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라질군)] ||||<:>{{{+3 {{{#ffdf00 '''브라질군''' }}}}}}[br] {{{+2 {{{#ffdf00 Forças Armadas Brasileiras }}}}}} [br] {{{+1 {{{#ffdf00 Brazilian Armed Forces }}}}}}|| |||| [[파일:Brazil_Forcas_armadas1.jpg|width=150]]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fff 상비군}}}''' ||334,500명 || || '''{{{#fff 예비군}}}''' ||1,340,000명 || || '''{{{#fff 병역제도}}}''' ||[[징병제]] || ||<-2> '''육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차|{{{#fff 전차}}}]] ||469대 || || [[장갑차|{{{#fff 장갑차}}}]] [br] {{{-2 (APCs/IFVs)}}} ||1,845대 || || [[자주포|{{{#fff 자주포}}}]] ||136문 || || [[다연장로켓|{{{#fff 다연장로켓}}}]] ||78문 || || 수송 차량 ||6,676대 ||}}}}}}}}} || ||<-2> '''해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해군 전투함 총합''' ||134척 || ||<-2> '''주력 수상함''' || || [[호위함|{{{#fff 호위함}}}]] ||7척 || || [[초계함|{{{#fff 초계함}}}]] ||8척 || ||<-2> '''잠수함''' || || [[SSN|{{{#fff SSN}}}]] ||(+1척) || || [[재래식 잠수함|{{{#fff SSK}}}]] ||7척(+2척) ||}}}}}}}}} || ||<-2> '''공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4세대 / 4.5세대 전투기|{{{#fff 4.5세대 전투기}}}]] ||7기(+33기) || || [[3세대 전투기|{{{#fff 3세대 전투기}}}]] ||42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fff 조기경보관제기}}}]] [br] {{{-2 (AWACS)}}} ||5기 || || [[공중급유기|{{{#fff 공중급유기}}}]] ||2기(+2기) || || {{{#fff '''항공기 총합'''}}} ||676기 ||}}}}}}}}} || ||<-2> {{{#ffdf00 '''예산'''}}} || || [[국방비|{{{#FFF '''국방비 총합'''}}}]] ||192억 달러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의 [[군대]]. == 상세 == [[엠브라에르|발전한 항공우주산업]]을 바탕으로 프롭 기본훈련기 분야에서도 [[스위스]]의 필라투스와 함께 세계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 중이며 최근에는 KC-390이라는 중형 [[수송기]]를 개발할 예정에 있다. 그리고 브라질은 [[중남미]]에서 가장 강한 군사력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다.[* 물론 중남미 국가들의 군사력이 GFP에서 하위권일 정도로 약한것도 있지만 브라질은 중남미는 물론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을 정도이며 현재 군사 강국으로 여겨진다.] [[아르헨티나]]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보니 서로를 가상의 주적으로 늘 대비하는 훈련을 하며 대응한다.[* 하지만 아르헨티나는 경제난과 함께 서방권의 무기 수출 제한으로 인해 군사력이 크게 약화된지라 브라질이 압도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해군의 현대화는 비참한 수준으로 [[대만]], [[대한민국]]과 함께 2000년대까지 [[기어링급]] 구축함을 사용한 국가 중 하나였다. 2022년 현재까지도 21세기 해군력의 척도중 하나인 VLS를 탑재한 함선이 없는 건 물론이고, 대공미사일을 가진 함선조차 니테로이급과 22형이 전부라 상황이 좋지 않다. 그나마도 전투체계와 미사일이 현대전에는 맞지 않는 구형인 탓에 개함방공은 가능할지 의심스러운 수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만다레급]]과 같은 신형함을 건조하려는 중이나, [[코로나19]] 발 경제 위기로 인해 건조 작업이 조금씩 지연되고 있다고 한다. 공군력도 공중급유기(KC-135R), [[조기경보기]], [[공격헬기]] [[Mi-35]],[[이탈리아]]와 공동개발한 공격기인 [[AMX 인터내셔널 AMX|AMX]] 등 비교적 괜찮은 수준이긴 하나, 정작 중요한 전술기 등이 부실한 것이 단점. [[2017년]] [[1월]] 현재, 브라질의 [[전투기]]는 [[F-5]] 개량형 43대로 부실한 수준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브라질 공군은 차기 전투기로 2013년 12월 [[그리펜]] 36대를 구매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추가도입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사브]]에서는 해군용 그리펜에 대한 언급도 나오고 있다. 브라질은 해외에도 유엔평화유지군을 보내는 나라인데, [[아이티]]에서는 10년동안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키다가 2017년 8월 31일에 주둔임무를 끝냈고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 평화유지군파병을 준비중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514046|#]] 하지만 2012년부터 브라질 정부가 경제난으로 국방예산을 축소하고 있어 브라질 군대도 사정이 좋지 않다.[[https://milidom.net/news/758036|#]] 2018년 대통령 선거에 더 강력한 군대를 공약으로 내세운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당선돼서 이야기가 달라지긴 커녕, 경제난이 더 심해져서 군비 축소는 여전하지만 아직까진 약한 군대는 아닌 셈. 2018년에 [[영국]] 해군이 퇴역시키는 [[오션급 강습상륙함]]을 구매했다. [[한국]]처럼 [[징병제]] 국가지만 다만 인구가 대한민국보다 많고 병력도 적어 징집대상자의 95.5%가 군대면제를 받는다. 사실상 모병제에 가까운 셈. 프랑스의 기술지원으로 [[알바로 알베르토급 잠수함|알바로 알베르토급 핵잠수함]] 건조에 들어갔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1/12/brazils-nuclear-powered-submarine-project-sn-br-making-progress/|#]] == 예산과 경제규모 == |||||||||||||||||||||||||||||||| ([[2000년]]~[[2014년]]) [[브라질]]의 [[명목 GDP]] [* [[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4/02/weodata/weorept.aspx?pr.x=56&pr.y=8&sy=2000&ey=2014&scsm=1&ssd=1&sort=country&ds=.&br=1&c=223&s=NGDP_RPCH%2CNGDPD&grp=0&a=|(2000년~2014년)브라질의 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 [[http://milexdata.sipri.org/result.php4|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군비자료]]] || || 종류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추정치|| ||전체 [[명목 GDP]](10억달러; 약 1조원) || 644|| 554|| 506|| 552|| 663|| 882|| 1,089|| 1,366|| 1,653|| 1,622|| 2,142|| 2,474|| 2,247|| 2,246|| 2,244|| ||경제성장률(%) || 4.3%|| 1.3%|| 2.6%|| 1.1%|| 5.7%|| 3.1%|| 3.9%|| 6.0%|| 5.1%|| -0.3%|| 7.5%|| 2.7%|| 1.0%|| 2.4%|| 0.3%||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ast_and_projected_military_expenditure_(current_US$)|List of countries by past and projected military expenditure (current US$)]]]: SIPRI(10억달러; 약 1조원) || 11.3|| 10.8|| 9.6|| 8.3|| 9.7|| 13.5|| 16.4|| 20.4|| 24.4|| 25.6|| 34.0|| 36.9|| 33.1|| 31.5|| || 군사력과 경제력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국가의 경제규모나 경제력이 떨어지면 군사력도 쇠락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군사력의 예산 항목을 볼 때는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률]], [[명목 GDP]]도 함께 보아야 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GDP 대비 국방비]]도 국방예산의 중요한 참고자료이다. [[신흥공업국]]과 [[BRICS|브릭스]]의 하나인 브라질은 지속적으로 경제규모가 확대되었지만 2011년을 정점으로 경제와 국방예산이 축소되는 국면에 빠졌다. 경제성장률은 양호한 편이나 2011년 이후 일시적인 저성장 상태이다. 전체적으로 경제규모가 정체되면서 국방비도 정체되는 추세다. == 수뇌부 == || 대통령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 국방장관 || 월터 소우자 브라가 네토 || || 합참의장 || 라에르테 드 소우자 산토스 대장 || === 브라질군 합참의장 === 브라질군의 제복군인 중 최선임은 합참의장(Chefe do Estado Maior Conjunto das Forças Armadas - EMCFA)이다. 이 자리는 2010년 8월 25일에 신설되었다. 계급은 대장이다. || 대수 || 이름 || 군종 || 재임기간 || 비고 || || 1대 || 호세 카를로스 드 나르디[* 1944년생.] || 육군 || 2010-2015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3/Jos%C3%A9_Carlos_De_Nardi.png/100px-Jos%C3%A9_Carlos_De_Nardi.png|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 || 2대 || 아데미르 소브리뇨[* 1952년생.] || 해군 || 2015-2019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6/Ademir_Sobrinho_Aedes_aegypti_01.jpg/100px-Ademir_Sobrinho_Aedes_aegypti_01.jpg|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 || 3대 || 라울 보텔료[* 1957년생. 항공정찰과 탐색구조를 주로 담당했던 파일럿 출신이다. 보우소나루는 흑인이 모는 헬기는 위험하다고 했지만, 헬기를 몰았던 흑인을 합참의장으로 임명하는 데 거부감은 없었던 모양.] || 공군 || 2019-2021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e/Plen%C3%A1rio_do_Senado_%2829210736483%29_%28cropped%29.jpg/100px-Plen%C3%A1rio_do_Senado_%2829210736483%29_%28cropped%29.jpg|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 || 4대 || 라에르테 드 소우자 산토스[* 2021년 5월에 임명되었다. 1958년생이다. 1974년 육군후보생예비학교에 입학해, 브라질 아굴라스 네그라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80년에 임관했다.] || 육군 || 2021-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b/GenLaerte.jpg|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 == 징집 == [[브라질 헌법|브라질 1988년 헌법]] 제143조에 의하면 브라질의 남성들은 병역 의무가 있으나 [[양심적 병역거부]]를 행사 가능하다. [[여성]]들과 [[성직자]]들은 병역 의무에서 배제된다. 신병들은 소집하기 전에 심사 과정에서 95%의 병역 대상자들이 면제를 받으며 또한 신병들의 3분의 2는 자원병들로 구성되며 날이 갈수록 자원병의 비율은 높아지는 추세다. 넓은 국토의 특성상 입대한 장병들은 대부분 집 근처의 육군 수비대에서 1년 동안 복무하게 되며 고졸을 못한 사람들은 9개월 복무이다. 전역 이후의 민간인들은 45세까지 예비군 명단에 이름이 남아있게 된다.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라질 육군)] ===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라질 해군)] === 공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라질 공군)]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Template:Military_of_Brazil|지휘부 편제(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Predefini%C3%A7%C3%A3o:For%C3%A7as_Armadas_do_Brasil|지휘부 편제(포르투갈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Brazilian_Army#Organization,_formations_and_structure|육군(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Ex%C3%A9rcito_Brasileiro#Organiza%C3%A7%C3%A3o|육군(포르투갈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Brazilian_Navy#Structure_and_organisation|해군(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Marinha_do_Brasil#Estrutura|해군(포르투갈어판)]] [[https://en.wikipedia.org/wiki/Brazilian_Marine_Corps#Organization|해병대(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Corpo_de_Fuzileiros_Navais#Unidades|해병대(포르투갈어판)]] [[https://en.wikipedia.org/wiki/Brazilian_Naval_Aviation#Structure|해군항공대(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Avia%C3%A7%C3%A3o_Naval_Brasileira#Estrutura|해군항공대(포르투갈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Brazilian_Air_Force_units|공군(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For%C3%A7a_A%C3%A9rea_Brasileira#Organiza%C3%A7%C3%A3o_e_estrutura|공군(포르투갈어판)]] == 둘러보기 == [include(틀:브라질 관련 문서)] [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함선)] [[분류:브라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