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jor_General_Brent_Scowcroft_in_October_1973.jpg|width=100%]]}}} || || '''{{{#white 이름}}}'''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br] Brent Scowcroft || || '''{{{#white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white 출생일}}}''' ||[[1925년]] [[3월 19일]] || || '''{{{#white 출생지}}}''' ||[[유타]] 주 오그던|| || '''{{{#white 사망일}}}''' ||[[2020년]] [[8월 6일]] (향년 95세) || || '''{{{#white 장지}}}''' ||버지니아 주 폴스처치 || || '''{{{#white 학력}}}''' ||[[미국육군사관학교]] {{{-2 (B.A) }}} [br] [[컬럼비아 대학교]] {{{-2 (국제관계학 / M.A) }}} [br] [[컬럼비아 대학교]] {{{-2 (국제관계학 / Ph.D ) }}} || || '''{{{#white 소속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white 경력}}}''' ||미국 공군 중장 [br]미국 국가안보 부보좌관 [br] 제 8대 , 16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br] 대통령실 정보위원회 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정무직 공무원. == 생애 == 웨스트포인트 육사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고, 1947년 미 육군에서 분리 독립한 미 공군으로 옮겨 조종사로 활동했다.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동안 합참 등에서 재직하다가 1973년 재선된 [[리처드 닉슨]]의 2기 백악관에서 국가안보 부보좌관에 임명되었고,[* 한국으로 치면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차장으로 재직했던 셈이다. 안보실장에 해당하는 국가안보보좌관에는 닉슨 행정부의 외교안보 실력자였던 [[헨리 키신저]]가 맡고 있었다. 특히 닉슨 2기 행정부에서는 키신저가 국무장관까지 겸직할 정도였다.]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사임하자 후임 [[제럴드 포드]] 대통령에 의해 1975년 국가안보보좌관(한국의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 해당)으로 발탁되어 약 2년간 재직했다.[* 그동안 안보보좌관을 맡아온 키신저는 국무장관직에 전념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공군 중장이었는데, 현역 군 장성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맡는 드문 사례로 남았다.[* 스코크로프트 외에는 1980년대 말 레이건 행정부의 [[콜린 파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초기인 2017~2018년의 [[H.R. 맥마스터]] 등이 현역 상태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임명되었다. 이들 둘은 모두 당시에 육군 중장이었다.] 퇴역 후 여러 직책을 역임하다가, [[조지 허버트 부시]]에 의해 다시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았다.[* 부시는 닉슨-포드 행정부에서 유엔대사, CIA 국장을 역임하며 스코크로프트와 함께 일했던 인연이 있다.] 그리하여 부시의 재임기간(1989~1992년) 동안 [[걸프전]] 승리, 냉전 종식을 비롯한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에 기여하였다. 공화당 내에서는 온건 성향으로 분류되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반대 입장을 나타낸 것이 대표적인 사례. 또한 공화당 [[네오콘]]들과 달리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란 핵합의를 지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810068?sid=100|#]] [[분류:1925년 출생]][[분류:미국의 군인]][[분류:2020년 사망]][[분류:오그던 출신 인물]][[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