||극영화||103분||전체||김성호||김성호||[[서신애]]|| ||2018||페루자||2017||한국||애니메이션||24분||전체||김예영, 김영근||김예영, 김영근||오하늬|| ||2019||[[감쪽같은 그녀]]||2019||한국||극영화||104분||전체||허인무||허인무||[[이종혁(배우)|이종혁]]|| ||2019||[[김복동(영화)|김복동]]||2019||한국||다큐멘터리||101분||12세||송원근||송원근||[[박성훈(배우)|박성훈]]|| ||2019||메모리즈||2019||한국||극영화||33분||전체||김종관|| ||이규석(성우)|| ||2019||메밀꽃 필 무렵||2014||한국||애니메이션||26분||전체||안재훈, 한혜진||안재훈||이진화(성우)|| ||2019||무림일검의 사생활||2007||한국||애니메이션||29분||전체||장형윤|| ||이진화(성우)|| ||2019||[[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한국||극영화||102분||12세||신상옥||장건재||이승연|| ||2019||선물||2019||한국||극영화||43분||전체||허진호|| ||송하림(성우)|| ||2020||공명선거||2019||한국||극영화||28분||12세||박현경||박현경||박세인|| ||2020||기대주||2019||한국||극영화||23분||전체||김선경||김선경||이현주(성우)|| ||2020||레인보우||2017||한국||애니메이션||16분||전체||강희경||강희경||하지형(성우)|| ||2020||[[부재의 기억]]||2018||한국||다큐멘터리||29분||전체||이승준||이승준||[[이정은(1970)|이정은]]|| ||2020||어릿광대 매우매우씨||2016||한국||애니메이션||23분||전체||이문주||이문주||임미진(성우)|| ||2020||[[오발탄(영화)|오발탄]]||1961||한국||극영화||109분||청소년관람불가||유현목||김홍준||[[오만석]]|| ||2020||전 부치러 왔습니다||2019||한국||극영화||21분||12세||장아람||장아람||하지형(성우)|| ||2020||판문점 에어컨||2018||한국||극영화||24분||전체||이태훈||이태훈||임미진(성우)|| ||2020||푸르른 날에||2018||한국||극영화||35분||전체||한은지||한은지||[[이주실]]|| ||2021||건전지 아빠||2021||한국||애니메이션||7분||전체||전승배||전승배||이현주(성우)|| ||2021||[[남매의 여름밤]]||2019||한국||극영화||104분||전체||윤단비||윤단비||[[박정민(배우)|박정민]]|| ||2021||[[벌새(영화)|벌새]]||2018||한국||극영화||138분||15세||김보라||김보라||[[윤아|임윤아]]|| ||2021||[[송해 1927]]||2021||한국||다큐멘터리||82분||12세||윤재호||윤재호||[[이금희]](아나운서)|| ||2021||순영||2021||한국||극영화||26분||15세||박서영||박서영||이현주(성우)|| ||2021||잃어버린 외장하드를 찾는 이상한 모험||2020||한국||극영화||10분||12세||백승화||백승화||이현주(성우)|| ||2021||자매들의 밤||2020||한국||극영화||22분||15세||김보람||김보람||[[이현균(배우)|이현균]]|| ||2021||[[한창나이 선녀님]]||2021||한국||다큐멘터리||83분||전체||원호연||원호연||이진화(성우)|| ||2022||가을이 여름에게||2022||한국||극영화||33분||12세||원은선||원은선||곽민규|| ||2022||면상||2021||한국||극영화||25분||전체||권다솜, 백선영||권다솜, 백선영||임채헌|| ||2022||영미사진관||2021||한국||극영화||28분||12세||김동찬||김동찬||이진화(성우)|| ||2022||오늘이||2003||한국||애니메이션||17분||전체||이성강||[[이성강]]||[[이정민(배우)|이정민]]|| ||2022||하회, 허!||2021||한국||애니메이션||12분||전체||김태우||김태우||[[이정민(배우)|이정민]]|| ||2022||[[오마주(영화)|오마주]]||2021||한국||극영화||108분||12세||신수원||[[신수원]]||[[한예리]]|| ||2022||소리 찾기||2022||한국||극영화||12분||전체||전인환||전인환||[[김보라]]|| ||2022||[[별의 정원]]||2019||한국||애니메이션||75분||전체||원종식||원종식||[[김보라]]|| ||2022||[[우리들(영화)|우리들]]||2015||한국||극영화||94분||전체||윤가은||[[윤가은]]||[[김수안]]|| ||2023||수학여행||1968||한국||극영화||115분||전체||유현목||[[윤가은]]||[[안소희]]|| ||2023||[[멍뭉이(영화)|멍뭉이]]||2022||한국||극영화||113분||전체||김주환||김주환||[[정다은(2001)]]|| === 외국영화 === 2022년 12월 기준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가 제작한 배리어프리영화 중 외국영화는 총 45편이다. 대표작으로는 애니메이션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 극영화 '코다', '드라이브 마이 카', '미라클 벨리에',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타인의 친절', '파리로 가는 길' 등이 있다. 자세한 정보 및 공동체상영 가능작은 [[http://barrierfreefilms.or.kr/board_wSFC32|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
'''{{{#white BF 제작연도}}}''' || '''{{{#white 영화제목}}}''' || '''{{{#white 제작연도}}}''' || '''{{{#white 국적}}}''' || '''{{{#white 장르}}}''' || '''{{{#white 길이}}}''' || '''{{{#white 등급}}}''' || '''{{{#white 감독}}}''' || '''{{{#white BF 연출}}}''' || '''{{{#white 내레이션}}}''' || ||2011||술이 깨면 집에 가자||2010||일본||극영화||118분||15세||히가시 요이치||[[양익준]]||[[엄지원]], 목소리 출연 [[류현경]]|| ||2012||마이 백 페이지||2011||일본||극영화||141분||15세||야마시타 노부히로||김성호||[[한효주|한효주]], 목소리 출연 [[김동욱(배우)|김동욱]], 서준영, 유다인|| ||2012||[[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2012||일본||애니메이션||120분||전체||오키우라 히로유키||오성윤||전숙경(성우)|| ||2012||소중한 사람||2001||일본||극영화||111분||전체||마츠이 히사코||[[임순례]]||유혜영(아나운서)|| ||2012||엔딩 노트||2012||일본||다큐멘터리||90분||전체||스나다 마미||최진호||이보희(성우), 목소리 출연 한지민|| ||2013||위 캔 두 댓!||2008||이탈리아||극영화||110분||15세||줄리오 만프레도냐||[[정지우]]||[[정경호(1983)|정경호]], 목소리 출연 [[김성균]], [[김서형]], 최유화, 이수현|| ||2013||천국의 속삭임||2006||이탈리아||극영화||96분||전체||크리스티아노 보르토네||[[허진호]]||[[한효주]]|| ||2013||터치 오브 라이트||2012||대만||극영화||109분||전체||장영치||조성희||[[임수정]]|| ||2014||[[늑대아이]]||2012||일본||애니메이션||117분||전체||[[호소다 마모루]]||민규동||[[한지민]]|| ||2014||[[어네스트와 셀레스틴]]||2012||프랑스||애니메이션||79분||전체||벵상 파타, 스테판 오비에, 벵자민 레네||오성윤||[[유지태]]|| ||2014||[[피부색깔=꿀색]]||2012||벨기에, 프랑스, 한국, 스위스||애니메이션||75분||12세||로랑 브왈로, 융 헤넨||[[윤종빈]]||[[공유(배우)|공유]]|| ||2015||마리 이야기: 손끝의 기적||2014||프랑스||극영화||94분||전체||장 피에르 아메리||홍지영||[[김효진(배우)|김효진]]|| ||2015||매일매일 알츠하이머||2012||일본||다큐멘터리||93분||전체||세키구치 유카||김영남||홍완표, 목소리 출연 박지수, 홍윤희, 오하늬|| ||2015||모르는 척||2012||일본||애니메이션||25분||전체||미야시타 신페이|| ||임성원(아나운서)|| ||2015||미라클 벨리에||2014||프랑스, 벨기에||극영화||105분||12세||에릭 라티고||전계수||[[조희봉]], 목소리 출연 소연, 장민혁|| ||2015||앙리 앙리||2014||캐나다||극영화||99분||12세||마르탕 탈보||권칠인||[[조수향]]|| ||2015||이별까지 7일||2013||일본||극영화||117분||12세||이시이 유야||송일곤||[[전미선]]|| ||2015||콰르텟||2012||영국||극영화||98분||12세||더스틴 호프먼||한지승||[[엄태웅]]|| ||2015||필로미나의 기적||2013||영국||극영화||98분||12세||[[스티븐 프리어스]]||김태균||[[임주환]]|| ||2016||[[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2006||일본||애니메이션||97분||전체||호소다 마모루||전계수||[[수지(1994)|수지]], 목소리 출연 김서영, 심규혁, 장민혁|| ||2017||[[너의 이름은.]]||2016||일본||애니메이션||106분||12세||신카이 마코토||김성호||[[유선(배우)|유선]]|| ||2017||[[목소리의 형태(애니메이션)|목소리의 형태]]||2016||일본||애니메이션||129분||전체||야마다 나오코||장건재||[[최희서]]|| ||2017||[[빌리 엘리어트(영화)|빌리 엘리어트]]||2000||영국, 프랑스||극영화||110분||12세||스티븐 달드리||정재은||[[이요원]]|| ||2017||위풍당당 질리 홉킨스||2016||미국||극영화||97분||전체||스티븐 헤렉||안상훈||[[배수빈]]|| ||2018||심야식당2||2016||일본||극영화||108분||12세||마츠오카 조지||김종관||[[정유미(1983)|정유미]]|| ||2018||앙: 단팥인생 이야기||2015||일본||극영화||113분||12세||가와세 나오미||신수원||[[문근영]]|| ||2018||[[오즈의 마법사(영화)|오즈의 마법사]]||1939||미국||극영화||104분||전체||빅터 플레밍||[[정윤철]]||[[황보라]]|| ||2018||[[페니 핀처]]||2016||프랑스||극영화||90분||12세||프레드 카바예||윤재연||[[조수향]]|| ||2019||[[고양이 여행 리포트]]||2018||일본||극영화||119분||전체||미키 코이치로||육상효||신온유(성우)|| ||2019||[[미래의 미라이]]||2018||일본||애니메이션||98분||전체||호소다 마모루||김태균||[[수영(소녀시대)|최수영]]|| ||2019||[[일 포스티노|일 포스티노]]||1994||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극영화||114분||15세||마이클 래드포드||신연식||[[김슬기]]|| ||2019||[[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애니메이션)|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2019||캐나다, 미국||애니메이션||95분||전체||크리스 버틀러||신연식||[[임수향]]|| ||2019||[[커다랗고 커다랗고 커다란 배]]||2017||덴마크||애니메이션||77분||전체||필리프 에인스타인 리프스키 외||정하린||[[오하늬]]|| ||2020||[[빛나는]]||2017||일본||극영화||102분||12세||가와세 나오미||장건재||[[최유화]]|| ||2020||[[파리로 가는 길]]||2016||미국||극영화||92분||12세||엘레노어 코폴라||김도영||[[장혜진(배우)|장혜진]]|| ||2021||[[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일본||극영화||121분||전체||[[고레에다 히로카즈]]||[[민규동]]||[[김우빈]]|| ||2021||[[드림빌더]]||2019||덴마크||애니메이션||80분||전체||킴 하겐 젠슨||오성윤||[[하니(EXID)|안희연]]|| ||2021||보이콰이어||2014||미국||극영화||103분||전체||프랑소와 지라르||신동일||[[이일화|이일화]]|| ||2021||[[세상의 모든 디저트: 러브 사라]]||2020||영국||극영화||98분||12세||엘리자 슈뢰더||차성덕||[[하석진]]|| ||2021||타인의 친절||2018||영국||극영화||115분||12세||론 쉐르픽||강대규||[[장나라]]|| ||2022||[[드라이브 마이 카(영화)|드라이브 마이 카]] [* 배리어프리자막버전(음성해설 없음)]||2021||일본||극영화||179분||15세||[[하마구치 류스케]]|| || || ||2022||[[코다(영화)|코다]]||2021||미국, 프랑스||극영화||111분||12세||션 헤이더||[[윤제균]]||[[장동윤]]|| ||2022||그레타 툰베리||2021||스웨덴||다큐멘터리||102분||전체||나탄 그로스만||[[부지영]]||[[조현철]]|| ==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 == ===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 ===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는 2011년 '배리어프리영화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해마다 11월에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주최 및 주관, [[한국영상자료원]] 공동주관, 서울특별시, 영화진흥위원회 후원으로 열리고 있는 국내영화제이다.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는 2020년 10주년을 맞아 온라인으로 외연을 확장하여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KMDb와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에서 열렸다. 2021년에는 충무아트센터 소극장블루로 상영관을 확장하여 온, 오프라인 행사로 열렸으며 2022년에는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와 충무아트센터 소극장블루 두 개의 상영관에서 전면 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한 해 동안 제작된 배리어프리영화 신작 및 최신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배리어프리영화가 궁금하거나 관람하고 싶은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씨네토크, 배리어프리 포럼, 관객참여 이벤트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열리고 있다. 2013년 제3회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에서부터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를 위촉하고 배리어프리영화 음성해설 및 배리어프리영화를 홍보하는 알려내는 일을 함께 하고 있다. 초대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에는 '''[[한효주]]''' 배우가 위촉되었으며, 이후 해마다 영화인 홍보대사와 관객 홍보대사를 위촉해오고 있다.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https://baff.or.kr/|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 홈페이지]] 참고. [[파일: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jpg]] [[파일:우리들 씨네토크.jpg]] === 역대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 * '''2013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한효주]]''' 한효주 배우는 영화 '마이 백 페이지', '천국의 속삭임'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한효주 배리어프리.jpg]] * '''2014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김태용]] 감독, [[김성균]], [[한지민]]''' [[김태용]] 감독은 단편영화 '피크닉' 배리어프리버전 참여, [[김성균]]배우는 '위 캔 두 댓!' 목소리 출연, '군도:민란의 시대'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4 배리어프리 홍보대사.jpg]] * '''2015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이준익]]감독, [[정겨운]], [[성유리]]''' 정겨운 배우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5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jpg]] * '''2016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전계수 감독, [[배수빈]], [[김정은(배우)|김정은]]''' 전계수 감독은 '미라클 벨리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배수빈 배우는 '위풍당당 질리 홉킨스'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김정은 배우는 애니메이션 '소중한 날의 꿈'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6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jpg]] * '''2017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홍지영]]감독, [[변요한]], [[이연희]]''' 홍지영 감독은 '마리 이야기: 손끝의 기적'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변요한 배우는 애니메이션 '소나기'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이연희 배우는 단편배리어프리영화'볼링블링'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7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jpg]] * '''2018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김성호 감독, [[조수향]], [[곽시양]] ''' 김성호 감독은 '마이 백 페이지',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너의 이름은.', '엄마의 공책'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조수향 배우는 '앙리 앙리', '페니 핀처'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8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2.jpg]] * '''2019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김태균 감독, [[수영(소녀시대)|최수영]], [[최태준]]''' 김태균 감독은 단편 배리어프리영화 '반짝반짝 두근두근' 연출, '필로미나의 기적', '미래의 미라이'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최수영 배우는 '미래의 미라이'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19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2.jpg]] * '''2020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장건재]] 감독, [[최유화]], [[박성훈(배우)|박성훈]]''' 장건재 감독은 '목소리의 형태', '빛나는'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최유화 배우는 '위 캔 두 댓!' 목소리 출연, '빛나는'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박성훈 배우는 '김복동'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20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2.jpg]] * '''2021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강대규 감독, [[하니(EXID)|안희연]], [[이종혁(배우)|이종혁]]''' 강대규 감독은 '타인의 친절'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안희연 배우는 '드림빌더'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이종혁 배우는 '감쪽같은 그녀' 배리어프버전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21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2.jpg]] * '''2022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오성윤 감독, [[장동윤]], [[김보라]]''' 오성윤 감독은 '마당을 나온 암탉',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 '어네스트와 셀레스틴', '드림빌더'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장동윤 배우는 '코다' 배리어프리버전 내레이션, 김보라 배우는 '별의 정원', '소리 찾기'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파일:2022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2.jpg]] * '''2023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 [[윤가은]] 감독, [[이영진(배우)|이영진]], [[김주헌]]''' 윤가은 감독은 '우리들' 배리어프리버전을 연출했다. [[파일:2023 배리어프리영화 홍보대사.jpg]] == 배리어프리영화 관람하기 == === 공동체상영으로 배리어프리영화 관람 === '''공동체상영이란''' '''일정 인원이 모여 극장 외의 장소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상영방식이다. ''' 배리어프리영화가 보고 싶을 때 공동체상영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배리어프리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에서는 '''온,오프라인 공동체상영'''신청을 통해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가 제작한 배리어프리영화들을 개인, 단체, 기업, 공공기관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오프라인 공동체상영은 상영장비에 맞는 포맷의 상영본을 직접 제공받아 감상하거나, 온라인 공동체상영은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 배리어프리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파일:공동체상영1.jpg]] [[파일:공동체상영2.jpg]] === 정기상영회 및 IPTV 등 스트리밍 관람 === 극장이나 공동체상영 신청을 통해 배리어프리영화를 접하기 힘들다면 배리어프리영화 정기상영회나 케이블TV, 네이버 시리즈온 가치봄영화 카테고리에서 배리어프리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는 [[서울역사박물관]]과 2015년부터 '''서울역사박물관 배리어프리영화관'''을 운영해오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 매월 넷째 주 목요일 사전신청을 통해 온라인으로 상영이 진행되었으며, 2022년부터 다시 오프라인 상영으로 진행되고 있다. 매월 넷째주 목요일 오후 2시[* 개최 월은 매년 상이함 ] 서울역사박물관 1층 야주개홀에서 선착순 무료로 관람가능하다. 그외에도 '''서울혁신파크 배리어프리존'''(2021년 운영), '''한국영상자료원 장애인의 날 특별상영''',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등 다양한 무료상영회들이 해마다 열리고 있다. [[파일:네이버 시리즈온.jpg]] [[분류:영화]][[분류:복지]][[분류: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