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김동환의 시 == 장편 서사시 '[[국경의 밤]]'(1925년)으로 유명한 파인(巴人) [[김동환(시인)|김동환]](金東煥)의 시. 1927년 1월 '조선문단 18호'에 처음 발표했다. ><산너머 남촌에는> > >1 >산너머 南村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南으로 오데. > >꽃피는 사월이면 진달내향긔 >밀익는 오월이면 보릿내음새. > >어느 것 한가진들 실어안오리 >南村서 南風불제 나는 좋데나. > >2 >산너머 南村에는 누가 살길내 >저하늘 저빛갈이 저리고을가. > >금잔듸 너른벌엔 호랑나비떼 >버들밭 실개천엔 종달새노래 > >어느것 한가진들 들여안오리 >南村서 南風불제 나는 좋데나. > >3 >산너머 南村에는 배나무섯고 >배나무꽃 아레에는 각씨섰다기, > >그리운 생각에 재에 오르니 >구름에 가리어 자최안뵈나, > >끈었다 이어오는 가는노래 >바람을 타고서 고요히들니데 현대어로 고치면 다음과 같다. ||산너머 남촌에는 -김동환-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꽃 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 익는 오월이면 보리 내음새 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남촌서 남풍 불 제 나는 '''좋데나'''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저 하늘 저 빛깔이 저리 고울까? 금잔디 넓은 벌엔 호랑나비 떼 버들밭 실개천엔 종달새 노래 어느 것 한 가진들 들려 안 오리 남촌서 남풍 불 제 나는 좋데나 산 너머 남촌에는 배나무 있고 배나무 꽃 아래엔 누가 섰다기 그리운 생각에 영에 오르니 구름에 가리어 아니 보이네 끊였다 이어 오는 가느단 노래 바람을 타고서 고이 들리네|| 시적 화자(서정적 자아)가 빼앗긴 국토(남촌)에서 임은 보이지 않지만 희미하게나마 들려오는 임(조국, 국토)의 소리를 들으며, 희망(소망)을 결코 버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은근히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지은이 김동환이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는 바람에 이 시는 묻혀진 감도 있다. '''희망을 버리고 친일파가 되어 호강했으니...'''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에 여섯 번째 지문(31~36번)으로 구두 한 켤레의 시, 북찬가와 함께 시가복합 지문으로 이 시가 출제되었다. 문학 지문 중 유일한 비연계 지문이었다. == 1의 시에 곡을 붙인 가요 == 1965년, 1의 시를 현대 문법에 따라 조금 고친 가사에 김동현이 곡을 붙이고 [[박재란]]이 노래해 인기를 끌었던 대중가요. 가사는 1의 시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가곡이 발표된 이후엔 3절을 제외한 2절까지만 부르고 있다. 이 노래는 젊은 사람도 들어보면 '아! 그 노래~'할 정도로 유명한 곡. 4의 드라마도 시보다는 가요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 1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 == [youtube(fCRnduSngHQ)] 1975년 김규환이 곡을 붙인 가곡이다. 2003년 4월 3일,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쟁반노래방]][* 출연자는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 [[정종철]], [[이정수(1979)|이정수]].] 방영분의 도전곡으로 이 노래가 나왔는데 자리바꾸기는 피했으나(꽝은 없었다), 마지막 찬스 사용 이후 다같이 부르는 마지막 소절인 '남촌서 남풍불 제 나는 좋데나'에서만 5번이나 막히는 바람에 실패로 끝났다. 더 안타까운 것은 박준형이 7번째 시도 이전부터 '좋데나'로 제안했으나 금방 묻혔고, 마지막 시도 직전, 제작진이 (좋)(ㄷ?)(?)까지 맞은 상황에서는 이정수의 '좋더니' 의견을 따라가는 바람에 결국 마지막 글자에서만 4연속으로 막힌 게 패인으로 되었다. == 드라마 산 너머 남촌에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산 너머 남촌에는(드라마))] [[분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