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순전히 '''듣는 매체'''이자 아날로그 매체였던 [[라디오]]가 위기에 봉착하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라디오 스튜디오 영상을 보여주는 서비스로서 청취율 하락 추세에 라디오 방송사에서 마련한 대책. 보통 별도의 프로그램([[KBS 콩]], [[MBC 미니]], [[SBS 고릴라]], [[EBS 반디]] 등)을 통해 방송하는 경우가 많지만, 지상파 3사 표준FM([[KBS 제1라디오]], [[MBC 표준FM]], [[SBS 러브FM]])은 각각 자사의 시사 라디오 프로[* [[최강시사|최경영의 최강시사]], [[주진우 라이브]], [[시선집중]], [[뉴스 하이킥]], [[고현준의 뉴스브리핑]], [[김태현의 정치쇼]]]를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으로도 방송하고, [[기독교방송]]과 [[TBN 한국교통방송]]도 각각 자사의 시사 라디오 프로인 [[김현정의 뉴스쇼]],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배종찬입니다|배종찬의 시사하는바가크다]]를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방송한다. 또한 지상파 계열 중에서도 [[KNN]], [[부산MBC]], [[KBS청주]] 등 지역국의 경우 가청권 외에 거주하는 팬들을 위해 야구중계를 보이는 라디오로 송출하기도 한다. 일부 방송국, 특히 [[TBN 한국교통방송|TBN 교통방송]]은 이 개념과는 반대로 일부 "보이는 라디오"를 [[지역방송]]이나 [[직접사용채널|케이블 지역채널]]로 동시중계를 하기도 한다. == 각 방송사별 보이는 라디오 특징 == * [[KBS]] [[KBS 제2라디오|해피FM]](106.1MHz)와 [[KBS 2FM|쿨FM]](89.1MHz)/U-KBS MUSIC(ⓤKBS♬; KBS 쿨FM 재송출), [[KBS 제1라디오|제1라디오]](FM 97.3MHz/AM 711kHz)에서 보이는 라디오를 운영하고 있으며, 앞의 두 채널은 KBS 본관 2층에 있는 오픈 스튜디오에서 생방송을 하면서 보이는 라디오 송출을 동시에 내보낸다. 1997년 '이본의 볼륨을 높여요'의 진행 장면을 국내 방송 사상 최초로 인터넷 생중계를 했던 게 시초이며 이후 2000년부터 보이는 라디오를 시작했는데, [[MBC]], [[SBS]]보다 일찍 보이는 라디오 화질을 --쿨FM에 한해서만-- 올렸고, 일찍이 화면분할 기술을 도입하였다. [youtube(_97ad8aS7cY)] [youtube(Ec_6m7v8knQ)] [youtube(xcFXpAPjA7Y)] 위는 쿨FM의 2018년 [[키스 더 라디오]] [[곽진언]] 출연분, 가운데는 해피FM의 2016년 행복한 두시 조성모입니다 [[GOT7]] 출연분, 아래는 제1라디오의 2020년 [[시사본부]] [[최유나(변호사)|최유나]] 출연분. 제1라디오는 2021년 9월까지만 해도 여기에 적힌 보이는 라디오중에서 [[화질구지|화질이 가장 나빴다]]. 유튜브 기준으로 쿨FM과 해피FM은 진작에 1080p FHD로 올렸는데 여기는 무려 '''화질 최대치가 720p였다.''' 2021년 추석 즈음부터 제1라디오 역시 화질을 1080p로 올렸고, 60fps 프레임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파일:IMG_20170614_204124.jpg]] U-KBS MUSIC은 뉴스자막 전달목적으로 인해 8초당 1[[프레임]]으로 송출돼야 하지만 실제론 2초당 1프레임에 '''[[화면비율]] 4:3(320×240)으로 송출한다.''' 문제는 4:3비율 때문에 분할 시 짤리는 문제가 있다. [[KBS 제1라디오|제1라디오]]의 경우에는 보이는 라디오 클립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21년 7월부터 UHD 지상파를 통해서도 보이는 라디오를 제공한다. 채널번호는 9-3번. [[파일:IMG_20190419_225234.jpg]] * [[MBC]] [[MBC 표준FM|표준FM]](95.9MHz)와 [[MBC FM4U|FM4U]](91.9MHz)에서 보이는 라디오 송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두 채널은 여의도 시절까지만 해도 3사 중 화질이 가장 나빴으나, 상암동으로 이전하면서 설비를 전부 바꾼 덕에 3사 중 화질이 압도적으로 좋은 상태이다. 표준FM [[IDOL RADIO]]의 경우 [[V LIVE]]로도 송출되어서 상시 고화질 전송이 되며, [[서유리]]의 [[트위치]] 채널에서 <모두의 퀴즈생활> 프로그램의 보이는 라디오가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다.[* 트위치는 개인채널에서의 지상파, 케이블 프로그램 재전송이 웬만하면 안 되는데, 서유리 본인이 MBC 측과 사전에 협의 후 송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youtube(ZFe_FhfsMKs)] [youtube(tqfL8WQpfME)] 위는 FM4U의 2023년 [[친한친구(MBC)|친한친구]] [[이채연]]&[[채인]] 출연분, 아래는 표준FM의 2021년 [[시선집중|김종배의 시선집중]] [[손석희]] 출연분. * [[SBS]] [[SBS 러브FM|러브FM]](103.5MHz)와 [[SBS 파워FM|파워FM]](107.7MHz) 해당으로 보이는 라디오 송출 운영 중. 삼사 보이는 라디오 송출 가운데 중 가장 화질이 왔다갔다하는 방송국. ([[비트레이트]]의 가변폭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어때는 정말 좋았다가 어쩔때에는 정말 나빠지기도 하는 등....... 상당히 오락가락하다. 단, [[배성재의 TEN]]은 [[카카오TV]]로 생녹방을 진행하여 생녹방의 경우 SBS 라디오의 타 프로그램 보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좋은 화질을 자랑하며, 유튜브 채널과 파트너십을 맺어 공식 하이라이트 및 다시보기를 내보내고 있다. [youtube(GA1XeuzicJ8)] 파워FM의 [[배성재의 TEN]] The 덕 퀴즈쇼 2019년 방송분. --핵심은 [[장예원]]-- == 해외 사례 == 보이는 라디오 보기를 누르더라도 음성만 나오다가 보이는 라디오를 하는 프로그램을 생방송 할 때만 카메라를 열어놓는 경우도 있고, [[RTL]] 룩셈부르크나, [[VRT]] 클라라 처럼 심야시간에 비어있는 스튜디오까지 그대로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유럽은 지상파(DVB-T를 이용한 [[다채널방송]].)나 IPTV 등을 통해 라디오 방송을 듣거나 볼 수 있기도 하고 규모가 작은 국가에서는 지상파 방송이 오전 시간에 보이는 라디오로 송출하기도 한다. === 프랑스 === 라디오 프랑스(프랑스 앵포, [[프랑스 앵테르]]), [[RTL]](RTL, 펀 라디오), Europe 1 등이 보이는 라디오를 제공한다. [youtube(31S5sMy-nOM)] 프랑스 앵포 - 데일리 모션에서 보이는 라디오 송출을 한다. [youtube(6oEdPazQfKI)] [[프랑스 앵테르]] - 유튜브를 통한 보이는 라디오 송출을 한다. 모든 프로그램을 보이는 라디오 송출을 하진 않는다. [youtube(JNRkwxaIjaU)] 펀 라디오 === 벨기에 === RTBF는 라 프르미에르, 비바시테, Tipik Vision이 보이는 라디오를 제공하고, VRT는 모든 라디오 방송국이 보이는 라디오를 제공한다. 그 외 프랑스어권 방송 중에서는 Bel [[RTL]]이라는 RTL계열 라디오 방송이 보이는 라디오를 제공한다. [youtube(jgiuZK7liP8)] [[RTBF]] 라 프르미에르 - 보이는 라디오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할 때만 RTBF Auvio에서 라이브가 열린다. [youtube(AIT3lPFGq8s)] [[VRT]] 라디오 2 ---- * [[https://radioplus.be/#/klara/herbeluister|VRT 클라라]] - Kijk mee를 누르면 보이는 라디오로 전환된다. === 룩셈부르크 === *[[https://www.rtl.lu/radio/lauschteren|RTL 룩셈부르크 라디오]] - 모든 시간에 보이는 라디오를 하지만 24시간 방송은 아니고 심야시간에는 음악만 틀어줄 때 조명이 꺼진 빈 스튜디오를 보여준다. == [[인터넷 방송]] 은어 == [[아프리카TV]]에서는 게임, 스포츠, 엔터[* 아프리카TV가 판권을 구입한 지상파/케이블, 애니 송출 방송을 구분한 카테고리]이외의 콘텐츠를 뭉뚱그려서 '보이는 라디오'로 분류한다. 줄여서 '보라'로 많이 부르며 정식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다. [[트위치]]에서의 [[Just Chatting]]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로 통용되는 의미는 좀 다르다. 보이는 라디오라는 작명은 아마도 캠을 켜고 시청자들과 토크하면서 수금하는 남캠/여캠 방송을 라디오 방송이라는 적당히 듣기 좋은 말로 끼워 맞춘 듯 한데, 본격적으로 콘텐츠를 짜고 예능 형태로 방송하는 BJ들이 보이는 라디오 카테고리로 방송하며 스스로 보라 BJ로 칭하기 시작하자 '''인방판에서 '보이는 라디오' 라는 말은 사실상 '예능 방송, 콘텐츠 방송'의 동의어'''로 쓰이기 시작한다. 아프리카TV에서 일컬어지는 보이는 라디오 방송은 주로 특정 컨셉하에 벌어지는 BJ들의 리액션 혹은 BJ들간의 합방을 통해 이끌어내는 다양한 캐미 등으로 시청자들의 웃음을 유발시키고 그것이 [[별풍선]]을 통한 수익창출로 이어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래서 보라 컨탠츠의 성공 척도는 어디까지나 해당 방송 콘텐츠가 시청자들의 웃음과 별풍선을 얼마나 이끌어내냐에 달려있다. 트위치에서는 아프리카TV식 보이는 라디오 컨셉을 도입하자고 주장했던 스트리머들이 [[조강현/논란#s-1.1|술을 먹고 사고를 치는 등]] 여러 구설수를 만들었기 때문에 보라 방송에 대한 이미지가 심각하게 좋지 않다. 한때는 '보라' 개념이 멸칭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었다. 어쨌든 이들의 활약(?) 덕에 2023년 기준으로 트위치에서는 '보이는 라디오'라는 용어가 "트위치의 [[Just Chatting]]과는 결이 다른, [[아프리카TV]] BJ들 고유의 콘텐츠 방송"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관련 문서 == * [[영상매체]] [[분류:라디오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