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1 Santa Barbara}}}'''[br]'''산타 바바라'''}}} || ||<-3> [[파일:산타바바라 시기.svg|width=100%]] || [[파일:산타바바라 시장.png|width=120]] || ||<-3> {{{#fff '''시기(市旗)'''}}} || {{{#fff '''시장(市章)'''}}}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anta Barbara CA, 너비=100%, 높이=224px)]}}} || ||<-2> '''{{{#fff 시청 소재지}}}''' ||<-2>735 Anacapa St, Santa Barbara, CA 93101|| ||<-2> '''{{{#fff 국가}}}''' ||<-2>[[미국]]|| ||<-2> '''{{{#fff 주}}}''' ||<-2>[[캘리포니아]]|| ||<-2> '''{{{#fff 카운티}}}''' ||<-2>산타바바라 카운티|| ||<-2> '''{{{#fff 면적}}}''' ||<-2>108.8㎢|| ||<-2> '''{{{#fff 인구}}}''' ||<-2>91,364명^^(2021년)^^|| ||<-2> '''{{{#fff 광역권 인구}}}''' ||<-2>446,475명^^(2021년)^^|| ||<-2> '''{{{#fff 인구밀도}}}''' ||<-2>811.21명/㎢|| ||<-2> '''{{{#fff 시간대}}}''' ||<-2>UTC-8 ([[서머타임]] 준수)|| ||<-2> '''{{{#fff 한국과 시차}}}''' ||<-2>-17시간(UTC -08:00)[br]-16시간(UTC -07:00)[br]^^([[서머타임]] 적용 시)^^|| ||<-2> {{{#fff '''시장'''}}} || [include(틀:무소속)] ||랜디 로스 || ||<-2> '''{{{#fff 지역번호}}}''' ||<-2>805|| ||<-2> '''{{{#fff 링크}}}''' ||<-2>[[https://santabarbaraca.go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santa_barbara1__large.jpg|width=100%]]}}} || || '''{{{#fff 산타바바라 전경}}}'''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Old Mission Santa Barbara.jpg|width=100%]]}}} || || '''{{{#fff 미션 산타바바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남서부에 있는 도시로, 산타바바라 카운티(Santa Barbara County)의 군청 소재지이다. 미국식 캘리포니아 영어로는 "새나 발바라"[* 더 정확히는 새나h- 발r바롸에 가깝다]라고 발음된다. == 상세 == 산타 바바라는 같은 철자의 [[스페인어]] '산타 바르바라'에서 따온 것으로, 영어로는 세인트 바버라(Saint Barbara)에 해당한다. [[대포]]와 [[폭발]]의 [[수호성인]]인 성 바르바라를 의미하는 이름인데, 무려 초기 [[가톨릭]] 14성인 중 하나로 들어가는 이 성인은 3세기경 [[소아시아]]의 니코메디아 출신 [[동정녀]] [[순교자]]로 자세히는 본래 [[벼락]]과 [[불]]의 수호성인이었다가 이후 [[화약]]무기가 발달하면서 폭발, [[화약]], 그리고 그 폭발이 언제나 삶의 일부인 [[포병]], [[공병]], 건축가, 화기 제작자들과 [[광부]], [[소방관]]들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서방 기독교권 국가들의 육군 포병부대들은 12월 4일 성 바르바라 축일이 비공식 휴일이거나 기념 행사를 치루는 날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 서해안에서 가장 긴 구간인 해안선의 남쪽에 위치한 이 도시는 급격하게 치솟아 오르는 샌타이네즈 산맥 자락과 태평양이 평행하는 곳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산타바바라의 기후는 종종 지중해로 묘사되며 별칭이 "미국의 리비에라"[* [[이탈리아]]와 [[프랑스]]에 걸친 지중해 연안 지역]로 평가받는다. [[캘리포니아]], 아니 미국 내에서도 연중 날씨가 끝내주기로 이름난 곳으로 2018년 US News & 월드 리포트에서 가장 좋은 날씨를 가진 도시로 1위를 차지했다. 쾨펜의 기후 구분 상으로는 [[지중해성 기후]]이고, 위도로는 [[로스엔젤레스]], 샌버나디노 등과 같지만, 산타바바라 앞 해안을 흐르는 한류와 해안선이 편서풍과 평행하기 때문에 온도가 조절되어 내륙지역에 비해 여름에는 더 시원하고 겨울에는 더 따뜻하다. 따라서 같은 [[지중해성 기후]]라도 Csa(더운여름 지중해성 기후)가 아닌 Csb(따뜻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로 분류된다. 지역은 카핀테리아, 골레타와 동서로 이어지는 도시권역을 이룬다. 인근에 아일라 비스타, 호프 랜치, 미시온 캐년, 몬테시토, 서머랜드를 합한 인구가 약 22만 명이고 카운티 전체 인구는 44만 명이다.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_산타바바라.jpg|width=100%]]}}} || ||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캠퍼스|{{{#fff UC 산타바바라}}}]] || 인기있는 관광 및 휴양지임으로 관광업이 주 수입원이나 이외에도 도시 경제에는 교육, 기술산업, 의료, 금융, 농업, 제조 및 지방정부기관이 주요하다. 2004년 서비스 부문은 지역 고용의 35%를 차지했다. 남쪽해안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캠퍼스|UC 산타바버라]], 산타바바라 시립대학, 웨스트먼트 대학, 안티오크 대학교가 분포한다. 어학연수시 미국 서부에서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샌디애고와 함께 고려되는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산타바바라 자연사 박물관_(1).jpg|width=100%]]}}} || || {{{#fff 산타바바라 자연사 박물관}}} || 골레타에는 산타바바라 공항이 있고 [[암트랙]]과 고속도로(U.S. Highway 101)를 이용하면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로 이동할 수 있다. 샌타이네즈 산맥 너머 로스 파드레스 국립공원(Los Padres National Forest)이 있는데, 황무지 지대로 다채로운 풍경을 볼 수 있다. 채널아일랜드 국립공원과 채널아일랜드 국립해양보호구역은 근해에서 약 32km 떨어져 있다. == 여담 == * [[랜치 드레싱]]을 개발한 곳으로도 유명한데, 1954년에 스티브 헨슨(Steve Henson, 1918~2007)이 이 곳의 관광 목장인 히든 밸리 랜치에서 손님 접대용으로 개발했기 때문이다. * 너티독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에서 등장한다 [[분류:미국의 도시]][[분류:캘리포니아 주]][[분류:미국 내 스페인계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