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비키니(동음이의어))] [include(틀:수영복)] [목차] == 개요 == [[파일:신수지 비키니.jpg|width=500]] 한국의 [[리듬체조]] 선수 출신 방송인 [[신수지]]. [[파일:파울리나 베가 미스 유니버스.jpg|width=500]] 콜롬비아의 모델 [[파울리나 베가]]. [[브래지어]] 형태의 상의와 [[팬티]] 형태의 하의로 구성된 여성용 수영복. '투피스 수영복'[* 단, 투피스 수영복이란 말은 포괄적인 표현이다. 비키니는 물론이고 그냥 위 아래가 분리되었으면 전부 투피스.], 혹은 '세퍼레이트 수영복'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름은 비키니 환초(Bikini Atoll)에서 유래되었는데, 1946년 처음 발표된 이 옷의 충격적인 인상을 [[비키니 섬]] [[비키니 섬 핵실험|원폭 실험]]의 충격에 빗대어 명칭한 것이다. == 특징 == [[파일:Maya Keyy1.jpg|width=500]] 수영 외에도 [[일광욕]]에도 알맞게 피부 노출이 많은 수영복이다. 그 때문에 체형을 많이 탄다. 또한 여성의 신체를 90%를 노출시킨다. 가슴을 보완하기 위해 [[누드 브래지어]]를 안에 착용하거나 [[프릴]]이 강조된 비키니를 입기도 하며, [[다이어트]]를 하는 수많은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리고 당연히 겨드랑이 털이나 다리 털 등 체모가 있을 경우 체모를 밀고 입게 된다. 스포츠 종목 중 비키니가 정식 유니폼인 [[비치발리볼]]도 있다. 문화에 따른 배려나 악천후 대비를 이유로 다른 수영복도 공식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비키니를 착용한다. 수비를 하는 과정에서 모래사장에 넘어지면서 수영복 안에 모래가 끼는데, 원피스 수영복은 수시로 모래를 털기가 힘들어서이다. 이외에도 [[러시아]] 여자 축구나 [[미국]] 여자 [[미식축구]] 등에서 '비키니 리그'를 따로 열기도 한다. [[벨리댄스]]복장, [[배꼽티]] 등 여성의 [[배꼽]]을 노출하는 다른 복장들처럼 해수욕장에서 자주 볼 수 있어 친숙하기 때문인지 [[배꼽]]페티쉬가 있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복장이다. 여성 [[보디빌더]]가 대회 출전 시 대회용 비키니를 착용한다. [[바디프로필]]을 찍기위해 소품으로 입기도 한다. == 인기 == [[백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복장이다. 왜냐하면 유럽계 백인들의 경우 [[선탠]]하면서 햇빛을 쬐면 상당한 수준의 베타 [[엔도르핀]]이 [[https://ar.iiarjournals.org/content/36/3/1345.long|생성]]되는데, 동양인들의 경우 햇빛 쬔다고 특별히 유럽인처럼 베타 엔도르핀이 막 생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연유로 서구권에서는 할머니나 아줌마, 심지어 어린이들도 아무 거리낌 없이 입는 반면, 백인 인구가 많은 러시아를 제외한 동아시아권에서는 몸매 좋은 사람들만 입는 [[수영복]] 정도로 취급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서구권의 경우는 해변에 따로 탈의실이 없는 경우도 있어서 해변에 놀러가는 사람들의 경우 속옷 대신 비키니를 입고 가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국내에서 래시가드 대두 이전 비키니가 대중화된 2000년대~2010년대에도 비키니에 반팔티를 덧입는 경우가 상당했고 래시가드 인기 이후로는 남성들에게조차 [[상의탈의]] 패션을 보기 힘들어졌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비키니 입는 사람들이 한국보다 더 많다 등의 반응이 나오는 것을 고려하면, 한국이 많이 개방되었다곤 하나 노출 패션에 있어선 여전히 서구권 등 타 국가들 대비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폐쇄적인 인식, 즉 거부감이 많이 남아있는 편이긴 하다.[* [[https://youtu.be/oR9d1On_AkM?si=PZlKtVBrKkxIotxG|관련 영상]]] == 착용 팁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Valery_Kern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neliamoor6.jpg|width=100%]]}}}|| 유럽이나 미국 등 해외 여행가서, 해변에서 [[래시가드]]를 입고 다니면 '저 동양인은 무슬림도 아닌데 왜 [[부르키니]] 비슷한 옷을 입고 다니냐', '선수용 수영복을 입고 왜 튜브를 타지?' 식으로 이상하게 쳐다보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인데, 그렇다고 비키니 입기는 부담스럽다면 예전부터 해오던 것처럼 비키니 상의 위에 옷을 덧대입는 방식이 무난하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서구권 수영장에는 탈의실이 따로 없는 경우가 많아서, 현지인들처럼 속옷 대신 비키니나 원피스 수영복을 입고 가는게 편하기도 하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ilyfeld 9.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Valery_Kern2.jpg|width=100%]]}}}|| 후드나 셔츠 같은 상의로 등을 가리는 식으로 입으면 배를 돋보이게 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ily Feld 11.jpg|width=100%]]}}}|| 수영을 하지 않는 경우 하의로 숏팬츠를 입는 경우도 많다. 주로 하의로 비키니 바텀만 입고 돌아다니기 부담스러운데, 옷이 젖거나 모래가 묻으면 곤란한 경우 입게 된다. 착용 시 [[음모(신체)|음모]] 돌출을 막기 위해 [[브라질리언 왁싱]]을 하기도 한다. 잠수복 안에 입을 목적으로 비키니를 입는다면 장식이 없는 것을 입는 것이 좋다. 수압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수영복 혹은 잠수복 중 하나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 == 역사 == || [[파일:1946년 최초의 비키니.jpg|width=100%]] || || 1946년에 최초의 상업적인 용도로 사진 찍힌 비키니 사진.[br]착용 모델은 당시 카지노 드 파리에서 누드 댄서로 일하고 있던 [[https://en.wikipedia.org/wiki/Micheline_Bernardini|미셸린 베르나르디니]]. || 최초의 비키니는 프랑스의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라는 디자이너에 의해 1946년 7월에 발표되었다. 동시대에 벌어지고 있었던 [[비키니 섬 핵실험]]에 착안해서 "핵폭탄 급의 반응"을 기원한다는 의미로 비키니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사실 동년 5월에 자크 앙(Jacque Heim)이라는 디자이너의 의해 먼저 발표된 아톰(Atome)[* 원자만큼 작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만 이 상품은 그리 큰 반응을 끌어내지는 못하고 잊혀졌다.]이라는 이름의 수영복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그보다 노출도를 더욱 높여서[* 아톰은 배꼽이 가려지는 등 노출도가 비키니만큼 높지 못했다고 한다.] 내놓은 것이 바로 비키니다. 당시에 일반적인 여자 [[수영복]]은 원피스 형태의 속바지+치마 타입이거나 반팔+반바지 타입이거나 하는 등 노출을 많이 자제하고 있었고, 심지어 미국에서는 수영복 하의 길이가 지정 길이 이하로 짧으면 벌금을 내야 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허벅지가 드러나지 않는 수준이었고 미인 대회에서 이런 반바지-반팔의 수영복을 입는 것조차 '노출했다'고 여기던 시기였기에, 비키니는 매우 충격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0년도 지나지 않아 서구에서 비키니는 주류가 되었고 원피스가 마이너가 되었다. 그래서 현재 서구의 여성들은 실외에서는 대부분 비키니를 입는다. 게다가 [[스쿠버 다이빙]] 등을 하기 위해 [[잠수복]]을 입을 때 속옷으로 대부분 비키니를 많이 입는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원피스를 입는 경우도 있고 수영복 대신 브래지어, 팬티를 안에 입는 경우도 있고 안에 아무것도 안 입고(노브라, 노팬티 상태로) 잠수복만 입는 경우도 있다.] [[파일:1966년 부산 해운대 해수욕 사진 01.png|width=500]] [[파일:1966년 부산 해운대 해수욕 사진 02.png|width=500]] '''1966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피서 중인 여행객들의 모습(컬러 복원 사진). 심지어 한국에서도 이미 60년대에 지금만큼 노출이 심한 건 아니지만 어쨌든 비키니 형태의 수영복이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허나 대중화되었다고 보긴 어렵고, 미니스커트 단속 등 정권 차원에서 작정하고 사회를 보수화시킨 70년대 이후 1990년대 중반까지도 한국 사회에서 여성 수영복은 [[원피스 수영복]]이 대세였지 현대식 비키니 입은 여성은 매우 드물었다. 20세기 극후반에는 마이크로 비키니라는 이름으로 [[유두]]와 [[고간]]만을 겨우 가리는 수영복도 나왔으며, '주얼리비키니'라고 해서 보석을 이용해 정말 아슬아슬한 정도로 중요 부분을 가리는 사치품도 나왔다. 이 계열로는 [[DOAX]]의 [[비너스]]가 가장 유명.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비키니는 사치품이거나 이벤트 아이템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실제로 그런 비키니를 입고 다니는 사람은 보기 드문 편. == 여담 == * 신체 노출에 상당히 보수적인 [[북한]]에서도 비키니를 입는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112&aid=0002288999|#]] 다만 2010년대 기준으로도 [[원피스 수영복]]이 대세고, 비키니 입는 사람들은 주로 [[재일교포]]들이라고 한다. 물론 아예 금지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으니 세월이 지나면 북한에서도 비키니가 유행할 가능성은 있겠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미국 성조기 비키니.png|width=100%]]}}}|| * 유명한 비키니 디자인으로 [[성조기]] 비키니(American Flag Bikini)가 있다. 동양권 서브컬처에서 미국인 여성 캐릭터 하면 [[카우보이]] [[모자]]와 함께 꼭 나오는 소재로 실제 미국인들도 애용하는 성조기 디자인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캐릭터로 [[모니카 아데나워]]와 [[캔디 석스]]가 있다. * [[무슬림]]들은 여성 수영복으로 [[부르카]]+비키니의 합성어인 [[부르키니]]를 입기도 하는데 신체 노출도로 봐서는 도저히 비키니라고 말하기는 힘든 수준이고 오히러 래시가드나 [[잠수복]]과 유사하다. 신체 노출에 극히 부정적인 [[이슬람교]]의 가르침에 따라 나온 수영복이라 그렇다. 다만 [[두바이]]에는 비키니를 입은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 * [[일본]]에서는 '''[[남성]]용''' 속옷, 수영복 중에서 아슬아슬한 [[삼각팬티]] 형태를 띄고 있는 유형을 비키니 팬티라고 부른다. * 2017년, [[체코]]의 한 거대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인턴 여성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비키니 대회를 열어 [[인기 투표]]로 인턴을 뽑는 [[기행#s-2]]을 벌여 논란이 되었다. * 비키니 특성상 세균이나 모래가 들어오기 쉬워 질염 등의 질병에 걸리기 쉽고, 화이트 계열 비키니는 속이 비칠 수도 있기 때문에 비키니를 입기 전에 미리 이너 팬티를 입어두는 것이 좋다. * [[중국]]에서는 남성들이 여름에 밖에서 상의를 배만 노출한 채 입고 다니는 습관이 있는데 외신에서는 이것을 [[베이징 비키니]](Beijing Bikini)라고 부른다. [[https://www.youtube.com/watch?v=D3-dvZAuxpw|#]] * 성인용 비키니 말고도 저연령용 비키니도 존재한다. 다만 서구권에서는 수요가 있는 듯 하나 국내에서는 많지 않다. || [[파일:20201125_101337.jpg|width=70%]][* 2000년대 사진이며 대회 사진은 아닌 듯.] || [[파일:비키니입고스키타는대학생.jpg|width=100%]] || * 겨울에 스키장에서 비키니를 입고 스키를 타는 대회를 하기도 한다. 사실은 안 얼어 죽는다. 해외의 스키장 중에는 만년설 지역 또는 겨울에 눈이 아주 많이 와서 남은 잔설로 개장하는 곳이 꽤 있기에, 비키니를 입거나 반팔 반바지 차림으로 타도 된다. 아니, 그런 옷이 날씨에 맞다. 일본의 갓산 스키장은 겨울에는 리프트가 묻힐 정도로 눈이 와서 개장을 못 하고, 봄에 다른 스키장 폐장할 때 쯤에 개장해서 태풍과 장마로 눈이 녹은 여름 전까지 열고 장사를 한다. * 비키니가 속옷과 유사하기 때문에 [[란제리|속옷]]을 입고 수영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Vis8cTXCkM&list=PLyHHHSTWpHKW77-43LTIokJ0QOTAJ_B-3&index=55|#]] 사실 비키니 자체도 수영에 아주 적합한 복장은 아니어서[* 왜냐하면 수중에서의 항력을 줄이려면 표면적이 적은 수영복이 효율이 좋은데, 비키니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효율이 좋은 편은 아니며,[* 물론 수영복이 없으면 겉옷을 다 입는 것보다 속옷만 입거나 아니면 상의라도 탈의하는 게 더 효율이 좋긴 좋다. 왜냐하면 물을 먹어서 움직이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스쿠버다이빙 등을 위해 [[잠수복]] 안에 입을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만 잠수복 안에 입는 경우에 한하여 [[스포츠 브라]] 정도는 무난한 경우도 있다. 참고로 래쉬가드 안에 입으라고 개발된 수영용 속옷도 존재하는데, 이쪽은 비키니와 매우 흡사하다. * 원피스 수영복보다 탈의가 편해서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기 편하다. 같은 이유로 스쿠버다이빙 등을 위해 잠수복 안에 수영복을 입을 경우 비키니가 권장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 유사품 == * [[모노키니]] * [[비키니 아머]] * [[스포츠 비키니]] * [[탱키니]](tankini) - 위에 [[탱크톱]]과 아래에 [[팬티]]로 되어 있는 수영복이다. == [[비키니/미디어|대중문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키니/미디어)] == 둘러보기 == [include(틀:의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키니(동음이의어), version=313)] [[분류:수영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