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게임 시점)]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thefreecheese.com/castlevania-symphony-of-the-night-cthulu.jpg]]|| ||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스크린샷. || Side View / Side-Scrolling 측면에서 보는 시점을 뜻한다. 국내에서는 '''횡스크롤'''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 특징 == 캐릭터는 좌나 우를 바라보는 옆에서 본 시점으로 표현되며 좌에서 우로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마리오 브라더스처럼 일체의 스크롤 없이 진행될 수도 있고 아이스 클라이머처럼 위나 버블 보블처럼 아래로만 진행될 수 있는 등 진행 방향과는 크게 관계는 없다. 사이드 뷰라고는 하지만 혼두라 시리즈처럼 갑자기 백 뷰나 탑 뷰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서양권에선 그냥 사이드-스크롤링(러)라고도 부른다. [[런앤건]],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이나 [[메트로배니아]], [[대전 액션 게임]] 등의 장르에 사용되고 있다. 단조롭지 않은 진행을 위해 대부분 [[플랫폼 게임|플랫폼 점프 액션]]이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점프 액션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좀 고역일 수가 있다. 어째서 게임은 보통 좌에서 우로 진행하는가? 라는 궁금증에 'TV의 주사선이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이 흐름을 거스르면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는 가설이 있다. == 장점 == * 인간의 눈은 기본적으로 위아래보다는 좌우이동에 적합하기 때문에 눈이 편하다. * 3D 멀미가 있는 사람들이나 어린이, 장년층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3D로 이루어진 횡스크롤도 있지만 카메라 시점에 변동이 적어서 훨씬 덜 어지럽다. * 보여줄수 있는 각도가 고정되어 그외 부분은 볼 수 없기 때문에 [[백뷰]]나 1인칭 시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래픽 작업이 편해진다. 어떻게 보면 탑뷰보다도 더 편한데 예를 들면 캐릭터 스프라이트의 경우 탑뷰는 전, 후, 좌, 우 최소 4개의 스프라이트가 필요하나, 사이드뷰는 좌, 우 2개만 만들면 된다. 좌 또는 우 스프라이트 하나만 만든 후 반전시킬 경우 사실상 하나만 만들면 되지만, 비대칭 스프라이트인 경우(예를 들어 한쪽 팔만 총이 달려있는 락맨, 한 손에 검을, 다른 손에 실드를 든 원더 보이) 스프라이트를 반전시키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비대칭 요소도 반전되므로(예를 들어 락맨의 총) 어색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좌우 스프라이트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 == 단점 == * 아무래도 고개를 돌려 다른 주변 사물을 본다든지 할 수 없어 풀 3D 게임에 비해 현장감, 공간감이 부족할 수 있다. * 측면 이동(속칭 Y축 이동)[* X 축을 전후진, Z축을 상하 점프 이동으로 보았을 경우.]이 불가능하거나 극히 제한된다. [[분류:게임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