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자어 == === -人([[사람]]) === * 私人: 개인. [[자연인]] 뿐만 아니라 사법인 등을 포함한다. 공무원 역시 직무와 관련된 일이 아니라면 사인이 된다. * 死人: [[고인|죽은 사람]]. * 士人: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 * 使人: 심부름하는 사람. * 詞人: 시문(詩文)을 짓는 사람. * 邪人: 사심(邪心)을 품은 사람. * 舍人: 예전 우리나라 벼슬. === -因([[원인]]) === * 死因: 죽음의 원인. 死因의 종류는 [[죽음]] 항목 참고. 여기 기재된 한자어 동음이의어 중에서 출현 빈도가 제일 높다. * 事因: 일이 있게 된 원인. === -印([[도장]]) === * 私印: 개인이 사사로이 사용하는 인장. * 寺印: 절에서 사용하는 인장. * 社印: 회사에서 사용사는 인장. === 기타 === * 砂仁: [[한약재]] 이름이다. 성이 따뜻하고 기를 풀어주어 소화제로 흔히 사용된다. * 四寅: 4개의 寅. [[사인검]]이 이 글자를 쓴다. == 영어 == === sign, [[서명]] === 영단어 sign은 동사, 명사 양쪽으로 쓸 수 있는 단어로 동사형일 때는 서명하다, 신호를 보내다는 뜻이다. 명사로는 징후, 표지, 신호 등을 뜻한다. 한국에서 사인 하면 문서에 확인했다는 의도로 남기는 서명 혹은 유명인들에게 기념으로 받는 필적을 의미한다. 흔히 [싸인]이라고 읽고 표기한다. 그러나 영어권에선 해당 의미로는 sign의 명사형을 쓰지 않고 대신 autograph, signature라고 한다. Sign의 동사형은 서명하다라는 뜻으로 쓰일 수 있지만, 정작 sign의 명사형은 서명이란 뜻이 아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도 한국에서와 같은 의미로 사인(サイン)을 쓰고 있다. 한국의 수많은 외래어, 외국어가 그러하듯 [[재플리시]]를 업어 와서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인펜]]도 사인(サイン)에서 유래한 재플리시로 영미권에서는 [[마커]]라고 부른다. 연예인이나 유명 스포츠선수 같은 스타들의 사인은 팬들에게 소중한 추억이 되기도 한다. 스타의 경우 팬과 소통하고자 간혹 팬 싸인회를 연다. 종이가 아닌 물건이나 옷에 싸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연예인의 명성에 따라 별것 아닌 물건이 싸인 한번으로 물건의 가치가 확 뛰어버리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몇몇 스타들은 팬들에게 싸인을 성의 없이 해줘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주성치]]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컬투]]가 주성치의 싸인을 받은 적이 있는데 정말로 지렁이 두마리를 달랑 그려 준 식이라서 바로 버렸다고 하며, 디카프리오는 [[박성호]]가 인간의 조건 촬영 중 시사회에 가서 싸인을 받았는데 정말 대충 해 줬다고 한다.[* 디카프리오의 경우는 몰라도, [[주성치]]의 경우 본인 문서에도 나와있듯 원래 본인 싸인 자체가 지렁이같이 생긴 경우라(...) 좀 예외 케이스긴 하다.] 단어 그대로 [[타케 유타카|사인(サイン)을 적는]] 경우도 있다. 결제 사인을 할 때 다른 사람이 쉽게 모방할 수 없도록 표시를 해두면 위변조 같은 상황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서명을 만들어주는 인터넷 [[http://www.onlinesignature.in/online-signature-maker.html|사이트]]도 있는데 가입을 요구하거나 유료이다. [[http://photo.media.daum.net/photogallery/digital/0806_it/view.html?photoid=3301&newsid=20110628143428143&p=etimesi|기계로도 재현이 가능하다]]. === sine, [[삼각함수]] === 가장 기본적인 [[삼각함수]] 중 하나이다. 삼각함수에 대해선 해당 문서로. 모든 주기를 가지는 파동은 사인함수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음높이와 크기가 다른 수많은 사인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에 따라 완성되는 파형의 모습 즉 음색과 배음이 변화한다. 이는 푸리에 분석을 통해 해석할 수 있다.[* 빛을 스펙트럼으로 분해하는 분광기와 같다고 보면 된다. 그렇게 보면 보라색 쪽이 높은 음, 긴 막대가 큰 음일 것이다. 뭐 들을 수 있다면 말이지만.] 거꾸로 사인파들을 합성하여 자연음을 만들어낼 수도 있으며 가산 방식 [[신시사이저]]들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오실레이터도 사인파를 합성해서 펄스, 삼각파, 톱니파 등을 합성한 소리를 내는 것이 많고 4cm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그을 수 없는 것과 같이 사인파라고 나오는 것도 완벽한 사인파는 아니다. == 작품 == === [[사인(게임)|사인]](死印), 호러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인(게임))] == 인명 == === [[사인(삼국지)|사인]](士仁), [[후한]] 말의 무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인(삼국지))] [[부사인]]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