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통치 기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 제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병대에서 사용되었던 군 계급, rd1=병조(계급))] [include(틀:조선의 중앙 정치 기구)] [목차] == 개요 == 병조(兵曹)는 [[조선]]의 중앙 [[행정기관]] [[육조]]의 하나로 하관(夏官), 기성(騎省), 기조(騎曹), 서전(西銓)이라고도 한다. [[무관]]의 [[인사(직무)|인사]], [[국방]], [[병역제도]], [[의장#儀仗]], [[우편]] 등의 업무를 맡았다. 단기간에 정보가 퍼지기 어려웠던 고대사회에서 지방행정을 담당한 기관이기도 하다. [[장관]]은 정2품 [[판서]]이다. 오늘날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해당한다. == 연혁 == [[고려]] [[성종(고려)|성종]] 대에 중국의 육전체제(六典體制)를 참고하여 군사 관계의 일, 즉 군무(軍務)를 다스리는 기관으로 설치한 병부(兵部)가 그 시초다. [[원 간섭기]]에 군부사(軍簿司)로 격하되었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실세 [[충선왕]]이 병조로 개칭하였다. 나중에 선부로 통합되었다가 도로 독립, 총부와 군부사를 반복하다가 [[공민왕]]이 반원 개혁을 하면서 병부로 환원하였다. 그러나 또 다시 병부와 군부사를 반복하다가 1389년([[공양왕]] 1)에 군부사를 병조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것이 1392년 7월을 기하여 [[조선]] 병조로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군무에 관한 최고 의사결정은 [[도평의사사]]가 하고 있었고, 일상적인 군무는 [[중추원]]이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병조의 위상은 미약하였다. 1393년에 군무를 총괄하는 [[삼군부|의흥삼군부]]가 설치되었고, [[정도전]]을 판의흥삼군부사로 하여 사병 혁파 등 강한 군정을 펴나가는 동안 병조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더욱 약화되었다. 그러나 1400년(정종 2년) 4월에 의정부가 성립되고, 1405년(태종 5년)1월 육조 격상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육조 중심의 통치체제가 확립되었다. 그 결과 병조의 임무와 권한이 완전하게 되었다. 이는 [[경국대전]]이 편찬된 성종 대로 이어진다. == [[직제|조직]] == * 무선사(武選司) [[무관]], [[군사#軍事]] 등의 [[인사(직무)|인사]]와 [[고신]] 및 처벌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승여사(乘輿司) [[의장#儀仗]], [[수레]] 및 [[가마(탈것)|가마]], [[군마]] 양육, [[우편]], 하급 [[군관]] 및 [[군인]] 관리 등의 업무를 맡았다. * 무비사(武備司) [[병역제도|병역]] 인구, 각종 [[무기]] 및 군사 장비 관리, 군사 [[훈련]], [[순찰]], [[국방]], [[급여]], [[휴가]] 등의 업무를 맡았다. == 산하기관 == * [[오위]] * 훈련원(訓鍊院) [[무관]]의 [[교육]] 등의 업무를 맡았다. 오늘날 [[사관학교]] 등에 해당한다. * 사복시(司僕寺) 국왕의 말인 내구마와 가마인 연 그리고 공주,옹주의 가마인 덕응을 관리했다. * 군기시(軍器寺) [[무기]] 제작 등의 업무를 맡았다. 오늘날 [[국방과학연구소]], [[방위사업청]] 등에 해당한다. * 전설사(典設司) 궁궐의 행사때에 쓰는 장막을 관리한다. *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세손위종사 계방이라고도 불리며 세자,세손의 경호를 담당했다. == [[병조판서]]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병조판서)] {{{#!folding [ 병조판서 목록 펼치기 ] [[병조판서]]는 척신들이나 훈신들, 또한 그 외의 권신들 및 권신들의 측근들이 많이 차지하곤 했다. * [[김종서(조선)|김종서]]와 [[황보인]]의 측근인 [[조극관]]과 [[민신]] * [[훈구파]] 창업 멤버 [[한명회]], [[신숙주]], [[정인지]] * [[사육신]]의 [[단종복위운동]]을 고발한 [[김질]] * 훈구파 영수 [[김국광]] * [[인수대비]]의 사촌 오빠 [[한치형]], 훈구파 대신 [[성준]], [[이극균]] * [[연산군]] 초의 국가 원로 [[이극배]], 연산군의 장인인 [[신승선]] * 연산군 시대의 신하인 [[임사홍]] * [[을사사화]]를 일으키는데 앞장선 [[이기(조선)|이기]] * [[선조(조선)|선조]] 연간의 [[명재상]]인 [[류성룡]] *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이항복]]과 [[이덕형]] * 선조 말기의 권력 실세인 [[유영경]], 한응인 * [[광해군]]의 처남 [[류희분]], 광해군과 사돈을 맺은 [[박승종]] * 최명길의 장인이자 도원수를 맡은 적이 있는 [[장만]] * [[인조]] 연간의 권신 [[김자점]] * [[서인]] [[산당|산림]]의 양대 영수 [[송시열]]과 [[송준길]] * [[자의대비]]의 친척 [[조사석]], 김만기의 동생 [[김만중]], 민유중의 형 [[민정중]], 김석주의 아버지 [[김좌명]] * 숙종 때 남인의 영수 [[권대운]] * [[숙종(조선)|숙종]] 연간의 삼척인 [[민유중]], [[김만기(조선)|김만기]], [[김석주]], 김석주의 공작 정치를 도운 [[이사명]] * [[기사환국]] 이후 [[희빈 장씨]]의 측근 [[민암]], 민암의 일족 [[민종도]], 민암의 측근 [[목창명]] * [[소론]]의 영수 [[남구만]], [[윤지완]] * 소론의 5대신 [[조태구]], [[최석항]], [[유봉휘]], [[조태억]], [[이광좌]], [[이광좌]]의 재종형 [[이태좌]] * [[김만기(조선)|김만기]]의 아들인 [[김진구]], [[민유중]]의 장남인 [[민진후]] * [[민정중]]의 아들 [[민진장]], [[민시중]]의 아들 [[민진주]] * [[노론]] 4대신 중 [[이이명]], [[이건명(조선)|이건명]], [[조태채]] * 영조의 척신 [[홍봉한]], 그 동생 [[홍인한]] * 정조 때의 명신 [[채제공]]}}} == 기타 == 병조는 [[의정부]] 서사제가 실행되는 시기에도 [[6조 직계제]]가 적용되어 왕이 직접 관리했다. 이는 군권, 병마지권을 왕이 장악하여 [[쿠데타]]가 일어날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다. === [[삼군부]]와의 관계 === 군무(軍務)는 크게 [[군정권]]과 [[군령권]]으로 나뉜다. 군정권은 양병 즉 [[군사력]]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군사정책에 관한 일이며, 군령권은 용병 즉 [[군사력]]을 지휘하고 운영하는 [[작전]]에 관한 일이다. 병조는 군에 관한 인사, 군수, 교통에 대한 일을 담당하여 군정(軍政)을 총괄하는 관서였다. [[조선]] 초기에는 군령(軍令)에 관하여 [[삼군부|의흥삼군부]]가 이를 장악하고 있었다. 1405년에 병조가 승격되어 삼군부의 후신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그 예하에 두면서 병조는 군령상으로도 총괄하는 지위를 획득하였다. 1409년 8월에 병조가 군사를 모두 지휘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여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가 설치되었다. 삼군진무소가 [[군령권]]을 장악했는데 이것이 [[세조(조선)|세조]] 때에 [[오위]]도총부로 개칭되어 [[성종(조선)|성종]] 때 [[경국대전]]에 수록된다. 하지만 병조는 여전히 [[군령권]]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병조는 [[군정권]]을 총괄하였기에 군 인사권을 쥐고 있어 오위도총부는 병조의 의중을 무시할 수 없었던 것. 실제로 왕이 군령을 발하는 데 있어 병조의 낭청과 삼군진무소의 진무가 함께 승명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같은 양 기구의 관계는 현대의 각 군 [[본부]]와 [[합동참모본부]]의 관계와 상당히 유사하다. [[육군참모총장]]은 육군에 대한 [[군정권]]을 행사하며 [[합동참모의장]]은 [[군령권]]을 행사한다. 그런데 합동참모의장이 육군참모총장의 의중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 그러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병조, version=65, title2=병조(조선), version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