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0년 공개]][[분류:SLBM]][[분류:북극성 미사일]][[분류:준중거리 탄도 미사일]]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북극성-4}}}'''[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북극성 미사일|{{{#fff 북극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극성-4.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극성-41.png|width=100%]]}}}|| ||<-2>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조선 노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된 모습|| || {{{#024fa2 '''북한 명칭'''}}} ||'''《북극성-4》형'''[*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FxSxDy0DBuUJ:https://www.chosonsinbo.com/2021/09/29-52/+&cd=11&hl=ko&ct=clnk&gl=kr|#출처]]] 혹은 '''《북극성-4ㅅ》'''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북극성-4ㅅ || || {{{#024fa2 '''KN 코드'''}}} ||미상 || || {{{#024fa2 '''최대사거리'''}}} ||3,000km 이하 || || '''길이''' ||9.4[*UN 출처: UN [[안보리]] 보고서 S/2021/777 각주 18-2-3 [[https://www.securitycouncilreport.org/atf/cf/%7B65BFCF9B-6D27-4E9C-8CD3-CF6E4FF96FF9%7D/S_2021_777_E.pdf|PDF 링크]]]~9.9m[*ONN 오스트리아 기반 연구소 ONN의 측정, [[https://opennuclear.org/publication/emerging-capabilities-unflown-slbms-dprk|해당 보고서]]] || || '''지름''' ||2m[*UN]~2.05[*ONN] || || '''추진''' ||2단 고체연료 || || '''발사 플랫폼''' ||[[신포 C급 잠수함]]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된 북한의 신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이며, 탄두 부분이 뭉툭하여 [[다탄두 탄도 미사일]]로 추정된다. == 제원 == 2019년 10월에 시험발사에 성공한 [[북극성-3]]에 비해 길이는 짧아지고 직경은 커졌다. 북극성-3형은 길이는 10m, 직경은 1.5m 가량인데 북극성-4ㅅ형은 길이는 8~9m, 직경은 1.8~2m 가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북극성-4ㅅ형은 북극성-3형보다 직경이 커져 여러 개의 탄두, 즉 다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로켓 모터의 상당 부분은 [[북극성-3]]과 공유할 것으로 추론했다. 특히 길이가 짧아진 것은 북한이 현재 건조중인 4000~5000t급 잠수함에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은 미·러·중 등 군사강대국 SLBM 잠수함처럼 '''함교가 아닌 선체의 수직발사대에 미사일을 싣기 때문에 선체 직경(10m)보다 미사일이 길면 탑재를 할 수 없게 된다.''' 북한의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에 북극성-4를 무장할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 - [[https://youtu.be/-MClUZnIfrM?t=1893|#]]] == 상세 == [[떡밥]]은 던졌지만 아직까지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상태라 여러가지 추측이 오가고 있다. === 개발 완료? === [[화성-17]]형과 마찬가지로 실제 발사시험은 실시된 바 없기 때문에 아직 [[SLBM]]으로서 완성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레플리카]]. 즉 [[모형]]이라는 설이다. 하지만 이전 북극성 3형이 실제로 시험 발사를 했고 성공했으며 북극성-4형이 사정거리를 늘리고 다탄두 탑재가 가능한 개량형으로 추정되므로 '''아직 시험발사만 안했을 뿐이며 단순히 모형일 가능성은 적다.''' 적어도 북한 정권이 SLBM 전력의 지속적인 발전을 목표하고 있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에 그 심각성이 있다. === 소속 군종 관련 === [[북극성 미사일]] 시리즈 가운데 첫번째 모델이자 SLBM이었던 [[북극성(미사일)#s-2|북극성(KN-11)]]은 열병식에서 푸른색 도장의 트럭에 실려, [[조선인민군 해군]] 병사들과 함께 등장했다. 해당 미사일이 해군 소속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그런데 이번 북극성-4는 [[조선인민군 육군]] 병사와 함께 등장했다. 어깨에 빨간색 표식이 보인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극성-4와 육군.jpg|width=100%]]}}} || || 북극성-4를 호위하는 육군 병사 || 이에 이 미사일은 육군 소속의 사일로 형태 미사일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https://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4and5_GLBM/index.htm|#]] === 명칭 관련 === 미사일 외부의 표기는 '북극성-4A'가 아닌 '북극성-4ㅅ'인 것으로 추정된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101518412680035|#]] 잘 보면 '성'의 시옷과 폰트가 일치하고, A라고 보기에는 찌그러져 있다. 게다가 북한의 체제 특성상 굳이 [[알파벳]]을 제식 명칭에 넣을 이유도 없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에 따르면 수중 내지는 수상용이라는 의미에서 'ㅅ'을 붙인 것으로 추측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말은 북극성-4의 지상(육상)형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어 2021년에 [[화성-11나]]의 명칭이 등장하면서 숫자+한글 형태의 작명이 실재함도 알려졌다. == 핵잠수함 건조 선언과 개량형 등장 == 2021년 1월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김정은이 직접 '''SLBM을 탑재하는 핵추진 [[SSBN]] 건조'''를 선언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2129611|#]] 그리고 1월 14일 열병식에서 북극성-4보다 대형화된 [[북극성-5]] 미사일을 등장시켰다. == 여담 == 미국의 한 군사 매체는 북극성-4가 고체연료 ICBM일 것이라 추측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 고체연료 ICBM 상상도.png|width=100%]]}}} || || 북한의 고체연료 ICBM '가칭 [[북극성-4|《북극성-4》]]'의 상상도 || 공개 당시에는 고체 ICBM이라는 무리한 상상도였으나, [[화성-18]]로 현실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