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준군인)] [include(틀:장교임관과정)] 士官候保生. [[Cadet]].[* [[사관생도]]의 [[영어]] 표현과 같다.] [목차] == 개요 == >'''사관후보생 신조''' >하나, 우리는 조국수호와 민족의 번영을 위하여 젊음을 바친다. >하나, 우리는 장교 후보생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항상 솔선수범한다. >하나, 우리는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전기전술 연마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파일:external/image.newsis.com/NISI20130923_0008705266_web.jpg]]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사관후보생]] [[장교]]를 육성하는 과정은 여럿인데, 여러 장교 육성과정 중 [[사관학교]]를 제외한 다른 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사람]]을 사관후보생이라고 한다.[* 병역법과 군인사법에서는 사관후보생과정,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과정 이렇게 두 가지로만 분류한다.] [[군인]]의 정의는 좁은 의미로는 현역으로 군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를 지칭하고,[* 군인의지위및복무에관한기본법 등 개별법에 따라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준사관·부사관·병만 군인으로 정의되고, 사관생도·사관후보생·준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과 소집되어 군에 복무하는 예비역·보충역은 군인에 준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넓은 의미로는 병역의 종류와 무관하게 실역으로 소집되어 군에 복무하는 사람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개별법률에 따라 군인의 범위에 차이가 있음.] 사관후보생은 군인사법상 군인이고,[* 군인사법 제2조] 병역법상 현역이나,[* 병역법 제5조①항의1호나목] 국가공무원법상 군인이 특정직공무원으로 분류되는 것과 달리 공무원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공무원증 미발급] 서열은 준사관 다음이다.[* 군인사법 시행령 제2조①항1호. 사관생도 및 사관후보생의 서열은 준사관 다음으로 한다.] 사관후보생은 군적에 편입된 현역인만큼 군형법 등 군법이 적용된다. [[사관생도]]와의 관계는 [[대한민국 해군]] 기준으로 [[해군사관학교]] 생도 [[3학년]]과 동급 대우를 하도록 되어 있다. 어차피 양성과정에선 거의 마주칠 일이 없기에 가끔 보게 되면 상호존대한다. 사관후보생은 [[교육]] 간에 사관후보생이라고 자신을 지칭한다. 사관후보생 OOO. 앞에 [[학사장교|학사]]/[[학생군사교육단|학군]] 등을 붙여 본인이 어떤 사관후보생인지 구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면 너무 길어져 주로 사관후보생이나 후보생으로 압축해 부르기도 한다. [[육군]] [[부사관후보생]]은 그냥 [[후보생]] 으로 지칭한다. [[해군]]은 사후생/준후생/부후생이라 지칭하게 되어 있다. 간혹 [[사관후보생]]이란 일본식 표현 대신에 장교후보생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으나 [[사관학교]]도 있고 사관이란 말이 워낙에 익숙해졌고 정작 [[일본]]에선 [[해자대]][* 그것도 공식적으로 쓰는 건 아니고 그냥 통용한다.]를 제외하면 사관이란 말을 안 쓰기 때문에 사관이란 말은 계속 쓰일 것으로 보인다.[* 정작 일본에서도 장교와 사관이 혼용된다.] == 종류 == [[학생군사교육단|학군사관후보생]]과 [[학사장교|학사사관후보생]], [[간부사관|간부사관후보생]], [[전문사관]] 등으로 나뉜다. 사관생도들은 보통 사관후보생과는 달리 [[사관학교]]에서 수학하기 때문에 구분하여 호칭한다. 군간부후보생(예전 무관후보생)의 [[개념]]으로 볼 때엔 [[사관생도]]·사관후보생과 함께, [[준사관후보생]]·[[부사관후보생]] 등을 군간부후보생으로 통칭한다. [[미군]] 같은 경우에는 생도냐 후보생이냐 나누지 않고 주로 통칭하여 [[Cadet]]으로 부르는 편이다. [[한국]]에서 학사장교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관후보생이 많이 쓰이기도 하나 사관후보생을 가리키는 영어 표현인 [[OCS/OTS|OCS]](Officer Candidate School)/[[OCS/OTS|OTS]](Officer Training School)([[공군]])란 표현 자체는 [[미국]]에서 간부사관과 학사장교을 통틀어 [[OCS/OTS]][* [[미 공군]]은 [[OCS/OTS|OTS]](Officer Training School)란 표현을 쓴다.]라고 한다 미군 [[사병]](병 또는 부사관)의 경우 3년 이상 복무했으면 [[학사]] [[학위]]가 없어도 장교가 될 수 있다.[* 물론 [[한국]]의 [[육군3사관학교|3사관학교]]나 [[간부사관]]도 2년 이상의 [[대학]] 재학이면 가능하고 옛날의 [[갑종장교]]는 [[고졸]]이면 됐다.] 미군 [[주방위군총감]]인 [[프랭크 그래스]] [[장군]]이 12년간 병/부사관 생활을 거친 뒤에 OCS로 육군대장까지 올라간 케이스와, [[수병]] 출신으로 [[해군참모총장]]이 된 해군대장 [[제러미 마이클 보더]] [[제독]] 등 고위직에 진출한 경우도 꽤 된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리처드 윈터스]] 육군 [[소령]]도 신병훈련 중 장교 [[임관]] 시험을 본 OCS 출신이다. == [[임관]] == [[군법무관|법무사관]], [[군의관|의무사관]], [[군종장교|군종사관]] 등 [[특수사관]]을 제외하고는 [[소위]]로 임관된다. 이외에도 [[석사]] 이상의 경우 [[중위]], [[박사]] 이상이면 [[대위]]로 임관하기도 한다. [[군종장교]]의 경우는 [[가톨릭]]과 [[원불교]]는 사병 경력을 인정받기 때문에 대위, 나머지는 중위로 임관하는데 가톨릭과 원불교라 하더라도 병역 면제자이거나 [[방위산업체]] 등 [[현역]]이 아닌 과정으로 [[병역]] 문제를 해결한 경우에는 군 경력이 없기 때문에 다른 [[종교]]의 군종장교와 동일하게 중위로 임관한다. 개신교와 [[불교]] 역시 박사 학위 소지자나 임관 전 종교인으로 활동한 기간을 인정 받으면 대위로 임관한다. [[분류: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