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장 부호]][[분류:특수 문자]][[분류:동음이의어]][[분류:야구 용어]][[분류:수학 기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유명사 애스터리스크, rd1=애스터리스크)] [목차] == 별다각형 [[★]] == [[별]] 모양의 다각형이며 평면도형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로그인 유저가 각 문서 상단의 별표를 눌러 [[나무위키:내 문서함|내 문서함]]에 문서를 등록시킬 수 있다. 다각형 모양의 유니코드도 존재하며 오각성의 경우 무색/흑색 버전으로 2가지로 존재한다. [[오각성]] (☆, ★), [[육각성]](✡) 같은 것이 있다. [[표창(무기)|표창]] 모양의 사각성도 빈도는 낮지만 조금 쓰이는 편(✦/✧)이다. 그외 다양한 별 모양 기호가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는데, [[https://en.wikipedia.org/wiki/Star_(glyph)|영어 위키백과]] 참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하학적 의미, rd1=별(도형))] == 별표 * == [include(틀:QWERTY 키보드)] [[특수문자]] 중 하나이다. 코드는 [[아스키 코드]] 42, [[유니코드]] U+002A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꼭지가 5개 달린 모양으로 표시된다. 한편 [[손글씨]]로는 획 3개로 쓰기 편한 꼭지 6개 모양으로 쓸 때가 많다. '*', '∗', '⁕', '✳', '✴︎' 등처럼 꼭지 개수가 다른 게 있는데 이 모두 애스테리스크이다. *는 [[산세리프]] 글꼴에서, ∗는 세리프 글꼴에서 사용하는 자형이다. === 명칭 === 영어로는 asterisk([[애스터리스크]])라고 한다. [[라틴어]]로 별을 뜻한다. [[그리스어]]로 'ἀστερίσκος(asteriskos)', 이것의 후기 [[라틴어]] 표기가 'asteriscus'로 이를 [[영어]]화한 것이다. 형용사형으로 'asterisked(아스테리스크트)'라는 말도 있다. [[중국어]]로는 성호(星号)나 성인(星印) 내지 미자(米字)[* [[米]]자와 닮은 기호라는 뜻이다. 한편 일본에서 "쌀표", 즉 米印(こめじるし)라고 부르는 것은 [[※]]([[당구장 표시]])이다.]라고 하는 게 보통이고, 가끔 [[음역]]하여 아사특리사극(阿斯特里斯克)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일본어]]로는 アステリスク라고 한다. === 용도 === ==== 언어 ==== *검열: 별표를 통해 가리고 싶은 글자를 매울 수 있다. 많은 규제와 규칙에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다. [[영어권]]에선 문법 지적을 할 때도 사용된다. 다른 코멘트 없이 간단하게 바른 단어 뒤에 별표만 붙여서 댓글 다는 식.[* 예: I am on the [[창녀|bitch]]. > beach*] 여기서 파생됐는지 아니면 그냥 기원이 같은 건지 상대방의 댓글을 반박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된다. [[언어학]]에서는 단어, [[비문(문법)|잘못된]] 문장 등의 앞에 붙인다. 비문까진 아니고 약간 어색할 때는 [[?]]를 쓴다. 보통 위[[첨자]]로 붙이는 편이다. ==== 수학 ==== 컴퓨터 자판에서 나타내기 복잡한 × 대신 곱셈의 기호로 쓰인다. 과거에 곱셈 기호 ×와 로마자 [[X]]의 모양이 유사해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곱셈 기호를 이것으로 썼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 것이다. 현 컴퓨터 입력 환경에는 '[[×]]'가 있고 ㄷ+한자 키+7번으로 입력 가능하지만 여전히 *가 간편하기에 많이 쓰인다. [[엑셀]]이나 웹상의 계산기에서는 아예 공식 곱셈 기호로 적용된다. [[http://en.wikipedia.org/wiki/Hodge_dual|호지 쌍대]]나 [[http://en.wikipedia.org/wiki/Differential_form#math_.2A|미분형식의 기호 중 하나]]로도 사용한다. 주로 [[수리물리학]]에서 [[켤레복소수]](Complex Conjugate)를 표기할 때 윗첨자(Superscript)로서 붙이기도 한다. 예컨대 [math(z=a+bi)]의 켤레복소수를 [math(z^{\ast}=a-bi)]로 쓰는 식. 수학에서는 전치(Transpose)까지 취한 [[수반 연산자]](Adjoint Operator)의 의미로 쓰인다.[* 수리물리학에서는 별표 대신 [[칼표]]([math(\dag)], Dagger)를 쓴다.] ==== 천문학 ==== [[은하]]의 중심이 되는 [[블랙홀]]의 명칭에 별표가 들어간다. 2019년에 최초로 관측된 [[처녀자리A 은하|M87*]], [[우리 은하]]의 중심인 [[우리 은하#s-6.1|Sgr A*]] 등에 별표를 볼 수 있다. ==== 프로그래밍 ====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곱셈]] 연산자로 사용한다. [[포트란]], [[자바스크립트]][* 구 버전에서는 Math.pow로 해야 한다. Node.js에서는 6.5.0 실험실에 추가되었고, 7.0.0부터 정식 지원한다.], [[파이썬]] 같은 언어에서는 별 2개를 붙혀서[* 예 : Y = A ** B ] [[거듭제곱]] 연산자로 사용한다. [[C언어|C]], [[C++]]에서는 [[포인터#s-3]]를 선언할 때 또는 포인터 변수를 indirect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다. [[어셈블리]] 프로그램 작성 시에 피연산자 필드에서 사용하는 특수 문자. *를 사용하면 자기 주소를 나타내며 여기에 +, -를 덧붙여 자기 상대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코볼]]에서는 편집 부호. DATA DIVISION에서 사용하면 유효 숫자는 그대로 인쇄되고 남은 무효 숫자의 자리에는 *가 인쇄된다. 또 코볼 코딩 용지의 제7칼럼에 사용하는 특수 문자이다. *표시를 하면 그 행은 참고란으로 취급된다. [[Java]], [[Python]], [[DOS]], [[SQL]]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모든 것'을 뜻하는 일종의 [[와일드카드]]다. 어떤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특정 대상을 불러올 때는 그 특정 대상의 이름을 쓰는 반면, 모든 것을 불러올 때는 특정 대상의 이름 자리에 *를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Java를 예로 들면, import java.util.'''*'''로 선언해서 java.util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들을 import하겠다는 의미로 쓰인다. [[A(프로그래밍 언어)|APL]]에서 *는 [[거듭제곱]] 연산자이다. 곱셈은 수학에서 쓰는 곱셈 기호인 ×로 쓰니 주의. ==== 검색 와일드 카드 문자 ==== [[전자 사전]] 또는 모바일 사전 어플에서 *를 입력하면 * 안에 들어가는 모든 단어를 검색해준다. ?와 더불어 만능 문자 또는 와일드 카드 문자(wild card character)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영어 사전에서 'a*d'라고 검색하면 a와 d 사이에 있는 모든 영어 단어들을 검색해준다. 찾는 단어의 철자가 잘 생각나지 않을 때 활용하면 유용하다. 한국어의 예를 들자면 '사*형'이라고 검색하면 사각형, 사동형, 사형 등 사와 형 사이에 있는 모든 단어들이 검색된다. 반대로 단 하나의 문자만을 검색하고 싶으면 [[?]]를 쓰면 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가?'라고 검색하면 가나, 가다 등 2음절로만 검색되고 가자미, 가나다순 같이 설정된 문자 수를 초과한 단어는 검색되지 않는다. 구글 등 인터넷 검색 엔진에서도 사용된다. ==== [[야구]] ====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기록의 뒤에 *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는 아니며''' 팬이나 호사가들이 조롱의 의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존 야구에서의 *의 사용은 특이사항 기입을 위한 [[각주]]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볼 레퍼런스]]의 * 사용이 그 예인데, [[http://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c/chapmar01.shtml|아롤디스 채프먼의 문서]]를 예로 들면 루키 스테이터스, [[FA 제도|FA]], 에이전트 등에 대한 부가설명을 위해 *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MLB]]에서 [[로저 매리스]]가 1961년 61홈런을 치며 [[베이브 루스]]의 기존 1시즌 최다홈런 기록인 1927년 60홈런 기록을 깨자, 1961시즌의 경기수(162경기)가 1927시즌의 경기수(154경기)보다 8경기 더 많았으므로, 커미셔너가 공식 기록에 그의 61홈런 기록에 *를 달아 각주로 그에 대해 부연설명을 달 것이라는 루머가 퍼졌다. 실제로 매리스의 기록에 별표가 붙는 일은 없었다고 지금은 얼버무리지만, 당시의 기네스 북이나 거의 모든 기록책에는 분명히 별표가 있었다. 법적으로 없었다고 우기더라도 본인을 포함해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인식하고 있었으니, 있었다고 보아도 틀리지 않다. 1994년 당시 커미셔너인 페이 빈센트가 공식적으로 매리스의 기록에서 별표를 '제거' 한 후에야 별표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그 이후 '논란이 되는 기록에 *을 단다'는 내용 자체는 널리 퍼졌고 여타 야구에서 온 표현들 (caught off base, throw a curve ball 등...) 처럼 실제 언어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come) with an asterisk'는 '(각주를 달고 설명해야 할 만한) 특이사항 혹 논란거리가 있다'는 정도의 의미를 가진 관용어구로 쓰인다. 예를 들어, [[스즈키 이치로]]가 2016년 6월 15일 [[NPB]]+[[MLB]] 통산 4,257안타를 치며 [[피트 로즈]]의 [[MLB]] 통산 4,256안타 기록을 넘은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을 때, [[http://www.nytimes.com/2016/06/16/sports/baseball/ichiro-suzuki-ties-pete-rose-with-an-asterisk.html|뉴욕 타임즈]]는 기사 제목을 Ichiro Suzuki Moves Past Pete Rose, With an Asterisk로 뽑았다. 이런 용법은 비단 MLB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NBA]]에서도 이런 표현을 곧잘 찾아볼 수 있다. [[http://www.sbnation.com/2015/4/22/8467163/lebron-james-nba-finals-eastern-conference-chart|#]][[http://www.orlandosentinel.com/sports/orlando-magic/os-lebron-james--nba-finals-brian-schmitz-0606-20150605-column.html|##]] [[스테로이드 시대]] 이후에는 야구팬들이 약물 복용 혐의를 받은 선수들을 조롱하는 의미에서 별표를 쓰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배리 본즈]]. 약물 의혹이 표면화된 이후 그의 원정길엔 항상 눈물 모양의 별표가 따라다녔다. [[파일:external/onmilwaukee.com/scorecard072107_story1.jpg]] 2007년 배리 본즈를 조롱하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홈팬들 배리 본즈가 [[행크 아론]]의 기존 개인 통산홈런 기록 755개를 깨는 756호 홈런을 때렸을 때, Marc Ecko라는 사업가는 그 756호 홈런볼을 구매해 인터넷 팬투표로 의견을 수렴하고, 그에 따라 별표를 새긴 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에 기부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Barry_Bonds_756_Ball.png]] 나무위키에서도 몇몇 야구팬들이 약쟁이들에게 *를 붙여 문서를 작성하곤 하는데, 야구팬들의 비공식적 문서라면 상관 없겠지만[* 각 팀별 경기 정리내용 같은 문서들] [[KBO 리그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 문서같이 공식 수상자를 정리하는 문서에서 *를 쓰는 것은 잘못된 표기이다. 물론 나무위키도 공식 사이트는 아닌 만큼 토론을 통해서 모든 약쟁이에게 *를 붙이는 것으로 합의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 그런 합의는 없었다. (이는 야구 외에 다른 스포츠 종목의 도핑 적발 선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고로 공식 문서에서는 * 대신 비고 혹은 기타 란에 [[도핑]] 전력이 있음 정도를 표기하자. 드문 경우로 진짜로 도핑이나 기타 불미스러운 일로 수상이 취소되는 경우도 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이런 선수들에게는 * 대신 취소선을 사용한다. ==== 이외 스포츠에서 ==== [[파일:양궁_점수표_별표.jpg]] [[양궁]] 경기중에 임시로 이 별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점수 확인이 필요함'''이라는 의미이다. 화살이 과녁에 걸쳤는지 아닌지 원거리에서는 확인이 안될 경우, 일단 낮은 점수로 표기하고 별표를 달아 둔다. 예를 들어 9* 는 10점 라인에 닿았는지 안닿았는지 확인이 안되는 9점이란 의미이다. 각 라운드가 끝나면 심판이 과녁을 확인하여 최종 점수로 확정하는데 닿지 않았으면 그대로 9점이 되고, 선에 닿았으면 10점으로 정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별표는 삭제된다. 경기중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최종 점수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나무위키]] 문법 ==== {{{[*}}}로 열고 {{{]}}}로 닫아서 [[각주]] 처리를 할 때 쓰인다. 각주 번호는 따로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문서 윗쪽 순서대로 붙는다. 한 칸 [[스페이스]]를 띄우고 별표를 쓰면({{{ *}}})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 기타 ==== * 서구권에서는 출생일자를 표기할 때 별표를 붙인다. 이는 [[베들레헴의 별]] 일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 감탄사나 행동 앞뒤로 아스테리스크를 붙여 *Sigh*[* 한숨이라는 뜻. 한국어로 치면 "에휴" 또는 (한숨) 정도 된다.] 와 같은 식으로 사용한다. *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의 경우, 저장되지 않은 변경 사항이 있을 때 현재 열린 파일명 앞에 *가 붙는다. * [[논문]] 양식 중에는 [[각주]] 기호로 숫자가 아닌 *를 쓰는 경우가 있다. 주로 저자명 뒤에 *를 찍고 소속을 각주로 밝힌다. * [[웹 브라우저]]에서는 [[비밀번호]] 입력 폼에서 비밀번호를 가려주는 [[숨김표]]의 기능으로 쓰인다. 그저 가려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 따라서 별표 말고 다른 특수문자를 쓸 때도 있다. 2010년대에 나온 브라우저는 큼지막한 [[가운뎃점]](●)을 사용한다. 윈도우의 경우 윈도우 XP부터 바뀌었다. 글꼴에 따라 다이아몬드와 비슷한 형태의 원이 나오기도 한다. === * 키 === [[한글]], 영문자 공히 키보드 [[Shift 키]] + [[8]]. [[키패드]]에는 대체로 9 키 위에 * 키가 있어 Shift 키 없이 *을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인 키패드 키 구성에서 번호 외에 입력 가능한 문자는 [[문서:/|/]], *, [[-]], [[+]], [[.]](점) 5개이다. [[소수점]] 표기나 [[사칙연산]] 연산자 표기에 쓰이는 문자이다.] 키패드의 숫자 키와는 달리 [[Num Lock]] 키를 눌러도 입력 기능이 작동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전화]]에는 0~9 숫자에 [[\#]]과 *가 있다. 주로 4행 3열 숫자 패드에서 4번째 행에 0이 가운데 열에 있고 왼쪽에 #, 오른쪽에 *가 있는 식이다. * [[피처폰]]에서 * 을 길게 누르면 진동 모드([[매너모드]])의 설정과 해제가 가능하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2751460|피처폰을 접해본 경험이 없는 아이들은 이 기능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 [[문서:*23\#|*23#]]를 누르면 발신자 표시를 숨기고 전화를 걸 수 있다. == 별표(別表) == 따로 붙인 표시나 도표. '따로 붙인 표'로 순화. 법령이나 조례에서는 [[법 조문 체계|조, 항, 호, 목 4단계]]의 조문 형식으로 작성하기 곤란한 내용을 적는다. 따라서 별표에서는 1. 가. (1), (가), 1) 등의 순으로 여러 단계로 내용을 작성할 수 있으며, 여러 줄과 여러 칸으로 내용을 알기 쉽게 작성할 수도 있다. [[선거구/대한민국|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공직선거법]]의 별표로 규정된다. 따라서 별표임에도 [[게리맨더링]]이나 평등권 침해 등을 이유로 별표에 대한 위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