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MBN 당신이 바로 보이스 시리즈]][[분류:트로트]][[분류:2019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0년 종영]] [[파일:qhdltmznls.png]] [목차] [clearfix] == 개요 == [[MBN]]에서 [[2019년]] [[11월 21일]]부터 [[2020년]] [[1월 23일]]까지 10부작으로 방영한 [[서바이벌 프로그램]]. 매주 [[목요일]] 오후 9시 50분부터 방영했다. 경쟁사인 [[TV CHOSUN]]의 [[TV CHOSUN 오디션 프로그램 시리즈|트로트 오디션 시리즈]]가 스타를 탄생시키는 [[오디션]]에 주 목적을 두고 있다면, 보이스퀸은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 참가자 == * 강유진(39세) * 강진선(39세) * 고나겸(49세) * 김루아(31세) * 김미영(41세) * 김보라나(48세) * 김상월(61세) * 김선영(46세) * 김세미(32세) * 김수연(49세) * 김시내(45세) * 김신례(35세) * 김안희(49세) * 김은숙(44세) * 김은주(50세) * 김향순(40세) * 김혜진(46세) * 김호순(32세) * 나예원(51세) * [[진영(가수)|노진서]](43세) * 문정옥(53세) * 박꽃별(36세) * 박미송(52세) * 박연희(58세) * 박은경(47세) * 박은정(42세) * 박진영(39세) * 배금(51세) * 배덕순(53세) * 배새봄(35세) * 백신혜(39세) * 서젬마(56세) * 성은혜(44세) * 송연경(42세) * 안소정(63세) * 안이숙(48세) * 야부제니린(27세) * 양선의(22세) * 유수현(64세) * 유은하(45세) * 윤기하(48세) * [[이수진(가수)|윤은아]](54세) * 이권미(43세) * 이도희(37세) * 이미란(62세) * 이미령(54세) * 이미리(34세) * 이복순(60세) * 이서현(30세) * 이세벽(43세) * 이유나(31세) * 이윤경(35세) * 이주리(32세) * 이찬미(35세) * 이채민(38세) * 이하영(31세) * 이한경(53세) * 이해진(28세) * 이향유(30세) * 이효진(38세) * [[임현정(1970)|임현정]](54세) * 장한이(33세) * 전영랑(37세) * 전영분(63세) * 전초아(41세) * 전혜자(61세) * 정수연(35세) * 정은주(40세) * 정재은(52세) * 조엘라(38세) * 주설록(33세) * 천가연(38세) * 최성은(35세) * 최세연(45세) * 최연화(47세) * 허서문(31세) * 홍민지(32세) * 홍주현(46세) * 홍주혜(30세) * 황인숙(45세) === 화제의 참가자 === * 김보라나- 전 UPT 멤버 * 박진영- 버블시스터즈 멤버 * 이미리- 송가인 친구 * 이효진- 히든싱어 준우승 * [[전초아]]- 가수 란 * 정재윤- 개그우먼 * 주설옥- 판타스틱 듀오 출연 * 최성은- 보이스 코리아 2 출연 * 황인숙- 히든싱어 준우승 == 본편 == ||<-4> '''[[보이스퀸|{{{#ffffff 보이스퀸 Top 3}}}]]''' || || 1위 [br] [[정수연(가수)|정수연]] || 2위 [br] [[조엘라(국악인)|조엘라]] || 3위 [br] [[최연화]] || == 시청률 및 평가 == * {{{#blue 파란 글자}}}는 최저 시청률, {{{#red 빨간 글자}}}는 최고 시청률. || '''회차 (방영일)''' || '''시청률''' || ||1회(2019년 11월 21일) ||<:>{{{#blue 5.3%}}} || ||2회(2019년 11월 28일) ||<:> 7.5% || ||3회(2019년 12월 5일) ||<:> 8.1% || ||4회(2019년 12월 12일) ||<:> {{{#red 8.6%}}} || ||5회(2019년 12월 19일) ||<:> 8.1% || ||6회(2019년 12월 26일) ||<:> 8.4% || ||7회(2020년 1월 2일) ||<:> 7.9% || ||8회(2020년 1월 9일) ||<:> 6.1% || ||9회(2020년 1월 16일) ||<:> 6.1%|| ||10회(2020년 1월 23일) ||<:>8.5% || * 선발주자인 미스트롯과 비교해 보면 중장년층의 관심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인터넷 상의 화제성은 다소 떨어지는 면이 있었다. 또한 중간에 미스터트롯이 방송을 시작하면서 주요 시청자인 중장년층이 대거 이동해 [[시청률]]이 다소 떨어졌다. 그래도 MBN 역대 시청률 1위인 8.6% 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기타 == * 종영 후 보이스퀸 참가자들이 출연하는 외전 프로그램 [[트로트퀸]]이 방송되었다. * 한 참가자가 본인은 [[소녀시대]]로 데뷔할 뻔했던 연습생이었다고 언급하여 논란이 있었다.[* 일단 SM엔터테인먼트 내에 연습생이 극소수도 아닐뿐더러, 소녀시대도 데뷔 전 최종 테스트를 통해 멤버들이 여러번 교체되었다. 소녀시대 데뷔조 출신으로 유명한 인물로는 [[티아라(아이돌)|티아라]]의 [[소연(1987)|소연]]과 [[허찬미]]가 있다. 이 둘은 최종 선발에서 탈락하였다. 그러나 소녀시대를 언급한 보이스퀸 참가자는 소녀시대 선발에서 최종 탈락한 멤버가 아닌 단순히 연습생으로 있었음에도 소녀시대로 언플하는거 자체가 너무 뜬금없다는 반응이었다. 물론 SM 연습생이었던 점은 사실이니 '계속 노력했으면 소녀시대도 될 수 있었겠죠'라는 얘기 정도로 끝냈으면 될 것을 '될 뻔했다'라고 지나치게 과장한 것이 문제였다. --[[NCT]] 멤버들과 연습생 생활을 같이했던 [[지한솔]]도 '본인이 NCT가 될 뻔했었다' 따위의 소리는 하지 않았거늘...--] 이때 [[소녀시대]] 멤버인 [[태연]]이 본인의 sns로 소녀시대는 8명이 노력하여 이루어진 그룹이며, 아무 관련도 없는 사람들이 소녀시대의 네임드를 이용하는거 자체가 불쾌하다는 식으로 언급하였다. 논란을 의식했는지 문제의 발언을 한 참가자는 본인의 sns을 통해 소녀시대 팬들한테 사과문을 올렸다.[[https://www.ajunews.com/view/20191129110454510|#]][[https://content.v.kakao.com/v/5de0c343dabc4f7abb52f718|#]][* 대중들도 본인의 인지도를 올리려고 노이즈 마케팅으로 소녀시대를 이용한다며 비판하였고, 대부분 태연에 대해 옹호하는 분위기였다.][* 정작 당사자 [[소녀시대]]에 대한 사과는 일언반구 없고 팬들에게만 사과해 그 또한 구설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