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오사카부 제11구|{{{#000000 오사카 11구}}}]])'''}}} || || '''제46대'''[br]이토 노부히사 || → || '''제47대[br]사토 유카리''' || → || '''제48대'''[br][[히라노 히로후미]] || ||<-5>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일본 총무성|[[파일:MIC_Wlogo.png|width=59]]]]||}}}{{{#!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일본 총무성|{{{+1 {{{#fff '''일본국 총무부대신'''}}}}}}]] ||}}}}}} || ||<-5> [[아베 신조|{{{#ffffff '''아베 내각''' }}}]] || ||<:>'''제30-31대'''[br]오쿠노 신스케[br]사카이 마나부 ||<:>→||<:>'''제32대[br]스즈키 준지[br]사토 유카리'''||<:>→||<:>'''제33대'''[br]하세가와 가쿠[br]데라다 미노루 || ||<-2>
'''{{{#fff {{{+1 {{{#fff [ruby(佐, ruby=さ)][ruby(藤, ruby=とう)] ゆかり}}}[br]사토 유카리}}}}}}'''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ato-yukari_l.png|width=100%]]}}} || ||<|2> '''{{{#fff 출생}}}''' ||[[1961년]] [[8월 19일]] ([age(1961-08-19)]세) || ||[[도쿄도]] [[세타가야구]] || || '''{{{#fff 학력}}}''' ||[[세이신 여학원|후지세이신 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조치대학]] {{{-2 (프랑스어학 / 편입)}}}[br][[컬럼비아 대학교]] {{{-2 (정치학 / 학사)}}}[br][[컬럼비아 대학교]] {{{-2 (국제관계학 / 석사)}}}[br][[뉴욕 대학교]] {{{-2 (경제학 / 박사)}}} || || '''{{{#fff 소속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fff 소속 파벌}}}''' ||---[[지수회]]--- {{{-2 (낙선으로 탈퇴)}}} || || '''{{{#ffffff 의원 선수}}}''' ||'''3''' (중)[br]'''1''' (참) || || '''{{{#ffffff 의원 대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 (중)[br]22 (참) || || '''{{{#fff 지역구}}}''' ||도카이 권역 비례대표[br]→ [[오사카부 제11구|오사카 11구]][br] → 긴키 권역 비례대표 (중)[br]비례대표 (참) || || '''{{{#fff 현직}}}'''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오사카부 제11구]] [[지역위원장|지부장]] || || '''{{{#fff 약력}}}''' ||닛코 솔로몬스위스버니 증권 이코노미스트[br][[JP 모건]] 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br][[크레디트스위스]] 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 겸 경제조사부장[br]도카이 권역 비례대표 [[중의원]][br][[일본 참의원]] (비례대표)[br][[오사카부 제11구]] [[중의원]][br]긴키 권역 비례대표 [[중의원]][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경제산업부회장 || || '''{{{#fff 홈페이지}}}''' ||[[http://www.satoyukari.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 생애 == [[1961년]]에 [[도쿄도]] [[세타가야구]]에서 태어났으며, 태어난 이후에도 계속 세타가야구에서 살았다. [[시즈오카현]]에 위치한 [[세이신 여학원|후지세이신 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조치대학]] 외국어학부 프랑스어학과에 입학했다. 그러다가 [[위스콘신 대학교 시스템|위스콘신 대학교 어클레어 캠퍼스]] 교환학생으로 미국으로 떠난 뒤, [[컬럼비아 대학교]]에 편입해 정치학부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 국제공공정책대학원(SIPA)에서 국제관계학(MIA)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98년 [[뉴욕 대학교]]에서 금융경제학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아사히신문]] 뉴욕지국, 1993~1995년 뉴욕대 스턴경영대학 미일경제연구소 연구원, 1997년 RF 마케팅스튜디오 대표이사 사장, 박사학위 취득후 1998~2002년 닛코 시티그룹 증권사인 닛코 솔로몬 스위스 버니 증권 경제시장조사부 이코노미스트, 2002~2004년 [[JP모간]] 증권 경제조사부 수석이코노미스트, 크레디트 스위스 퍼스트 보스턴 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 겸 경제조사부장 등 여러 외국계 증권사에서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했다. 이 당시 그녀는 각종 신문과 경제지에 기고나 인터뷰를 받았으며, 경제에 대한 강연을 개최하거나 텔레비전 경제 프로그램 등에도 출연하는 등 꽤 잘 나가는 증권계 인사였다. === 정치 활동 ===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이른바 ‘우정 해산’으로 치러진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자민당의 후보자 공모에 응모하면서 정계에 입문한다. 그런데 정계 입문 전 그녀는 고이즈미의 우정 민영화에 대해 [[니혼게이자이신문]] 기고를 통해 낙제점을 준 적이 있다(...). 어쨌든 이 때 그녀는 자민당으로부터 당시 고이즈미의 우정 민영화에 반대한 인물들 중 한 명인 [[노다 세이코]][* 여담으로 노다 세이코도 사토 유카리가 미국 유학을 가기 전에 다녔던 [[조치대학]] 외국어학부를 졸업했다. 사실상 조치대학 동문들 끼리의 싸움인 셈.]의 지역구인 [[기후현 제1구]]에 이른바 ‘자객 공천’ 성격으로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그런데 문제는 사토 유카리는 '''출마 지역구인 [[기후현]]에 아무런 연고가 없었다.'''[* [[노다 세이코]]는 할아버지가 기후현 출신의 거물 정치가 노다 우이치였고 할아버지의 후광으로 20대 중반부터 기후현의회 의원을 했다.] 한마디로 완전히 [[낙하산]] 후보인 셈. 본인도 이 점을 알고 있었는지 공천을 받은 뒤 '''‘2월에 관광으로 라이트 업 시기에 [[시라카와고]][* 그런데 [[시라카와고]]는 사토가 출마한 [[기후현 제1구]]가 아닌 [[기후현 제4구]]에 속한다(...).]에 갔을 때, 기후현에 몇 번이든 또 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또 오게 되다니!’라는 기분이라고 말하며''', 없는 연고를 최대한 만들어냈다(...). 그리고 선거 유세 기간에는 아예 '''“기후에 시집 가는 기분으로 왔습니다.”'''(...)라며 [[기후역]]에서 연설했다고 한다. 하지만 선거 결과 무소속으로 출마한 [[노다 세이코]]가 당선되고, 사토는 2위를 기록했지만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어 어쨌든 국회에 입성했다. 그러다가 노다 세이코가 자민당으로 복당한 이후인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는 자신의 출신지인 [[세타가야구]]가 속한 [[도쿄도 제5구]]로 지역구를 바꿔 출마했다. ~~기후현에 시집온지 4년만에 친정으로 돌아간 셈~~ 하지만 이 때는 전국적으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돌풍이 불고 있던 시기라 결국 민주당의 데즈카 요시오에 밀려 낙선했다. 중의원 낙선 1년 후인 2010년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자민당 비례대표로 출마해 당선되어 참의원이 되었다.[* 사토의 참의원 출마로 빈 [[도쿄도 제5구]]는 [[와카미야 겐지]]가 출마해 당선된다.] 그러다가 참의원 임기 도중 뜬금 없이 중도 사직한 후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는데, 45회 총선거 때 출마한 [[도쿄도 제5구]]가 아닌 이번에도 연고가 전혀 없는 [[오사카부 제11구]]에 출마한다. 하지만 현역 의원인 유신당 이토 노부히사와 민주당 [[히라노 히로후미]]를 꺾고 당선된다. 민주당, 유신당 후보와의 3파전 구도에서 [[일본 공산당]] 후보가 10% 가까이 득표하면서 야권 표가 분산된 것이 호재가 되었다. 이렇게 해서 기후현 → 도쿄 → 오사카를 거치며 중의원 선거에 출마한 [[지역구]] [[철새(정치)|철새]](...)가 되었다.[* 한국으로 예를 들면, 충청도 → 서울 → 부산 순으로 지역구를 옮긴 셈이다.] 그나마 도쿄는 자신의 출신지이지만, 기후현과 오사카는 해당 지역에 아무런 연고도 없어 사실상 자민당 당적만으로 당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지역구인 오사카부 제11구에 출마하나 이번에는 민주당 출신 무소속 후보인 [[히라노 히로후미]]에 밀려 2위를 기록해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당초 출구조사 결과 1위로 예측되었으나 뒤집힌 것이다.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사카에서의 유신회 돌풍으로, 석패율 구제도 못 받고 낙선했다.[* 어느 정도였냐면, 오사카 지역구 19석 중 일본 유신회는 후보를 낸 15개 지역구에서 모두 당선돼 15석을 얻었고, 자민당과 연립 여당을 구성중인 공명당은 유신회 후보가 출마하지 않은 4개 지역구에서만 당선자를 냈다. 자민당 후보는 전부 유신회 후보에 졌다는 얘기다.] 그나마 직전 현역 의원이었던 [[히라노 히로후미]]는 이겼다는 점이 위안이라면 위안이지만… 2023년 7월 18일, 정계 은퇴를 발표했다. 자민당이 오사카 지역에서의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해 차기 선거의 후보자들을 공모하기로 했는데, 이 중에 사토의 지역구가 포함된 것이 이유라고 한다. 공모가 사실상의 후보 교체라고. == 기타 == * 아버지는 [[게이오기주쿠대학]] 재학 중 학생 동원으로 해군에 입대해 참전한 후 전역해 일본정공에서 근무했다. 어머니 사토 미도리는 [[탐정]]이었으며, 아버지가 회사 퇴직 후 어머니의 탐정 일을 도왔다고 한다.[[https://web.archive.org/web/20050924045106/http://www.zakzak.co.jp/top/2005_08/t2005082621.html|#]] * [[금수저]]다. 부모님과 형제자매 모두 현재 사망한 상태라 자신이 가족 재산을 상속받았는데, 재산 상속으로 현재 [[도쿄]]도내에 다수의 주택과 택지, 산림 등의 부동산과 주식 등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주식의 경우 본인은 ~~증권사 출신이면서~~ 자산 운용엔 관심이 없다며 상속받은 주식 이외에는 주식 투자를 하고 있지 않다. * 2006년 동료 의원인 에사키 요이치로[* [[에사키 데쓰마]]의 이복동생.]와의 [[불륜]] 논란이 터졌는데, 이것 때문에 에사키는 이혼했다. 물론 사토는 극구 부인하고 있다. * [[돌싱]]이다. 과거 [[테레비 아사히]] 앵커와 결혼했으나 이혼했으며, 슬하의 자식도 없다. 다만 재혼할 생각은 있는지 여성잡지와의 인터뷰에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https://web.archive.org/web/20071028173124/http://www.y-sato.org/img/media/m/060826-3.jpg|#]] * 나이에 비해 꽤 [[동안]]이다. * 놀랍게도 특촬물에 출연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자전대 메가레인저]]에서 [[나미키 슌|메가 블루]]의 어머니 역을 맡은 사람과 동명인데 얼굴도 비슷하다. [각주] [[분류:일본의 여성 정치인]][[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제22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1961년 출생]][[분류:세타가야구 출신 인물]][[분류:성심학교 출신]][[분류:조치대학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