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대외관계)] [include(틀:독일의 대외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10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100%]] || || [[북한|{{{#ffffff '''북한'''}}}]] || [[독일|{{{#000 '''독일'''}}}]] || [목차] == 개요 == [[북한]]과 [[독일]]의 외교관계. 북한에선 독일을 원어에 가까운 도이췰란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도이칠란트'가 올바른 표기이다. 독일어 대부분 끝에 유성음 자음이 있으면 거의 90%는 d를 t로 읽기 때문에, 드보단 트가 원음에 가깝다.]라고 부르지만, 독일에선 북한을 노르트코레아(Nordkorea)라고 부른다.[* 참고로 [[대한민국]]은 쥐트코레아(Südkorea)라고 부른다. 오늘날엔 쥐트를 생략하고 그냥 한국(남한)을 코레아라고 부르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 역사 == === 20세기 === 북한은 같은 [[공산주의]] 국가였던 [[동독]]과 수교했다. [[6.25 전쟁]] 때 동독은 군을 파견하지는 않았지만 북한 측에 의료지원을 했다. 또 전후 복구를 많이 도와주었다. 북한 학생들이 동독으로 유학을 가기도 했다. 하지만 1960년 [[중소결렬]] 이후 북한은 [[중국]]에 접근하고 동독은 [[소련]]의 위성국이었기 때문에 관계가 소원해졌다. 이 때문에 북한 유학생들은 본국으로 복귀해야 했다. 그래도 같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고 많은 교류를 했다. 심지어 평양-동베를린 행 비행기 운항노선도 있었을 정도다. 1990년 동독이 [[서독]]에 [[동서독 통일|흡수]]되자 북한과 독일의 관계는 끊겼으며, 대사관은 대표부로 격하되었다. 북한은 독일이 통일되자 독일 정부에 의해 구속된 동독 전 국가평의회 의장 [[에리히 호네커]]를 자국으로 망명시키려 했으나 실패한 일도 있었다. === 21세기 === 2001년 북한과 독일은 재수교하였다. 하지만 여느 유럽 국가가 그렇듯 독일 역시 꾸준히 [[대북제재]]에 동참하며 양국은 갈등을 겪고 있다.[* 애초에 독일연방공화국은 [[서독]] 시절부터 [[대한민국]]의 우방이었다. 독일뿐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유럽 국가는 극소수의 [[친러]] 국가를 제외하면 남한과 관계가 더 가깝고,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도 남한의 입장을 지지한다.] 2019년 10월 30일, 독일의 구호단체 카리타스가 북한 양로원에 의약품을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180537?sid=100|#]] 2020년 7월 30일, 크리스토프 호이겐스 주 유엔 독일 대사는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매우 나쁘다고 밝혔다.[[https://www.voakorea.com/a/korea_korea-social-issues_un-humanitarian-situation-norkor/6034679.html|#]] 12월 31일,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북한에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할 의사가 있다는 간접적인 반응을 보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271800|#]]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이 독일을 포함한 해외 대학 수십 곳과 협력 관계라고 공지한 것에 대해 독일 대학을 포함한 다수가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53061|#]] 주 북한 독일 대사를 2번이나 지낸 토마스 섀퍼 전 대사가 디벨트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생활에 대한 여러 소감을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71047|#]] 독일이 대북제재 감시 등을 위해 8월부터 인도-태평양에 군함을 투입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639531|#]] 2021년 10월. 전쟁병기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체포된 독일 연방군 대위의 자택에서 고위험 방사성 물질과 연방정보부의 북한 관련 기밀문서가 발견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11024005200082?section=international/all|#]] 2022년 1월 18일 독일 정부는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926488|#]] 3월 24일, 독일 정부는 북한의 ICBM 발사를 '무책임한 도발'이라고 비판했다.[[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53499_35680.html|#]] 5월 6일, 독일 외무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규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168804?sid=104|#]] == 대사관 == [[평양]]과 [[베를린]]에 대사관이 있다. 양쪽 모두 동독 시절부터 썼던 곳이다. 베를린의 북한 대사관은 [[브란덴부르크 문]]과 가까워 외화벌이용 [[호스텔]]을 겸했지만 2020년 국제 제재로 폐쇄되었다. == 관련 문서 == * [[북한/외교]] * [[독일/외교]] * [[프리드리히 나우만 자유재단]]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분류:북한의 대국관계]][[분류:독일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