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배틀필드 시리즈)] [[파일:attachment/배틀필드_플레이4프리.jpg|width=400]] [목차] == 개요 == ||<#000000><:><-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50]]]][br]{{{#white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 ||<#000000> {{{#white '''스코어'''}}} ||<#000000> {{{#white '''유저 평점'''}}} || ||<:><#FF9400>[[https://www.metacritic.com/game/pc/battlefield-play4free|{{{#white '''68/100'''}}}]] || [[https://www.metacritic.com/game/pc/battlefield-play4free/user-reviews|''' 2.0/10''']] || [youtube(tlCPhYZfy3g)] 2010년 11월 5일경 트레일러와 함께 발표되었다. 제목처럼 '''무료 온라인''' 게임이며, [[배틀필드 히어로즈]]를 제작한 Easy Studio가 개발하였다. 2010년 11월 30일부터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THE BATTLEFIELD IS NOW OPEN TO EVERYONE!''' 2011년 4월 5일자로 오픈 베타를 개시하였다. ~~[[배틀필드 온라인]]은 [[안될거야 아마]]~~ 2010년 11월 14일경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배틀필드 2의 유명 맵에 전투기까지 등장한다고 한다. ~~공군필드 부활!~~ 또한 여기에 배틀필드 히어로즈의 커스터마이징 시스템과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의 총기 반동, 총기 애니메이션, 사운드 시스템까지 사용한다고 한다. 또한 배틀필드 Play4Free의 클로즈베타에 참여하면 [[배틀필드 3]] 에서 "특별한 혜택"을 누릴수 있다고 한다.[* 4월 13일부로 클로즈베타 테스터들에게 게임내에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로즈베타 베레모를 지급했다. 배틀필드 3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아직까지 불분명. --혜택은 얼어죽은 혜택-- --장정 10년이 넘어가는 시간동안 4, 하드라인, 1, V까지 나온 마당에 하다하다 2042까지 출시해버렸다--] ~~만렙 유저들이 깽판친다~~ 그러나 낮은 완성도로 인한 저조한 인기 때문인지 2015년 7월 14일부로 서비스 종료 했다. == 게임 시스템 == 일단 요약하면 [[배틀필드 2]]에다가 배드 컴퍼니의 요소를 합친 것이 이번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병과 체계는 배드 컴퍼니의 것을 그대로 계승했고, 기존작들과 달리 최대 인원수가 절반인 32명이다. 하지만 입문자들이나 다른 FPS 게임에서 주로 놀다온 게이머들을 비롯해서 기존 배틀필드 시리즈 팬들에게 까지도 혹평 세례를 받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은엄폐시 중요한 피격 판정 시스템이 기존 배틀필드 시리즈들보다 더럽게 형편없기 때문. 적 총탄에 맞으면 '''피격 여부만 알려주고 [[안알랴줌|탄환이 어디서 날아왔는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뭐 어쩌자는거야-- 이는 당연 제아무리 오랜 플레이 경험으로 숙련된 플레이어들 조차도 어찌 반격할 수가 없었다. '''날 맞춘 적 탄환의 방향을 아예 모르니까.''' 숙련자들도 이런데 초보나 다른 FPS 게이머들은 오죽하겠는가. 총기류는 상점에 가서 크레딧이나 펀드(캐쉬)로 구매할 수 있는데, '''기간제다.''' 이 말은 즉슨, 크레딧으로 구매하면 얼마만큼 내냐에 따라 1일이나 7일밖에 못쓴다. 오랫동안 쓸려면 50000이 넘는 거금을 마련해야 한다. 오랫동안 쓰고 싶은데 짧은 일정기간 동안에만 쓰는 것이 짜증나는 사람이라면 현질을 하는 것이 권장--반강제--된다. == 병과 특성 == 많은 내용을 [[http://battlefield.wikia.com|배틀필드 위키아]]에서 가져왔습니다. === 돌격병(Assault) === 돌격 소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하는 병과. 기본 지급되는 장비는 [[H&K G3|G3A3]] 소총과 [[베레타 92|M9]] 권총, 그리고 파편 수류탄이다. G3A3의 성능은 썩 좋은 편은 아니다. 돌격병은 '''탄약 상자'''(Ammo Box) 병과 기능으로 다른 병사에게 탄약을 보급할 수 있다. 훈련으로 해금할 수 있는 돌격병 전용 장비는 다음과 같다. * 탄약 상자 (Ammo Box): 기본 탄약 상자 능력을 개선한다. * 연막탄 (Smoke Grenade): 역사와 전통의 연막탄. 포인트를 투자할수록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연막탄 수가 늘어난다. * 향상된 전투 보급 (Advanced Combat Supply): '''탄약 상자를 두 개씩 떨굴 수 있다'''. * C4 폭탄 (C4 Charges): 350 피해를 입히는 폭탄. 포인트당 2개씩 총 6개까지 가지고 다닐 수 있다. 그 외에도 돌격병은 훈련을 통해 다음과 같은 능력을 얻을 수 있다. * 개선된 위협 감지 (Improved Threat Awareness): 발견한 적이 빠르게 태그된다. 의무병과 공병도 배울 수 있다. * 전술적 위협 감지 (Tactical Threat Awareness): 자신을 공격한 적의 닉네임이 잠시 화면에 드러나도록 한다. 포인트를 투자할수록 모습이 드러나는 시간이 더 길어진다. 정찰병도 배울 수 있다. * 대저격 감지 (Sniper Combat Awareness): 적 정찰병이 자신을 조준할 때 경고음이 들린다. 의무병과 공병도 배울 수 있다. * 지원 요청 (Request Reinforcements): 돌격병이 조명총을 휴대하게 되어, 조명총을 쏜 후 일정 시간동안 '''죽은 아군이 자기 주변에서 리스폰된다'''. 거점이나 러시 모드의 M-COM 주변에서 사용하면 '''점수도 챙길 수 있다'''. 다만, 그 동안 그걸 쓰던 돌격병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죽어버리면 효과는 취소되고, 이제 고통스러운 쿨타임이 남게 된다. 포인트를 투자할수록 쿨타임이 줄어든다. * 전술적 반사신경 (Tactical Reflexes): HUD에 어느 방향에서 피해를 받고 있는지 더 정확히 나타낸다. 의무병과 공병도 배울 수 있다. * 포격 감지 (Mortar Strike Combat Awareness): 지도상에 근처에 떨어지는 박격포 포격의 위치를 표시한다. 의무병과 공병도 배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돌격소총이란 무기가 굉장히 범용적이어서 중거리 이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기 쉽다. === 공병(Engineer) === 기관단총과 [[RPG-7]]로 무장하는 병과. 기본 지급되는 장비는 [[PP-2000]], M9, RPG-7 (게임상 이름은 Anti-Vehicle RPG, 그러니까 '대차량 RPG'), 차량 수리 도구 (Vehicle Repair Tool)이다. 공병은 아군 차량을 수리할 수 있고, 반대로 적군 차량을 날려버리는 역할이다. 대차량 임무를 RPG-7로 수행하게 된다. RPG-7은 직격 피해 300의 강력한 무기이다. 전 병과 공통 가젯인 추적 다트 (Tracer Dart)로 표식이 남은 적은 「」 모양의 표식이 보이며, 이런 적에게는 로켓 공격이 '''유도된다'''. ~~잠깐만 이거 RPG-'''7'''인데?~~ 물론 공중 장비 상대로는 얄짤없다. 차라리 다트에 의존하지 않고 맞히는 게 나을 정도. 훈련으로 해금할 수 있는 공병 전용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차량 수리 도구 (Vehicle Repair Tool): 기본 차량 수리 도구를 개선해, 수리 속도를 증가시킨다.~~근데 수리속도가 뭐 같이 느리다 여러명이서 같이수리를 해야 그나마 수리가된다고 느낄정도~~ * RPG 탄 증가 (Increase RPG Ammo): [[제곧내]]. * 대차량 지뢰 (Anti-Vehicle Mine): 경차량과 중차량 모두에 효과적인 대전차 지뢰를 갖고 다닐 수 있다. * [[구난전차|구난차량]] (Field Repair Vehicle): 공병이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주변의 차량을 수리할 수 있다. * 공중 폭파 유탄 (Airburst Grenade): [[XM25 CDTE|XM-25]] 유탄 발사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직격 67, 폭파 34의 피해를 입힌다. 그 외에도 공병은 훈련을 통해 다음과 같은 능력을 얻을 수 있다. * 포격 감지, 개선된 위협 감지, 대저격 감지, 전술적 반사신경은 돌격병 소항목 참조. * 구조물 피해 평가 (Engineering Damage Assessment): 피아를 가리지 않고 사람이 타고 있는 차량의 내구도를 볼 수 있게 된다. 대저격 감지는 있으면서 전술적 위협 감지는 없어서 저격병이 어디서 공격해오는지 알아내기 곤란하다. === 의무병(Medic) === 경기관총이나 산탄총으로 무장하고 구급 상자 (Medkit)로 다른 병사를 치료하는 병과. ~~어째 의무병 주제에 무장이 제일 화려하다......?~~ 기본 지급되는 장비는 [[MG3]]과 M9. MG3은 집탄률은 낮으나 화력이 우수하다. 구급 상자는 [[배틀필드 3]]와 같이 던져 놓으면 서서히 주위 보병이 치료되다가 상자 내용물이 없어지면 소멸하는 방식이다. 훈련으로 해금할 수 있는 의무병 전용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의료 상자 (Medic Box): 기본 구급 상자를 개선하여 사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총 치유량과 범위를 늘린다. * [[심폐소생기]] (Defibrillator): 연막탄에 이어 역사와 전통의 ~~'''의무병 최후의 병기'''~~소생 도구다. 쓰러진 동료에게 일정 생명력을 주어 되살린다. 포인트를 더 찍으면 소생시킬 때 회복되는 생명력이 늘어난다. 물론, [[즉사기|이걸로 적을 째면 즉사하는 성능]]도 그대로 갖고 있다. * 의료 상자의 고급 전술 배치 (Advanced Tactical Deployment: Medic Box): 구급 상자를 두 개씩 뿌린다. * 야전 구급차 (Medivac Vehicle): 의무병이 타고 있는 차량에 같이 타고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아군 병사들을 치료한다. * 전방 의무병 (Front Line Medic): 조명탄을 쏘면 고정된 리스폰 지점을 만들어, 그 근방에서 죽은 아군은 (의무병 자신을 포함해) 그 곳에서 리스폰된다. 같은 리스폰 계열 능력인 돌격병의 지원 요청과는 다르게, 자신이 아니라 고정된 지점에서 리스폰시키고, 쿨다운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한 번밖에 쓸 수 없으며, 이렇게 만든 리스폰 지점은 파괴될 수 있다. 러쉬 모드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의무병은 훈련을 통해 다음과 같은 능력을 얻을 수 있다. * 개선된 위협 감지, 대저격 감지, 전술적 반사신경, 포격 감지는 돌격병 소항목 참조. * 부상자 분류 (Combat Triage): 피아를 가리지 않고 남은 생명력을 볼 수 있다. === 정찰병(Recon) === [[저격 소총]] 혹은 산탄총과 모션 센서로 무장하는 병과이다. ~~그런데 위 능력들에서 대저격 운운하는 걸 보면 왠지 저격 소총을 써야 맞을 것 같다.~~ 기본 장비는 볼트 액션 소총 [[SV-98]]과 M9. SV-98은 의외로 볼트액션치고 피해가 높지 않아 (최대 64, 최소 36) [[헤드샷]]을 띄우지 않는 한 저격 위력은 시궁창이다. 주의할 점은 저격 소총은 발사하는 궤적이 보이기 때문에 실력이 좋지 않다면 [[역관광]] 타기 딱 좋다. [[히트 앤 런]] 전법은 필수. ~~그래서 샷건을 쓸라고 하니까 트리가 저격을 강요해요~~ 모션 센서는 던져 놓으면 30초동안 그 인근의 적을 미니맵에 띄워 주는 가젯이다. 만약 그렇게 미니맵에 뜬 적이 사살되면 정찰병이 점수를 가져간다. 훈련으로 해금할 수 있는 정찰병 전용 장비는 다음과 같다. * 모션 센서 (Motion Sensor): 모션 센서의 쿨다운을 줄여주고, 투척 사정거리 및 시야 범위를 늘려준다. * 저격 소총 탄약 증가 (Increase Sniper Rifle Ammo): [[제곧내]]. ~~아무리 봐도 샷건 쓰지 말라는 거죠 감사합니다~~ * [[M18A1|클레이모어]] (Claymore): 설치한 방향의 좌우 15도 이내의 다가오는 적을 감지하는 클레이모어 대인지뢰를 설치한다. * 박격포 포격 (Mortar Strike): 박격포 지원 포격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준한 지점에 포격이 떨어진다. 그 외에도 정찰병은 훈련을 통해 다음과 같은 능력을 얻을 수 있다. * 전술적 위협 감지는 돌격병 소항목 참조. * 죽은 자의 스위치 (Dead Man's Trigger): 죽을 때 아주 짧은 시간 뒤에 터지는 수류탄을 떨어뜨린다. 포인트를 투자할수록 수류탄의 폭발 반경이 늘어난다. * 고급 정찰 (Advanced Reconnaissance): 스팟을 띄울 때 해당하는 적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적들까지 같이 스팟된다. * 전술적 목표 선택 (Tactical Target Selection): 조준한 적의 생명력을 볼 수 있다. * 목표 확인 (Identify Target): 조준한 적의 병과를 알 수 있다. * 전투 잠입 (Combat Infiltration): 적에게 잘 감지되지 않는다. 사실상 위장술. == 차량 특성 == == 배틀필드 2에서 변경된 점들 == * 저격총의 탄환은 비행기가 날아갈 때처럼 하얀 꼬리 연기를 발생한다. 다만 움직이는 것은 거의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꼬리 연기의 어느 끝 부분에서 저격수가 나왔는지 보기 힘들다. 몇 초 후에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나 [[팀 포트리스 2]] 같은 [[소스 엔진]] 기반 게임에서 나오는 킬캠 기능이 있다. [[모던 워페어 2]]와 다른 게 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자신이 사살당한 후의 모습을 버드 아이 뷰로 보여준다. * [[전차]]나 [[험비]] 같은 탈것들은 체력이 백분율 대신 실제 체력[* 탱크 1000, 장갑차 600, 주수송차량 400, 패스트수송차량 300, 전투헬기 800, 수송헬기 1000 (러시아는 1200), 전투기 500.]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총을 쏴갈기면 10씩 까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스킬 트리를 만들어서 다양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모든 클래스 동일사항이며, 비행기와 헬기는 각각의 스킬을 찍어야 탈 수 있다. 수류탄도 스킬을 찍어야 사용가능 (1스킬에 1개). 의무병은 치료 속도와 구급함의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 무기와 장구는 상점에서 구입후 사용 가능. 사용가능 포인트는 배틀필드 펀드와 크레딧이 있으며, 배틀필드 펀드(이하 배펀)은 현찰로 구입하고, 크레딧은 경험치처럼 게임을 진행하면서 획득한다. 둘 모두 무기와 장구 구입시 사용 가능하고, 크레딧 사용 시 무기와 장구는 제한적으로(1일 또는 3일), 배펀 사용 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부분 유료이지만 무료 이용자들의 편의를 잘 배려한 셈. 다음은 각 병과별 사용 무기이다. 굵은 표시가 된 무기는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이고, 나머지는 크레딧으로 구입해야 한다. * 돌격병: '''[[H&K G3|G3A4]]''', [[M16 소총|M16A2]], [[AEK-971]], 보조 무기는 탄약 박스 * 의무병: '''[[MG3]]''',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M]], [[M249]] 보조 무기는 구급박스 * 공병: '''[[PP-2000][''', [[H&K NP7|MP7]], [[H&K UMP|UMP9]] 보조 무기는 [[RPG-7]] * 정찰병: '''[[SV-98]]''', [[드라구노프 저격소총|SVD]], 보조 무기는 대인 지뢰 병과 공통으로 다트 태그[* 적 차량 같은 걸 태그하면 다른 플레이어에게 사각형으로 나타나며, 엔지니어의 로켓은 알아서 유도된다.], 수류탄, [[USAS-12]] 사용 가능 구입할 수 있는 무기들은 베테랑 버전이 있다. 한 탄창에 탄알이 조금 더 많이 장전 되있고, 데미지도 조금 더 강하다. 하지만 1일 사용에 1000 크레딧을 소모한다. 배펀으로 구매하여 영구사용이 가능하다. * 오만 맵에서 AH-1 대신 AH-64가 등장한다(알맹이는 동일…). 서버에 따라 항모에 AH-64가 2대 등장할 때도 있다. * 모든 탈 것들의 탄약은 보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생성된다. 전차를 타보니 주포 탄약 표시가 1이어도 놀라지 말 것. * 컨트롤이 배틀필드 2랑 묘하게 다르다. 느낌이 매우 다르다. 낙하산도 9에서 점프키로 통합되는가 하면, 티킷 카운터 등의 HUD도 배틀필드 2와 매우 다르다. * 가장 인기가 많던 병과는 의무병. 치료도 할 수 있고, 기본 무기인 MG3가 강해서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다. 총 탄알 480발 보유, 탄창 1개에 120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알이 부족한 일이 절대로 없고, 조준 시 돌격병 보다는 못하지만 반동이 적고, 경기관총 특성상 긴 사정거리를 가진다. 크레딧으로 PKM을 살 필요없이 MG3 하나로 그냥 크레딧을 쌓아간다. 그나마 약점이라면 경기관총의 지향사격 명중률이 저조해서 근거리 급습에 약하다는 것. * 수류탄으로 전차나 장갑차를 파괴(!)할 수 있었을 정도로 탑승장비가 종이몸(...)이였다. 최대 200이 넘는 수치의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체력이 1000인 전차는 잘만 맞으면 수류탄 4개로 격파할 수 있다. 다만, 한국 서버가 없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핑이 높은 외국 서버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분류:배틀필드 시리즈]][[분류:온라인 게임]][[분류:2011년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2015년 서비스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