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브라키오사우루스}}}[br]Brachiosaur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MNH_Brachiosaurus.jpg|width=100%]]}}} || ||<-2> 쥐라기 후기[br]154,000,000 년 전~153,000,000 년 전[br]북아메리카 || ||<-2><#F93> '''학명''' || ||<-2> ''' ''Brachiosaurus altithorax'' '''[br]Riggs, 1903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 || {{{#000 '''미분류'''}}} ||†대비류^^Macronaria^^ || || {{{#000 '''미분류'''}}} ||†티타노사우루스형류^^Titanosau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브라키오사우루스과^^Brachiosau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브라키오사우루스속^^''Brachiosaurus''^^''' ||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브라키오사우루스 알티토락스 (''B. altithorax'')^^{{{-1 [[모식종]]}}}^^[br]Riggs, 190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60-2608654_brachiosaurus-png-free-download-brachiosaurus-png-transparent-png.pn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키오사우루스는 [[중생대]] [[쥐라기]] 후기, 약 1억 5300만년 전에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용각류]] [[공룡]]이다. 속명의 뜻은 '팔 도마뱀'으로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길어서 붙여진 학명이다. == 발견사 == 브라키오사우루스의 화석이 최초로 발견된 곳은 1900년 미국 [[콜로라도주]]의 그랜드 리버 계곡이었는데, 이 화석의 보존율은 불완전한 몇 가지 골격이나 뼛조각이 전부였다. 완전한 복원은 이후 1909년부터 [[동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의 발굴 작업을 거치며 이루어졌는데, 이때 발견된 종은 현재 [[기라파티탄]]이라는 별개의 브라키오사우루스과 공룡으로 보고 있다. 사실 1900년 브라키오사우루스 화석의 발견은 최초가 아니었다. 그로부터 17년 전인 1883년, 미국 콜로라도주의 가든 파크 화석지에서는 이미 브라키오사우루스의 두개골이 발굴된 적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 두개골은 [[오스니얼 찰스 마시]]에 의해 [[브론토사우루스]]의 두개골로 잘못 복원되어 버렸다. 이후 1970년대 말 브론토사우루스가 속하게 된 아파토사우루스류의 두개골과 디플로도쿠스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을 때에도, 해당 두개골은 브라키오사우루스와 유사하다는 언급만 있었을 뿐 자세히 기재되지는 않았다. 결국 1998년이 되어서야 이 두개골이 브라키오사우루스류의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시간이 더 지난 2019년, 학자들은 모리슨 층에서 발견되는 브라키오사우루스과 공룡들을 두 종 이상으로 분류할 만한 여지가 없다는 것에 기반하여 이 두개골의 주인을 브라키오사우루스 알티토락스라고 결론지었다. 브라키오사우루스는 코뼈의 높이가 기라파티탄보다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rachiosaurus_Skull_Diagram.svg#mw-jump-to-license|브라키오사우루스의 두개골 사진]][* 사진에서 보면 실제로 화석이 발견된 부분은 흰색으로 나타냈다.] 1950년대 후반기 유럽 [[포르투갈]]에서도 이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지만 2003년 [[루소티탄]]이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동정되었다. 2002년 미국 [[와이오밍]]에서 래리 마틴 박사가 이끄는 [[캔자스 대학교]] 연구팀과, 이들과 자매결연을 맺은 [[대한민국]] 청운문화재단의 공동발굴 작업 끝에 전체 보존률이 80%에 이르는 브라키오사우루스 화석이 발굴되었다. 이 화석들은 국내로 옮겨져 대전보건대 박물관학과 연구진이 보존처리 및 조립작업을 했으며 해당 화석의 발굴 및 연구에는 국내 고생물학자 [[임종덕]] 박사가 참여했다. 현재는 진품화석과 전신 골격 모형이 한국자연사박물관(舊 계룡산자연사박물관)소유로서 1층에서 전시되고 있다. 허나 이 표본은 발굴 당시 두개골이 발견되지 않았기에 대신 [[기라파티탄]]의 두개골 형태를 사용하여 최종 복원되어있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4608|관련 기사1]] [[https://www.joongang.co.kr/article/3678252#home|관련 기사2]] 2007년 미국의 와이오밍에서 거의 완벽한 어린 용각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는 [[디플로도쿠스]]류의 아성체로 추정했지만, 2012년 브라키오사우루스의 아성체로 재동정했다. [[https://www.aaps-journal.org/graphics/siber/SMA-0009.jpg|사진]] == 복원 형태의 역사 == || [[파일:external/www.pageresource.com/dinosaurs-brachiosaurus-zdenek-burian_1686475.jpg|width=100%]] || || 수생설에 따른 복원도 || 워낙 크고 무겁기 때문에 1980년대 이전에는 위에 나온 즈데넥 부리안의 복원도처럼 "무거운 체중을 근력만으로 지탱할 수 없어 물속에서 수초를 뜯어먹고 살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었다. 긴 목도 물 속에 살면서 호흡을 위해 머리만 물 밖으로 내놓기 위해 진화했다고 생각했었으나, 브라키오사우루스의 신체 구조는 철저히 육상 생활에 적응한 형태로 결론지어져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 브라키오사우루스와 그 근연들의 예전 복원도를 보면 콧구멍이 머리 꼭대기에 있는 것으로 그려졌는데, 콧구멍의 경우 [[디플로도쿠스]]의 콧구멍처럼 눈 사이에 있을 뿐 머리 꼭대기에 있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achiosaurus_DB.jpg|width=100%]] || || 현재의 복원 || 머리 위치의 경우 목을 들어올려 머리를 하늘을 향해 꼿꼿이 세우고 있는 것으로 그려졌는데, 심장에서 뇌까지 혈액이 전달되다가 역류 등의 여러 문제점 지적으로 인해 완전한 수직이 아닌 좀 더 낮은 위치로 교정되었다. 그러나 그것도 너무 높다며 목을 거의 수평으로 맞춘 복원들도 나오고 했으며, 어느 쪽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잘 안 되는 추세였다. 현재는 브라키오사우루스를 비롯한 대다수의 용각류들을 목을 높게 들어올리는 모습으로 복원하는 추세인데, 그 이유는 목을 수평으로 하게 될 경우 지나치게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리기 때문이다. == 특징 == || [[파일:external/fc07.deviantart.net/brachiosaurus_altithorax_by_scotthartman-d6338zk.jpg|width=100%]] || || 골격도 ||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당시 쥐라기 시대에서 거의 최대급의 덩치를 자랑하는 공룡이었다. 꼬리 길이가 다른 용각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았기에 몸길이는 25m 정도로, 몸무게는 아성체인 모식 표본의 경우 28 ~ 47t 사이로 추정되며, 더 거대한 표본들은 그 이상으로 추정된다. 긴 앞다리로 인해 상체와 목의 높이가 높아져 머리높이가 9 ~ 13m 정도로 키가 큰 공룡이었다. 브라키오사우루스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우 긴 앞발과 높은 어깨, 위로 길게 뻗은 목이다. 이 신체적 조건으로 오늘날의 [[기린]]처럼 매우 높은 곳에 나있는 식물을 따먹는데 유리했을 것이다. 몸집이 거대하고 키도 크기에, 건강한 성체의 경우 당시 공존하던 육식공룡인 [[알로사우루스]]나 [[케라토사우루스]]도 덤빌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덩치가 매우 커 몸이 무거웠던 만큼 이동 속도는 느렸는데, 대략 시속 8km 정도로 사람이 빠르게 조깅하는 속도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기타 == * 완전한 전신 골격으로 전시되고 있는 브라키오사우루스과의 표본은 전세계에 3마리 정도가 있는데, 그중 한 마리가 우리나라의 한국자연사박물관(舊 계룡산자연사박물관)에 진품 화석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해당 화석은 전체 보존율이 70 ~ 80%에 이르며, 골격의 크기는 생각보다 작기에 어린 개체일 가능성이 있다. 미국 콜로라도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던 화석들을 토대로 복원된 전신 골격은 과거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전시되고 있다. 탄자니아에서 발굴되었던 브라키오사우루스 브란카이의 화석은 관련 화석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어 현재 '[[기라파티탄]] 브란카이'라는 이름으로 독일 베를린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기라파티탄]] 문서 참고. 결국, 현재 전세계를 통틀어서 제대로 된 브라키오사우루스의 전신골격을 전시 중인 박물관을 가진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 [[파일:external/cdn.sci-news.com/image_2444e-Qijianglong-guokr.jpg|width=100%]] || *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브라키오사우루스가 언급될 때 종종 이 이미지가 나오곤 하는데, 이 공룡은 [[치장롱]](''Qijianglong'')이라는 중국에서 화석이 발견된 아예 다른 공룡이다. 이후에도 보게 된다면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 == [[대중문화]] == [include(틀:스포일러)] 용각류의 대명사답게 대중매체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덩치가 크다는 점을 살려 [[티라노사우루스]]를 뛰어넘는 공룡계의 최종병기나 거대 전함 혹은 항공모함같은 수송수단이나 기지로 나오거나, 초식 공룡이라는 이미지를 살려 푸근한 엄마 공룡이라는 이미지로 많이 나온다. *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주요 공룡 중 하나이다. 작중 행적은 [[브라키오사우루스(쥬라기 공원 시리즈)]] 참조.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WDBook_Brachiosaurus.jpg|width=100%]] || * 다큐멘터리에서는 [[공룡대탐험]] 2부의 디플로도쿠스편에서 잠깐 등장했는데, 같이 있는 12m 크기의 준성체 [[디플로도쿠스]]들이 상대적으로 작아보일 정도의 엄청난 높이를 자랑한다. 이후 [[크리스마스]] 스페셜 다큐 [[빅 앨의 대모험]]에서도 카메오로 출연했다. * [[그래플러 바키]] 시리즈의 [[피클]]은 이 어마무시한 괴물과 싸워 이긴 적이 있다. * [[ARK: Survival Evolved]]에 나오는 [[브론토사우루스]]의 이벤트 스킨으로 나온다. [[파일: 브라키오사우루스 최종 렌더링_프킹.png|width=600]] * [[프리히스토릭 킹덤]]에서 베타 0.4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앞서 해보기에서도 그대로 등장한다. * [[영국]] 스톱모션 애니 [[곡스]]에서 나이가 다 들어 이빨도 다 빠진 늙은 1마리가 나와 곡스 가족 앞에서 알아서 쓰러져 수명을 다했다. 덕분에 가만히 앉아서 먹을 게 생긴 가족들은 좋아라 하고, 정작 사냥나간 아버지와 아들은 개고생한다. * [[아이스에이지]] 3에서 엘리가 풀로 유인을 하고 주인공 일행은 브라키오사우루스의 목을 미끄럼틀처럼 탄 덕분에 사나운 [[안킬로사우루스]]를 피할 수 있었다. * [[너와 나(영화)]]에서 동네 꼬마인 다은이가 작은 물구덩이에 빠진 브라키오사우루스 인형을 건지면서 '다은이가 물에 살 수 없는 물에 빠진 브라키오사우루스를 구했다'고 하는 장면이 있다. 사실 이 장면은 이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거대한 사건을 은유하는 여러 장면 중 하나이다. === 캐릭터 ===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게놈#s-3.10|브라키오 게놈]] * [[고고 다이노]] - 비키 * [[공룡시대]] - 쇼티 * [[다이너소어]] - 베이린 * [[다이노 코어]] - 브라키오 * [[Dinotrux|다이노트럭스]] - [[스카야]]를 비릇한 크레이노사우르스 족 * [[디지몬 시리즈]] - [[브라키몬]], [[얼티메이트브라키몬]] * [[록맨 6]] - 메가자우르스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리모세토스, [[브라키디오스]] *[[빠샤메카드]] - 키오루스 * [[슈퍼전대 시리즈]] * [[공룡전대 쥬레인저]] - [[킹 브라키온]]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폭룡#s-3.1.4|폭룡 브라키오사우루스]] * [[수전전대 쿄류저]] - [[브라기가스]] * [[수전전대 쿄류저 브레이브]] - 기가브라기가스 * [[동물전대 쥬오우저]] - 브라키오 엠페러[* 본편에 등장하지 않는 한국 한정 전용 완구로 [[도데카이오]]의 재탕이다.] * [[아기공룡 둘리]] - [[둘리 엄마]] * [[열혈최강 고자우라]] - '''[[선더 브라키오]](한국명: 선더루스)''' * 우주용사 다이노서 - 브라키오 * [[원피스(만화)|원피스]] - [[용용 열매 모델 브라키오사우루스]](작중 능력자는 [[퀸(원피스)|퀸]]) * [[유희왕]] - [[브라키오레이도스#s-2|브라키오레이도스]], [[용각수 브라키온]], [[블랙 프테라#s-5|블랙 브라키]], [[다이너미스트#s-3.2.1|다이너미스트 브라키온]], [[다이너레슬러|다이너레슬러 럼브라키오]] * [[저, 트윈 테일이 됩니다]] - 브라키오 길디 * [[조이드]] - 브라키오 라케테, 그라키오사우루스 * 조구만 - 브라키오 * [[지오메카 비스트가디언]] - 브라키오캐논 * [[파이널 판타지 6]] - [[브라키오레이도스#s-1|브라키오레이도스]] * [[후토탐정]] - 브라키오사우루스 도펀트 * [[화석 파이터]] - 브라키온, 브라키온TZ * [[NC 다이노스]] - 쎄리 [[분류:브라키오사우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