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훈음이 '범 인'인 한자, rd1=寅)] [목차] == [[犯]][[人]] ==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뜻하며 법률용어로는 [[범죄인]](犯罪人)이라 표현한다. 많은 사람들이 [[용의자]]를 범인이랑 똑같이 취급하는데, 용의자는 '범죄를 저질렀을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의미하며, 범인은 '범죄를 저질렀음이 밝혀진 사람'을 의미한다.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법원에서 유죄 판결이 나기 전까지는 정황상 범죄 사실이 아무리 명확하다 하더라도 범인으로 취급할 수 없다. 비유적 표현으로는 협동목표를 성취하지 못하고 일을 그르쳤거나 성과가 저조했을 때 책임이 가장 큰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조별과제나 프로젝트, 팀 게임 등에서 종종 보이며 이를 잡아내는 과정을 범인찾기라고 한다. 역적, 엑스맨과도 얼추 뜻이 통한다. === 추리물에서의 대역 === [[파일:attachment/범인/범인.jpg]] [[명탐정 코난]]의 범인[*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에서 나온 장면. [[아이리시(명탐정 코난)|범인]]이 [[쿠도 신이치]]와 [[에도가와 코난]]의 지문을 대조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웃는 장면이다.] [[파일:attachment/n2o_1211_880684_1.jpg]] [[파일:범인2.gif]] [[추리물]] 등에서 범인이 밝혀지기 이전에 등장하는 사람 형태의 캐릭터. 최초로 범인을 표현할 때 이런 형식으로 나온 작품은 불명. 남자인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여자가 해당 모습으로 나올때도 있다. 성별을 구분 못하게 성기나 가슴 부분은 그냥 애매하게 그려놓는다. 본옷의 실루엣이 드러나는 게 아니라 몸통의 실루엣이 드러나기 때문에 [[쇼커 전투원|검은 쫄쫄이를 입는다]]고 유머로 삼기도 한다. [[http://cfile201.uf.daum.net/image/25393A3E53E0F041061BF5|근데 가끔씩 옷을 입고 나오기도 한다]]. 범인을 판별하는 걸 방지하기 위함인지 코난에선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중후한 목소리에 음성변조+기계음이 들어가있는 목소리가 태반이다. 그래서인지 범인들이 간혹 짧게 짓는 웃음소리가 굉장히 멋있다.[[https://youtu.be/LL21LSUch8I|21초 참고]] [[소년탐정 김전일|김전일]], [[명탐정 코난|코난]], [[탐정학원Q]]에서는 반드시 등장한다. 늘 주인공에게 붙잡힐 위기에 빠지지만, 어쩐지 다른 등장인물이 잡혀간다. 여러 곳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범죄도 많은데 절도, 방화, 연쇄살인을 주로 저지른다. 그런데 어떤 에피소드들은 이 모습은 안 보여주고 범인들의 진짜 모습을 보여준다. 사실 김전일의 경우는 검은 타이즈보단 기괴한 변장을 하고 나오는 경우가 잦다. 애초에 김전일 시리즈는 피해 사건 지대에 떠도는 설화나 전설 속 괴물들을 주 소재로 기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범인이 아니더라도 정체불명의 인물이 정체를 드러내기 전까지 이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반드시 악역이 아닐수도 있고 선역이 어떤 상황에서 아직 정체를 밝힐 수 없을 때 대용으로 출연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코난에서 Black Impact편 초반에 [[조디 센티밀리온|조디 스털링]]이 이렇게 등장한다.] [[명탐정 코난]]에서 등장하는 범인이 주인공인 만화 명탐정 코난 [[범인 한자와 씨]]가 연재 중이다. 검은 모습 그대로 등장하며 주인공 한자와가 범죄를 저지르기 위해 베이카 시로 온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추리물 외에서의 패러디 ==== * [[하야테처럼!]]에서는 살해당하며 [[은혼]]에선 '''원래 그렇게 생겨먹은 [[천인]]'''이라고 언급되었다. [[마음의소리]]에도 등장했다. * 유료 웹툰 [[http://nstore.naver.com/comic/detail.nhn?productNo=2809443|등나무 빌라 사람들]]에서는 범인의 검은색 타이즈를 벗겼지만 안에서 또 흰색 타이즈가 나오고 그 후에는 무지개색 타이즈가 나오는 등 타이즈의 색상에도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있는듯 한다(...). * 이렇게 여러 작품에 유명세가 생겼는지 몰라도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21/read?bbsId=G003&itemId=17&articleId=1575598|코난 버전의 범인이 기어이 피그마로 등장하고 말았다]]. 그리고 범인만 따로 빼서 구성을 추가한 [[진범]]도 나왔다.[* [[넨도로이드]] 버전도 [[https://www.trendsmap.com/twitter/tweet/956396332314341376|존재한다.]] ] * [[https://youtu.be/3JrWAVp1hE8|다크소울에서 암령으로 침입해서 ~~코난의 전용 테마곡을 스틸하면서~~ 맹활약을 하기도 한다.]] * ~~[[철권 7 FR|모 격투게임]] 콘솔판에서 [[세르게이 드라그노프|이 캐릭터]]는 범인과 흡사하게 꾸미는 게 가능하다~~[* 아예 새까맣게 만들어 보이지 않는 수준으로 만들 수 있었지만, 게임 플레이에 지나치게 큰 영향을 미치자 패치를 통해 캐릭터의 윤곽이 잘 드러나게 바뀌었다.] * [[몬스터 헌터 XX]]에서는 콜라보 이벤트로 인해 해당 룩의 장비 제작이 가능하다. * [[벽람항로]]에 등장하는 잠수함인 [[알바코어(벽람항로)|알바코어]]가 아이폰에서 검열로 검게 나오는 바람에 범인 패러디와 알바코어+명탐정 코난을 합친 알바코난이라는 별명이 붙어졌다. * [[오마르와 하나]]에서는 작품 자체가 [[치유물|평화롭기 때문에]] 잘 등장하지 않고, 단역 악당 캐릭터를 표현할 때 쓰인다. == [[凡]][[人]] == [[평범]]한 [[사람]], 보통 사람을 뜻한다. 유의어로 범부, [[일반인]], 장삼이사(張三李四)[* 중국에서 흔한 성씨가 장씨와 이씨이기 때문에 보통 대충 아무나를 지칭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라고 한다.]가 있다. 한국에서는 1번 항목 때문에 잘 안 쓰인다. 한글 단어 '범인'이 이 의미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일은 아예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오래된 고전 문학이나 사극, 당시 쓰여진 글, 명언 정도에서 볼 수 있는게 고작이며, 현대에 쓰이는 것은 아직 이 단어를 활발하게 쓰이는 일본 쪽 글을 그냥 직역한 경우이거나, 과거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무협지 등을 제외고는 잘 쓰이지 않는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그냥 쓰면 1번 범인과 혼동할 여지가 매우 높아서 1번 범인으로 혼동하는 웃지 못할 일이 많이 일어나는 편. 게다가 둘 다 장음이라 더욱 헷갈리기 쉽다. 때문에 번역 시에는 일반인이라던가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 자체를 풀어서 쓰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와 달리 일본어로는 명확히 구별된다. 犯人의 음독은 한닌(はんにん), 凡人의 음독은 본진(ぼんじん)이다.[* [[범인 퍼레이드]]라는 곡은 후자를 쓴다.]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관우가 황충과 일기토를 벌일 때 "응? 저 사람 범인이 아니군"이라는 명대사가 있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