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2> {{{+2 '''보성강'''}}} [br] '''寶城江''' | '''Boseong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성강.jpg|width=100%]]}}}|| || ▲초암산에서 서쪽을 보고 찍은 사진. 저 멀리 미력면소재지가 보이고, 좌상단에 희미하게 보성읍내도 보인다. 빨갛게 파헤쳐진 부분은 '''[[남해고속도로|{{{#white 남해고속도로}}}]]''' 공사현장이다. ||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동부를 흐르는 강이며 [[섬진강]] 수계에 속한다. 길이 120.30km, 유역면적 1,246.70㎢로, 섬진강의 지류 중 가장 길다. [[보성군]] 웅치면과 회천면과의 경계에 있는 일림산(日林山:664m)에서 발원한다. 거기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잠시 [[장흥군]] 장평면 쪽으로 방향을 튼다. 다시 동쪽을 향하여 [[보성읍]]을 지나 소백산맥의 지맥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감입곡류하면서 북동쪽으로 흘러 [[순천시]]의 북서부와 [[곡성군]]의 남부를 지난다. [[전라선]] [[압록역]] 부근에서 [[섬진강]]으로 유입하는데 이 부근에서 물살이 센 여울을 이룬다. 상류에는 1930년대에 득량만 간척과 함께 일찍이 보성강 댐이 축조되어 산 너머 득량만 연안의 간척지에 관개용수를 보내고 있으며, 남한 최장수 수력발전소인 [[한국수력원자력]] 보성강수력발전소로 물을 보내 [[수력 발전]]도 하고 있다. 중류에 [[주암댐]]이 축조되어 주암호라는 꽤 넓은 호수를 형성하고 도수터널을 뚫어 이사천 유역의 상사조절지댐과 연결했다. 주암호의 물은 [[화순군|화순]], [[광주광역시|광주]], [[나주시|나주]], [[목포시|목포]] 등 광주와 전남 중, 서부권에 공급되고 상사호의 물은 [[순천시|순천]], [[고흥군|고흥]], [[여수시|여수]], [[광양시|광양]] 등 전남 동부권에 공급된다. 즉, [[주암댐]]과 [[상사댐]]은 [[광주광역시|광주]], [[전라남도|전남]]권에 매우 중요한 젖줄 역할을 하며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시설물들이다. 주암댐 건설로 보성군 복내면과 문덕면, 순천시 [[송광면]]을 비롯하여 여러 지역이 수몰되었다. 그리고 [[주암면]]에 있는 고인돌 유적지가 수몰되었고, 대신 고인돌공원을 주암호 호반 한쪽에 조성해 놓았다. 또한 문덕면 용암리에 [[서재필]]의 생가가 있어 그를 기념하기 위해 호수변에 [[서재필 기념 공원]]을 조성하여 [[독립문]] 1:1 실사 모형도 있다. 강에는 은어·자라 등이 서식한다. [youtube(yyHRj8ddoCQ)] [[분류:전라남도의 강]][[분류:섬진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