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브라이언 크랜스턴의 주요 수상 이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 }}}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남우주연상 - 드라마 시리즈 부문'''}}} || || ''' 제59회 [br] ([[2007년]]) ''' || {{{+1 → }}} || ''' 제60회 [br] ([[2008년]]) ''' || {{{+1 → }}} || ''' 제61회 [br] ([[2009년]]) ''' || || [[제임스 스페이더]][br](보스턴 리걸) || {{{+1 →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 {{{+1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5> || || ''' 제60회 [br] ([[2008년]]) ''' || {{{+1 → }}} || ''' 제61회 [br] ([[2009년]]) ''' || {{{+1 → }}} || ''' 제62회 [br] ([[2010년]])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 {{{+1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5> || || ''' 제61회 [br] ([[2009년]]) ''' || {{{+1 → }}} || ''' 제62회 [br] ([[2010년]]) ''' || {{{+1 → }}} || ''' 제63회 [br] ([[2011년]])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 {{{+1 → }}} || [[카일 챈들러]][br]([[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 ||<-5> || || ''' 제65회 [br] ([[2013년]]) ''' || {{{+1 → }}} || ''' 제66회 [br] ([[2014년]]) ''' || {{{+1 → }}} || ''' 제67회 [br] ([[2015년]]) ''' || || [[제프 다니엘스]][br]([[뉴스룸(드라마)|뉴스룸]]) || {{{+1 →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 {{{+1 → }}} || [[존 햄]][br]([[Mad Men|매드맨]]) || ||<-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남우주연상 - 드라마(TV)'''}}} || || ''' 제70회 [br] ([[2013년]]) ''' || {{{+1 → }}} || ''' 제71회 [br] ([[2014년]]) ''' || {{{+1 → }}} || ''' 제72회 [br] ([[2015년]]) ''' || || [[대미언 루이스]][br]([[홈랜드]]) || {{{+1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 [[케빈 스페이시]][br]([[하우스 오브 카드]]) || ||<-5> || ---- ||<-5>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000 '''TV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 || '''제18회[br]([[2012년]]) ''' || {{{+1 →}}} || '''제19회[br]([[2013년]])''' || {{{+1 →}}} || '''제20회[br]([[2014년]])''' || || [[스티브 부세미]][br](보드워크 엠파이어) || {{{+1 →}}} || {{{#fff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fff 브레이킹 배드}}}]])'''}}} || {{{+1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5> || || '''제19회[br]([[2013년]])''' || {{{+1 →}}} || '''제20회[br]([[2014년]])''' || {{{+1 →}}} || '''제21회[br]([[2015년]])''' || || 브라이런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fff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fff 브레이킹 배드}}}]])'''}}} || {{{+1 →}}} || [[케빈 스페이시]][br]([[하우스 오브 카드]]) || ||<-5> {{{#000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남우주연상'''}}} || || '''제22회[br]([[2016년]]) ''' || {{{+1 →}}} || '''제23회[br]([[2017년]])''' || {{{+1 →}}} || '''[[제24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4회]][br]([[2018년]])''' || || [[이드리스 엘바]][br]([[Luther|루터]]) || {{{+1 →}}} || {{{#fff '''브라이언 크랜스턴[br]([[올 더 웨이|{{{#fff 올 더 웨이}}}]])'''}}} || {{{+1 →}}} || [[알렉산더 스카스가드]][br]([[빅 리틀 라이즈]]) || ||<-5> ||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TV부문 드라마 남우주연상'''}}}[* 2016년 시상식부터 크리틱스 초이스 무비 어워즈와 통합시상. 2016년 이전에는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 어워즈로 시상식 개최했다.] || || '''제1회[br]([[2012년]])''' || {{{+1 → }}} || '''제2회[br]([[2012년]])''' || {{{+1 → }}} || '''제3회[br]([[2013년]])''' || || [[존 햄]][br]([[Mad Men|매드맨]]) || {{{+1 → }}} || '''{{{#eb4684 브라이언 크랜스턴}}}[br]{{{#eb4684 ([[브레이킹 배드|{{{#eb4684 브레이킹 배드}}}]])}}}''' || {{{+1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5> || || '''제2회[br]([[2012년]])''' || {{{+1 → }}} || '''제3회[br]([[2013년]])''' || {{{+1 → }}} || '''제4회[br]([[2014년]])'''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 '''{{{#eb4684 브라이언 크랜스턴}}}[br]{{{#eb4684 ([[브레이킹 배드|{{{#eb4684 브레이킹 배드}}}]])}}}''' || {{{+1 → }}} || [[매튜 매커너히]][br]([[트루 디텍티브]]) || ||<-5> || ---- ||<-5>
{{{#e5d85c ''' 역대 [[토니상|{{{#e5d85c 토니상}}}]] 시상식 ''' }}} || ||<-5> [[파일:tonyawards.png|width=80]] || ||<-5> {{{#e5d85c '''남우주연상 - 연극 부문'''}}} || || ''' 제67회 [br] ([[2013년]]) ''' || {{{+1 → }}} || ''' 제68회 [br] ([[2014년]]) ''' || {{{+1 → }}} || ''' 제69회 [br] ([[2015년]]) ''' || || 트레이시 레츠 [br] (누가 버지니아 우퍼를 두려워하랴) || → || '''브라이언 크랜스턴 [br] (올 더 웨이)''' || → || 알렉스 샤프 [br]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 || ||<-5> || || ''' 제72회 [br] ([[2018년]]) ''' || {{{+1 → }}} || ''' 제73회 [br] ([[2019년]]) ''' || {{{+1 → }}} || ''' 제74회 [br] ([[2021년]]) ''' || || [[앤드류 가필드]] [br] (엔젤스 인 아메리카) || → || '''브라이언 크랜스턴 [br] (네트워크)''' || → || 앤드루 버넷 [br] (인헤리턴스) || ||<-5> || ---- ||<-5>
{{{#e5d85c ''' 역대 [[새턴상|{{{#e5d85c 새턴 시상식}}}]] ''' }}} || ||<-5> [[파일:saturn-award.png|width=80]] || ||<-5> [[새턴 텔레비전 남우주연상|{{{#e5d85c '''텔레비전 남우주연상'''}}}]] || || '''제37회[br]([[2011년]])''' || {{{+1 → }}} || '''제38회[br]([[2012년]])''' || {{{+1 → }}} || '''제39회[br]([[2013년]])''' || || 스테판 모이어[br]([[트루 블러드]]) || {{{+1 → }}} || {{{#black [[케빈 베이컨]][br]([[더 팔로잉|{{{#black 더 팔로잉}}}]])}}}[br]'''{{{#black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black 브레이킹 배드}}}]])}}}''' || {{{+1 → }}} ||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5> || || '''제38회[br]([[2012년]])''' || {{{+1 → }}} || '''제39회[br]([[2013년]])''' || {{{+1 → }}} || '''제40회[br]([[2014년]])''' || || [[케빈 베이컨]][br]([[더 팔로잉]])[br]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 || {{{+1 → }}} || '''{{{#black 브라이언 크랜스턴[br]([[브레이킹 배드|{{{#black 브레이킹 배드}}}]])}}}''' || {{{+1 → }}} || [[매즈 미켈슨]][br]([[한니발(드라마)|한니발]]) || ||<-5> || ---- }}} || ||<-2>
'''{{{+1 브라이언 크랜스턴}}}[br]Bryan Cranst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부라이언크랜스톤.jpg|width=100%]]}}} || || '''본명''' ||브라이언 리 크랜스턴[br]Bryan Lee Cranston || ||<|2> '''출생''' ||[[1956년]] [[3월 7일]] ([age(1956-03-07)]세)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배우]], [[성우]], [[감독]], [[프로듀서]] || || '''신체''' ||179cm || || '''가족''' ||배우자 미키 미들턴^^(1977년 결혼~1982년 이혼)^^[br]배우자 로빈 디어든^^(1989년 결혼~현재)^^[br]딸 1명 || || '''데뷔''' ||[[1980년]] || || '''SNS''' ||[[https://www.instagram.com/bryancranst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ryancranston, 크기=20)] [[https://ko-kr.facebook.com/thebryancranst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성우]], [[감독]], [[프로듀서]]. '''[[브레이킹 배드]]의 주인공 [[월터 화이트]]'''로 유명하다. == 활동 == 브라이언 크랜스턴의 연대기 - [[https://youtube.com/shorts/q4Kt5LRgyDY?feature=share|#]] 80년대부터 꾸준히 활동해 오던 배우이며[* 8~90년대 무명시절에도 여러 광고, 단역 출연을 해왔다.] 현세대의 중년 배우 중에서도 탑으로 꼽힐 만큼의 연기력을 보여주고 있는 사람이다.[* 《[[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에서 주인공 테드를 괴롭히는 상사였다가 테드의 부하직원이 되는 역할로도 출연.][* 미국의 전설적인 시트콤 [[사인펠드]]에서 괴짜 치과의사 팀 와틀리로 출연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상 200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에서 이름이 잘 알려지지 못했다가 '''[[미국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의 주인공 [[월터 화이트]] 역할을 맡아 2008년, 2009년, 2010년 3년 연속 [[에미상]] 남우주연상 부문을 수상하고 2014년 마지막 시즌에서 또 다시 수상하여 같은 캐릭터로 남우주연상을 4번이나 받았으며 또한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TV 드라마 남우주연상을 받기도 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 팬들에게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았다. 다만 서구권에선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하며 미친 듯한 인기를 끌었던 시트콤 드라마 《[[말콤네 좀 말려줘]]》에서 주인공 말콤의 아버지 역으로 유명했는데, 살짝 나사 빠져 몸개그를 일삼으며, 가족에겐 한없이 다정한 아버지 역할에 익숙해져 있다가 《[[브레이킹 배드]]》의 딥다크한 역할에 충격을 받은 사람들이 많았다. 《브레이킹 배드》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생소한 얼굴일 수 있으나 사실 [[할리우드]] 영화에도 많이 출연했다. 《[[고질라(2014)]]》에서 주인공 아버지 역을 맡아 들러리에 가까운 인간 측 연기자들 중에서 제일 드라마적 측면을 살려냈으며, 최근엔 영화 《[[트럼보]]》로 [[아카데미 시상식]]과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에도 노미네이트가 되고 크리틱스 초이스와 미국 배우 조합상에서도 남우주연상 후보에 노미네이트 되는 등 《[[브레이킹 배드]]》 시리즈 이후로 승승장구로 향해나가고 있다. 2016년에 개봉한 [[https://ko.wikipedia.org/wiki/인필트레이터:_잠입자들|인필트레이터 : 잠입자들]]에서는《[[브레이킹 배드]]》에서 마약을 제조하는 범죄자 역할을 했던 것과는 반대로, 마약사범들의 돈을 세탁해주는 사업가로 위장해서 그들을 체포하려는 DEA 요원을 연기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HBO]]의 텔레비젼 영화 《올 더 웨이》에서 [[LBJ]]를 연기해 엄청난 싱크로율을 보여 에미상에 또한번 노미네이트 되었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원작인 연극에서는 같은 역으로 토니상 수상에 성공했다.《[[베터 콜 사울]]》에 [[월터 화이트]]로 특별출연할 때도 연극 때문에 머리를 밀수 없어 특수분장을 했다는 인터뷰를 보면 평소에도 연극을 자주 하는 모양이다. [* 연기할 때 손을 매우 잘 쓴다. 이는 [[알 파치노]]와 같이 연극판에서 잔뼈가 굵은 배우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2017년에 개봉한 《[[파워레인저스]]》에서 레인저들을 지휘하는 외계인 과학자 조던을 연기했다.(!) 또한 [[필립 K. 딕]]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TV 시리즈 《일렉트릭 드림스》에도 출연한다. ~~레인저들, 리타에게 똑똑히 보여줘. 내가 바로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라는 걸!!!~~ 단역 출연도 많아서 열거하기엔 너무 많지만, 대표적으로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미 전쟁부(현 국방부) 소속 장교로 등장하였는데 라이언 일병 구출 작전을 허가하는 그 외팔 대령으로 등장한다. [[벤 애플렉]]이 감독, 주연을 맡은 《[[아르고(영화)|아르고]]》에서는 애플렉이 연기한 '토니 멘데스'의 CIA 상사인 잭 오도넬 역을 맡아 영화에서 꽤 비중있는 역할을 수행했다. 또 브레이킹 배드의 제작자인 빈스 길리건이 과거에 제작했던 유명 시리즈인 엑스파일의 한 에피소드에서도 주요 인물을 맡았는데, 브레이킹 배드의 시나리오가 그에게 간 것이 전적으로 우연은 아니었을 것이다. 중후한 음색과 뛰어난 발성, 발음을 바탕으로 성우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1년 《[[배트맨 이어 원]]》의 OVA에서 '''[[제임스 고든]]'''으로 등장했으며 《[[쿵푸팬더3]]》에서 포의 친아버지 역으로 출연하였다. [[웨스 앤더슨]]의 애니메이션 [[개들의 섬]]에도 주연으로 출현하였다. 이렇듯 연극,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가리지 않고 커리어를 관리하기보다 하고싶은 배역은 죄다 연기하는 다작 배우이다. 애미상 수상 소감에서 말했듯이 연기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모양이다. 연기할 때 배역이 느낄 수 있을 여러 감정을 분석하여 씨앗처럼 심어놓고 현장에서 상황이 이끄는대로 적절한 씨앗이 싹트게 하는 식으로 연기한다는데, 그의 캐릭터 분석력과 현장에서의 몰입과 대처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수 있는 부분. [[https://youtu.be/q4WpWZeF2_4|#]] 또한 드라마 감독으로서의 능력도 출중한지 코미디 드라마인 《[[모던 패밀리]]》로 코미디 시리즈 부문 미국 감독 조합상을 받기도 했다. 《브레이킹 배드》에서 같이 연기호흡을 맞췄던 [[아론 폴]]과 함께 'Dos hombres'라는 주류사업을 하고 있다.[[https://entertain.v.daum.net/v/20190710112801490|#]] ~~브레이킹 배드를 보고 이 글을 읽으면 왠지 돈세탁 목적으로 사업하는 것처럼 보인다.~~ 영화 [[샤이닝(영화)|샤이닝]]의 [[잭 토렌스]] 컨셉으로 [[마운틴 듀]] 광고를 찍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6nFo59STzY|#]] --브라이언에게 여장을 시키는 등 엄청난 병맛광고임에도 그의 연기는 진짜로 무섭다...-- 2022년부터는 수염을 덥수룩하게 하고다녀서 마치 도사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이러한 스타일은 2020년부터 방영한 드라마 《유어 아너》에 출연하기 때문이다. 브라이언의 연기력은 여전하지만, 캐릭터와 스토리의 진행이 진부하다는 평이 중론. 이 모습으로 2022 메이저리그 All-Star Celebrity Softball Game에 참가해서 심판에게 분노 연기를 선보이다 퇴장당하기도.[* 이때 말리는 사람은 다름아닌 [[J. K. 시몬스]]] [[https://youtu.be/1gN8vsHBd8A|#]] 2026년부터는 개인 제작사와 아론 폴과 설립한 주류회사를 정리하고, 아내와 시간을 보내기 위해 프랑스로 떠날 예정이라고 한다. 그 동안은 연기를 하지 않을 예정이고, 언제 돌아올지는 아직 밝히지 않았다. == 여담 == * 대표 배역인 [[월터 화이트]]와는 정반대로 평소엔 유쾌하고 장난기가 많은 성격이다. 여러 인터뷰--패드립과[[https://youtu.be/AZfWwZZoN3o|#]] 고인드립[[https://youtu.be/YPSWvpUiETY |#]]시전--나 시상식 자리에서 그의 재미있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역과 현실의 괴리감에 혼란을 느끼는 팬들도 적지 않은 듯. * 연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이성에게 인기를 끌고 싶어서’ 였다고한다. * [[케빈 하트]]의 성대모사를 잘한다. 《업사이드》에서 만나 친해진 모양이다. --영화는 망했지만-- * 무명시절엔 트럭 상하차, 연애 중매업 등 안해본 일들이 없다고 한다. 오로지 언젠가는 자신이 사랑하는 연기로 먹고살 수 있을거란 희망 하나로 버텼다고. * 《[[말콤네 좀 말려줘]]》를 찍을 때 주인공 역의 [[프랭키 무니즈]]가 집과 촬영장이 멀어 오갈수 없게되자 자신의 집에서 가족과 함께 지내게 해주었다고. 이 때문에 프랭키는 브라이언을 아버지처럼 존경하고 따른다. [[아론 폴]] 과도 유사 부자관계로 보일만큼 사이가 좋은걸 보면 주위사람들을 잘 챙기는 것 같다. * 대배우 [[안소니 홉킨스]]가 《브래이킹 배드》를 시청하고 홀딱 반해 직접 팬래터까지 썼다고 한다. [[사무엘 L. 잭슨]] 또한 팬인 듯 하다.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북미]] * [[아론 폴]]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미국 영화 감독]][[분류:미국의 영화 제작자]][[분류:1956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할리우드(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오스트리아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