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2> {{{#fff '''{{{-1 국가하천}}}[br]{{{+2 북한강}}}'''[br]'''北漢江''' | '''Bukhangang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춘천 강.jpg|width=100%]]}}}|| || '''위치'''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br]└[[강원도(북한)|강원도]] {{{-2 ([[금강군|금강]] · [[회양군|회양]] · [[창도군|창도]] · [[김화군|김화]])}}}[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강원특별자치도]] {{{-2 ([[철원군|철원]] · [[화천군|화천]] · [[춘천시|춘천]])}}}[br]└[[경기도]] {{{-2 ([[가평군|가평]] · [[양평군|양평]] · [[남양주시|남양주]])}}} || || '''수계''' ||[[한강/수계|한강 수계]] || || '''발원'''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강원도(북한)|강원도]] [[금강군]] 신읍리 단발령[br]{{{-1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강원도]] [[회양군]] 사동면 신흥리)}}} || || '''합수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팔당호]] || || '''유입''' ||'''본류'''[br]└[[금강천(강원도)|금강천]][br]'''지류'''[br]└[[금성천]], [[양구서천]], [[소양강]], [[홍천강]] || || '''유출''' ||[[한강]] || || '''유로연장''' ||306.34km[* 출처: 2022년 7월 6일 환경부 물관리정책실 하천계획과 공지 기준] || || '''유역면적''' ||10,738.8km²[* 출처: 2022년 7월 6일 환경부 물관리정책실 하천계획과 공지 기준] || || '''유량''' || || || '''하중도''' ||[[중도(섬)|중도]], [[남이섬]], [[자라섬]] 등 || || '''하천코드''' ||100271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남한강.jpg]] [* 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다리는 [[경의중앙선]] 신 양수철교이다. 가려져서 잘 안 보이지만 뒤에 [[양수철교]]도 있다.] [[북한]]의 [[강원도(북한)|강원도]]에 있는 [[금강군]] 신읍리[* 대한민국 주소상 [[강원도]] [[회양군]] 사동면 신흥리] 단발령에서 발원하여 [[강원특별자치도]]와 [[경기도]]를 지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국가하천. 원류인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팔당댐|팔당호]]([[두물머리]])부터 한강이라고 부르게 된다. [[한강/수계|한강 수계]]에 속하는 한강의 제1지류이다. 유로연장은 306.34km, 유역면적은 10,738.8km²에 이르는데, 유로는 한강 본류보다 조금 짧고, 유역 면적은 한강 수계 전체에서 약 3분의 1 수준이다. 북한강은 [[경기도]]를 남과 북으로 나누는 기준점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한강]]과 북한강을 기준으로 그 북쪽에 위치한 경기도 북부의 '한수이북' 지역을 [[경기북도]]라고 부르며, 나머지 경기도 남부의 '한수이남' 지역을 [[경기남도]]로 부른다. == 지류 == [[북한]]의 [[금강산]] 부근에서 발원한 금강천이 남쪽으로 흐르면서 [[강원도]] [[김화군]]에서 금성천을 합친 후, 군사분계선(금성천 합류부 바로 부근)을 지나 [[화천군]] [[화천읍]] [[평화의 댐|진입시점]]에서 북한강 국가하천 구간이 시작된다. 이후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하여 한강(국가하천)으로 흘러든다. [[화천군]]에서는 [[양구군]] 쪽에서 흘러오는 서천, [[수입천]] 등이 파로호를 이룬 후 남쪽으로 흐른다. [[춘천시]]의 [[의암댐|의암호]]에서 [[소양강]], [[공지천]]이 합류한다. [[가평군]]에서는 [[가평천]], [[홍천강]]이 합류하며 서류하다가 [[조종천]]이 합류한 후 [[양평군]]에 이른다. == 시설물 == [include(틀:한강의 댐)] [[한강]]의 지류 가운데 가장 긴 강으로, 유량이 풍부하여 댐 건설에 유리하다. 이 때문에 [[금강산댐|임남댐]], [[평화의 댐]], [[파로호|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소양강다목적댐]], [[의암댐]], [[청평댐]] (상류부터) 등이 건설되었고, 이에 따라 주변에 파로호·춘천호·소양호·의암호·청평호 등 여러 호수가 생겨났다. 특히 북한강의 경우 발원지가 북한에 있기 때문에 수공방지를 위해 상류구간인 화천, 양구 일대에도 댐이 들어섰고 수공방지만을 목적으로 한 평화의 댐까지 등장했다. 덕분에 [[임진강]] 일대에서 북한이 무단방류를 자행해서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와중에도 북한강 수계지역에는 피해가 거의 없었다.[* 이는 평화의 댐과 화천댐이 북한의 수공을 원천봉쇄중이기 때문에 북한이 수공자체를 꺼리는 것도 있다.] 하지만 많은 지역이 수몰되었고 도로교통이 불편해졌다. 그리고 청평 이남의 하류에서는 녹조도 많이 발생한다. 이 때문인지 저수 용량이 낮거나 효율성이 떨어지는 댐들의 경우 철거하자는 주장이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의암댐]]이나 청평댐의 경우 저수용량이 작고 수위조절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아 종종 철거하자는 의견이 등장한다. 수위조절은 저수용량이 큰 [[춘천댐]]과 [[소양강댐]]이 주로 담당하고 있고 [[파로호|화천댐]]과 [[평화의 댐]]은 단순 수위조절과 더불어 북한의 수공 방지라는 군사적 목적도 가지고 있다. 그에 비해 하류의 의암댐과 청평댐은 수위조절 등 댐 본연의 역할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적은 편이다. 그나마 청평댐은 청평호 일대의 수상레저 등 댐과 연계한 관광자원이 많아 지역경제에 한 몫을 단단히 하고 있지만 의암댐의 경우 호수면적으로 인해 춘천시내를 죄다 수몰시킨것도 모자라 댐 주변도 개발제한으로 묶여버려서 써먹기가 영 힘든 상황이다. 청평호에 캠프통 아일랜드가 있다. 그런데 이후 검찰 수사를 받게 되었고 관련자들이 기소되었다. [[https://www.spo.go.kr/preview/skin/doc.html?fn=578d0d68-385c-46b1-9e09-fcf882114887.pdf&rs=/preview/result/board/1403/|북한강 수상레저 인허가 비리사건 수사결과]] === [[교량/목록#북한강|북한강의 다리]] [anchor(교량)] === [include(틀:북한강의 교량)] 해당 문서 참조. [[분류:북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