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공구]][[분류:순우리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의 동음이의어, rd1=사다리(동음이의어))] [[파일:사다리.jpg]] ||<-2> '''{{{#FFFFFF 언어별 명칭}}}''' || || '''[[순우리말|한국어]]''' || 사다리 || || [[영어]] || Ladder || || [[일본어]] || 梯子(はしご) || || [[중국어]] || 梯(tī), 梯子(tī‧zi), 步步高(bùbùgāo) || || [[프랑스어]] || (여성)échelle || || [[라틴어]] || (여성)[[스칼라|scāla]][* [[벡터]] 스칼라 할 때 그 스칼라이다.] || [목차] == 개요 ==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오르내리는 데 쓰이는 도구이며, 사닥다리[*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다.]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사용 예시가 [[성경]] [[창세기]]에서 등장한 '야곱의 꿈에 나타난 사닥다리'이다. == 상세 == 재료로는 나무, 대, 밧줄, 금속 등이 사용되며, 사용할 때는 세우거나 걸쳐서 사용된다. 높은 곳을 이동해야 하는 조림, 건축, 토목 등에 널리 쓰이며 분리된 도구 외에도,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경우도 흔하다. 가로대에 한 발을 딛은 다음 위의 가로대나 세로로 된 기둥을 잡고 다음 발을 내딛는 식으로 올라가게 된다. 기울어진 사다리라면 그나마 나을지도 모르나 수직 사다리라면 사용자의 체력을 상당히 요구한다는 점에 주의. 2인 이상이 사용하거나 한번 사용한 곳을 다시 돌아가야 할 때는 발로 디뎠던 곳을 손으로 잡아야 하는, 다시 말해 발에 묻었던 흙과 오물이 손에 묻을 수도 있다는 사소한 문제가 있는데 이럴 때에는 손으로 세로로 된 기둥만 잡는 방법이 있다. 금속제 사다리는 용접이나 리벳으로 연결하여 만들며 사용 목적에 따라 조립하여 쓸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줄사다리는 기둥 대신 밧줄에 가로장을 묶어서 사용하는데,[* 가끔은 가로대까지 줄로 된 것도 있다.] 이것은 군용이나 선구로 많이 사용되며, 또 비상시에 쓰이기도 한다. [[헬리콥터]]에서 늘어뜨린 줄사다리를 이용한 구조, 탈출, 혹은 탈출저지신은 영화나 게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장치로서 즐겨 사용된다. 접이식 A자형 사다리를 사용할 때는 작업 도중에 사다리가 벌어지거나 흔들리거나 해서 균형을 잃게 될 경우 추락할 위험성이 크다. 가능하면 '사다리 위에 올라가는 1명'을 '사다리를 밑에서 잡아주는 1명'이 보조하는 식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 여담 == 사다리는 옛날 일본에서 범인을 유인하여 체포하는데 많이 쓰였다. 사다리를 이용하여 범인을 포위하여 잡는 방법 인데, 이러한 방법을 하시고토리(はしご捕り)라고 불렀다. 가부키나 고샤쿠에도 이러한 방법이 자주 등장하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긴 사다리를 10개 정도 세워놓고 범인을 둘러싼 다음, 이를 차례로 범인을 향해 넘어뜨린다. 그래도 몸부림칠 때는 범인의 몸에 놓인 사다리 위에 올라타 짓누른다. * 포수 두 명이 사다리의 양끝을 잡고 범인이 도주하려는 것을 방해하고 사다리로 쳐서 넘어뜨려 체포한다. [[https://m.youtube.com/watch?v=bSb0g4n0lbc|애니에서 묘사된 비슷한 사례]][* 애니메이션 이름은 [[걸즈 브라보]]다.] * 긴 사다리[* 여기서 사용하는 긴 사다리는 굵은 청죽 2자루를 판에 밧줄로 묶은 것으로 길이는 대략 5~6미터 정도이다.] 네 개를 잡는 포수 여덟 명과 장병 삼도구[* 에도시대 때 범죄자 포획용으로 쓰인 무기인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B0%A8|사스마타]], 츠쿠보, 소데가라미를 말한다.]를 가진 포수 네 명이 한 조가 되어 행하는 방법이다. 사다리로 사방을 둘러싼 뒤,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장병의 포수가 체포하는 방법이다. [[https://www.jiji.com/news/handmade/topic/d4_soc/edt907-keijizufu020.jpg|체포 과정을]] [[https://cdn-ak.f.st-hatena.com/images/fotolife/t/tokyokei_jidaigeki_satsueiti/20190817/20190817082856.jpg|묘사한 그림]] 적절한 너비를 갖고 있기 때문인지 [[https://youtu.be/nbwuLtxhUlE?t=831|뛰어넘는 용도의 간이 장애물로도 쓰인다]]. [[비디오 게임]]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물건이며 높은 곳을 오르락내리락하는데 사용된다. 엔진의 한계나 게임적 허용을 이유로 발만 사다리를 타고 손으로는 도구나 무기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경우가 많다. [[FPS 게임]]에서 사다리 이용동작을 처음으로 구현한 엔진은 [[빌드 엔진]]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레슬링]]에서는 사다리를 이용해 목표물을 쟁취하는 방식의 [[래더 매치]]가 있다. 또 선수들은 사다리를 이용해서 공중 기술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브머신 시리즈]] 같은 [[퍼즐 게임]]에서는 사다리 단이 한 두 개 정도 빠져있어서 그 대용품을 찾게 하기도 하고, 그 오르락 내리락한다는 속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실력의 상하 그 자체를 나타내는 개념으로도 쓰이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배틀넷]]의 래더 랭킹이 있다. 물리학에서는 십중팔구 마찰 없는 벽에 일정한 각도로 기대어있으며 높은확률로 소방관이 올라가고 바닥과의 정지마찰계수를 구하라고 한다. [[2019년]] 산업 현장에서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4096296|일반 사다리의 사용이 '''계도 기간 없이 전면 금지'''되었다.]] 당연히 현실을 무시한 [[탁상행정]]이며, 만사를 금지하려 든다는 의견 등 수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결국 3월 말에 일부 예외 조항을 넣기로 했다. 가끔 아무도 건드리지 않은 사다리가 저 혼자 움직여 슬슬 걸어가는 기현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QNiAK-03Ak|예시 영상]][* 정말로 좀 으스스한 분위기의 영상들도 있으나, 여기서는 심약자들도 볼 수 있는 영상으로 선정하였다.] 언뜻 [[폴터가이스트]] 같은 초자연현상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사실은 과학적으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한 평범한 현상이다. 이것은 완만한 비탈길 위에서 물체가 저 스스로 균형을 잡으며 걸어내려가는 'passive dynamic walking' 현상으로, [[물리학]] 및 [[로봇공학]]에서는 매우 잘 알려진 것이고 심지어는 [[장난감]]에도 이를 활용하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거리의 사다리]] * [[래더 매치]] * [[래더맵]] * [[사다리 걷어차기]] * [[사다리꼴]] * [[사다리 연산자]] * [[사다리 전법]] * [[사다리차]] * [[사다리타기]] * [[상자 사다리]] * [[스타래더]] * [[접사다리]] * [[플래니트 래더]] * [[행 사다리꼴 행렬]] * --[[장폐색]]--[* [[X선]]으로 찍은 장폐색 내장의 모양이 사다리 모양으로 나타나서 영어권에서는 Stepladder Pattern(접사다리 패턴)이나 Stepladder Sign(접사다리 신호)이라고도 한다.] * --[[직찍]], [[직캠]]--[* 직찍, 직캠러들이 갖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서 [[뮤직뱅크]]에서는 아예 2018년 12월 1일부터 KBS 앞의 사다리 및 의자 반입을 금지시켰다.] * --[[ㅒ]]--[* 사다리 닮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