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Gl4OElUUAEANL5.jpg|width=100%]]}}} || || '''{{{#FFF Boeing Business Jet}}}''' || == 개요 == 보잉 비즈니스 제트(Boeing Business Jet, 약칭 BBJ)는 개인, 기업, 정부의 VIP [[전용기]] 용도에 적합하게 [[보잉]]이 자사의 민간 여객기를 기반으로 개발한 라인업이다. 1998년 첫 비행을 했으며 현재까지 250대 이상이 제작되었다. [[에어버스]]의 [[ACJ]]와 경쟁 관계이다. 보잉 측에서 옵션으로 제공하는 인테리어를 선택할 수도 있고 취향에 따라 개인 인테리어를 할 수 있도록 아무런 가구가 없는 상태로 인도받을 수도 있다. == 라인업 == === BBJ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B40C51E-9AE0-46B7-B2FB-6486C4BF033A.jpg |width=100%]]}}} || || '''{{{#FFF 보잉, N737BZ[br]BBJ1의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035390.jpg|width=100%]]}}} || || '''{{{#FFF [[대한항공]], HL8222}}}''' || 보잉 비즈니스 제트의 첫번째 모델. 1998년에 출시되었다. [[보잉 Next-Generation 737#s-3.2.2|보잉 737-700ER]]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보잉 Next-Generation 737#s-3.3|737-800]]의 날개와 랜딩기어를 사용하여 민간용 737-700의 2배인 6000해리(11,000km) 이상 비행이 가능하다. 현재는 단종. 초기에는 그냥 BBJ로도 불렸으나 BBJ 라인업이 확장되면서 지금은 거의 사장된 명칭이 되었다. ==== BBJ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19 수정.jpg|width=100%]]}}} || || '''{{{#FFF [[미합중국 공군]], [[SPAR19|09-0540]]}}}''' || [[보잉 Next-Generation 737#s-3.2.1|보잉 737-700C]]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특징으로는 여객용에서 화물용으로 8시간 내에 신속한 전환이 가능해 VIP 수송뿐만 아니라 구호 물품 수송, 긴급 화물 수송 등 다목적 운용이 가능하다. BBJ1과 마찬가지로 [[보잉 Next-Generation 737#s-3.3|737-800]]의 날개와 랜딩기어를 사용하였다. 현재는 단종. 미국 공군에서도 구입해 [[보잉 Next-Generation 737#s-4.2|C-40]]A, C-40B, C-40C라는 제식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 BBJ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8987_1642663953.jpg|width=100%]]}}} || || '''{{{#FFF [[인도네시아 공군]], A-001}}}''' || 1999년에 출시되었으며 [[보잉 Next-Generation 737#s-3.3|보잉 737-80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BBJ1과 비슷한 거리를 비행할 수 있으나 25% 더 긴 객실과 100% 늘어난 화물 용량을 제공한다. 현재는 단종. === BBJ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994593.jpg|width=100%]]}}} || || '''{{{#FFF [[쿠웨이트군|쿠웨이트 공군]], 9K-GCC}}}''' || 2005년 출시되었으며 [[보잉 Next-Generation 737#s-3.4.1|보잉 737-900ER]]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BBJ1보다 35% 늘어난 객실 공간과 BBJ2보다 11% 많은 화물 용량을 제공한다. 현재는 단종. === BBJ 737 MAX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2d5268a1e0d3ca8e27e74fd35294f89c297bf6f_2_1024x682.jpg|width=100%]]}}} || || '''{{{#FFF 보잉 BBJ MAX 7}}}''' || [[보잉 737 MAX#s-4.1|보잉 737 MAX 7]]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최대 12,960km를 비행 가능하다. 기존 BBJ1보다 최대 10%의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더 긴 객실과 더 많은 화물 용량을 제공한다. === BBJ 737 MAX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8504_1628996549.webp|width=100%]]}}} || || '''{{{#FFF 보잉, N3E}}}'''[* 현재는 N788BJ로 재등록되었다.] || [[보잉 737 MAX#s-4.2|보잉 737 MAX 8]]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최대 12,300km를 비행 가능하다. === BBJ 737 MAX 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eing-BBJ-MAX-9.jpg|width=100%]]}}} || || '''{{{#FFF 보잉 BBJ MAX 9}}}''' || [[보잉 737 MAX#s-4.3|보잉 737 MAX 9]]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최대 11,580km를 비행 가능하다. === BBJ 74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512_1481303005.jpg|width=100%]]}}} || || '''{{{#FFF 아부다비 아미리 플라이트, A6-PFA}}}'''[* 2017년에 [[모로코]] 정부 전용기로 매각되었다.] || [[보잉 747-8#s-3.2|보잉 747-8I]]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BBJ 시리즈 중 가장 큰 모델이며 최대 14,816km를 비행 가능하다. 현재는 단종. === BBJ 77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F1.jpg|width=100%]]}}} || || '''{{{#FFF [[일본정부전용기|일본 정부]], 80-1111}}}''' || [[보잉 777]]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777-200LR과 777-300ER 모델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 최대 18,580km, 17,220km를 비행 가능하다. 현재는 단종. === BBJ 777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eing-BBJ-777X.jpg|width=100%]]}}} || || '''{{{#FFF 보잉 BBJ 777X}}}''' || [[보잉 777X]]를 기반으로 제작될 예정인 차세대 모델. 777-8과 777-9 모델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 최대 21,920km, 20,372km를 비행 가능하다. === BBJ 78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87-8 삼성 전용기.jpg|width=100%]]}}} || || '''{{{#FFF [[대한항공]], BBJ 787-8, HL8508}}}'''[* [[삼성]] 전용기로 활동 중이다. 참고로 HL8508은 처음부터 BBJ로 제작된게 아니다. 원래 [[전일본공수]]의 초기 도입분이었는데 초기 787의 동체 균열로 인하여 주문을 취소했고, 기골을 보강한 상태로 [[아에로플로트]]의 주문을 받지만 항공사가 망해버려서 대한항공이 구매 후 BBJ로 개조하여 삼성에게 대여해주는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404557.jpg|width=100%]]}}} || || '''{{{#FFF 아부다비 아미리 플라이트, BBJ 787-9, A6-PFE}}}''' || [[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787-8과 787-9 모델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 최대 18,418km, 17,566km를 비행 가능하다. [[분류:보잉]][[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