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타임스 선정 전후 위대한 영국작가)] ||<-2> '''{{{+1 살만 루슈디}}}[br]سلمان رشدی | Salman Rushd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Salman_Rushdie_(44734738071).jpg|width=100%]]}}} || || '''본명''' ||아흐메드 살만 루슈디[br]Ahmed Salman Rushdie|| ||<|2> '''출생''' ||[[1947년]] [[6월 19일]] ([age(1947-06-19)]세)|| ||[[영국령 인도 제국]] [[마하라슈트라|마하라슈트라주]] [[뭄바이|봄베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016~)^^|| || '''직업''' ||[[소설가]], [[수필가]], [[배우]]|| || '''장르''' ||[[마술적 사실주의]], [[풍자]], [[탈식민주의]]|| || '''주제''' ||[[역사비평]], 여행문학|| ||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s-5.1.8|킹스 컬리지]] {{{-2 ([[역사학]] / [[학사]])}}}|| || '''배우자''' ||클라리사 루아르 ^^(1976년 ~ 1987년, 이혼)^^[br]마리엔 위긴스 ^^(1988년 ~ 1993년, 이혼)^^[br]엘리자베스 웨스트 ^^(1997년 ~ 2004년, 이혼)^^[br]파드마 락슈미 ^^(2004년 ~ 2007년, 이혼)^^|| || '''자녀''' ||아들 2명|| || '''종교''' ||[[이슬람]] → [[무종교]]([[무신론]])[* 자신을 '강경한 무신론자'라고 한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813049900009|#]]]|| || '''서명''' ||[[파일:살만 루슈디 서명.sv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살만 루슈디는 [[영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배우다. [[악마의 시]]가 대표 저서다. == 생애 == [[인도]]의 [[뭄바이]]의 부유한 [[카슈미르인]] [[무슬림]] 가정에서 태어났다. 14세 때 [[영국]]으로 유학을 떠난 루슈디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하고, 광고 회사에 취직하여 카피라이터로 생활했다. 그러던 중에 그가 그때까지 발표했던 소설들 중 하나인 《한밤의 아이들》이 영국의 권위있는 문학상인 [[부커상]]을 수상하면서 전업 작가로 전향했고, 1988년에는 그의 최대 문제작인 《[[악마의 시]]》를 발표해서, 전세계 [[무슬림]] 커뮤니티 내에 뜨거운 논란을 일으켰다. 결혼을 4번 했지만 모두 이혼했다. 자녀로는 아들 2명이 있으며 장남은 결혼했다. 미국에 정착한 이후에는 친민주당 성향의 발언을 해왔던 편이다. 이를 테면 미국에서 거주하는 와중에 2003년 [[이라크 전쟁]] 관련해서 비판의 목소리를 낸 적이 있었으며, 미국 대선 때마다 [[버락 오바마]], [[힐러리 클린턴]] 등 민주당 측 인사들을 주로 지지해왔다. === 피습 사건 === [youtube(rvhm4BPODhE)] 2022년 8월 12일. 뉴욕에서 강연을 앞두고 흉기를 든 괴한의 습격을 받았다. [[https://www.bbc.com/news/world-us-canada-62524922|#]] 이전에 [[악마의 시]]로 이슬람과 반목한 과거가 원인인지 아직 확실한 정황은 나오지 않았다. 팔 신경이 절단되고 간이 흉기에 찔려 손상된 상태라고 말했다. 또 한 쪽 눈을 잃을 것 같다고 전했다. 어느덧 70세를 넘긴 그의 나이를 감안하면, 그 정도의 중상을 입고도 살아난 것은 기적이다. 현재는 인공호흡기를 떼고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호전되었다. [[악마의 시]]로 위협에 시달리고 살아서 불과 2주 전에 '이제서야 보통의 삶을 살 수 있다'는 인터뷰를 했다고 한다.[[https://m.yna.co.kr/view/AKR20220814032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피의자는 범행을 저지르고 나서 루슈디의 곁에 있던 면접관에게도 흉기를 휘둘러 다치게 만들었다가 현장에서 경비를 맡던 경찰관들에게 제압당하며 체포되었다. 피의자의 신원은 뉴저지 주 페어뷰에 거주하는 24세의 남성 하디 마타르로 확인됐다. 레바논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마타르는 캘리포니아 주 출신이지만 최근 뉴저지 주로 이사해 버겐카운티 페어뷰에 거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아파 극단주의와 [[이슬람 혁명 수비대|이란 혁명수비대]]에 심정적으로 동조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파트와와 연계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20818022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서방에서는 규탄 성명을 가졌으나, 이란 정부는 침묵하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20813049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이란의 보수언론들은 피습을 환영했으며 이란 핵 협상에 임하는 이란 측 인사인 모하마드 마란디는 이날 트위터에 "이슬람을 향해 증오와 경멸을 끝없이 쏟아낸 작가를 위해선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813_0001978056|#]] 강연 주최 측이 기본적인 안전 강화 권고조차 거절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실제로 강연 참석자들의 가방 검사나 금속탐지기 검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강연장에는 주 경찰관 1명과 카운티 보안관실 소속 경찰관 1명만 배치됐다. 그러다 보니 범인이 범행을 저지르기에 좋은 상황이 된 것이다. [[조앤 롤링]]이 살만 루슈디의 무사를 비는 글을 SNS에 올렸다가 살해 협박을 받자 경찰이 조사에 나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66533?sid=104|#]]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이번 사건이 자신들과 무관하며 "루슈디는 이슬람 뿐 아니라 신성한 종교를 모독했고 종교인들의 분노를 키워 화를 자초했다"며 이번 사건은 루슈디 지지자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4&key=202208151705458908&pos=#return|#]] 이란 정권과 연계된 재단이 영국 작가 살만 루슈디를 흉기로 공격한 범인에게 사의를 표하고 대가로 땅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30221163900111?section=international/all|#]] 피습사건으로 인해 살만 루시디는 한 쪽 눈이 실명되었고 한쪽 손도 제대로 쓸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1545?sid=104|#]] 첫 언론과 인터뷰로 PTSD 휴유증이 심각한다고 한다.[[https://m.yna.co.kr/view/AKR20230207008100072?section=international/all|#]] == 이슬람권에서 유달리 미움 받는 이유 == 같은 인도계 영국인이자 이슬람에서 무신론으로 전향한 [[이븐 와라크]]와도 종종 비교된다. 이븐 와라크는 살만 루슈디와 다르게 대중적 인지도가 낮은 편인데, 루슈디의 경우 인상이 얄팍한 편이라서 혐이슬람 인종차별주의자들과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프로파간다 용으로 이용하거나 욕하기 딱 알맞은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정작 살만 루슈디는 무신론자이기는 했어도 직접 [[이슬람공포증]]을 조장하거나 선동하는 사람은 아니었다. 1999년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살만은 나토의 세르비아 폭격을 적극 지지하였으며,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을 반대했던 바 있다. [[인도 인민당]]과 [[나렌드라 모디]]의 인도 무슬림 차별 및 [[잠무 카슈미르]] 자치권 박탈 관련해서도 소신 발언을 자주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이슬람 근본주의 계에서 공공의 적으로 찍힌데다가 스스로 이슬람을 배교한 무신론자라고 밝힌 인물 입장에서, 솔직히 무슬림들을 편드는 발언을 해봤다 개인적으로 득이 될 것은 없다. 오히려 인도 인민당 편에서 인도 무슬림 박해를 조장하는 발언을 하는 것이 신상에 이로울 테지만, 개인 소신에 따라 용감하게 발언했다 평가할 수 있다.] 정치적, 사회적 발언만 놓고 보면 개념인으로 평가받을 수도 있지만, 문제는 그의 인상과 사생활이었다.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은 살만 루슈디 사진 중 인상이 더러운 사진을 주로 들고 다니며 사람들에게 "살만 루슈디는 사탄의 친구답게 생긴 대로 논다."고 선동하고, 논란 당시 백인우월주의자 및 기독교 근본주의 단체에서도 살만 루슈디의 사진과 분노한 무슬림 군중들의 사진을 대조하여 보여주며 추악한 파키(인도/파키스탄계 이민자들에 대한 혐칭)들의 어리석은 싸움이라고 [[인종차별]]적으로 조소하는 데 이르렀다. 더군다가 루슈디는 사생활이 상당히 복잡했던 데다[* 결혼만 모두 네 번 했는데 배우자 네 명 모두 무슬림이 아니었다.] [[트로피 와이프]]까지 두는 등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배신자 아이콘"으로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살만 루슈디를 옹호하고 보호하는 척 하던 혐이슬람 운동가들도 살만 루슈디의 화끈한 사생활을 두고 '저 인간은 이슬람 율법대로 부인을 네 명까지만 두었는데 [[호메이니]]가 왜 싫어했을까?'라면서 킥킥거렸을 정도였다. 이븐 와라크 같은 경우 외모도 평범하고 사생활 관련하여 특별한 뉴스 거리가 없기 때문에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배신자 아이콘"으로 써먹기에 무리가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반이슬람 단체 중 기독교 근본주의 선교 단체나 인종차별주의 단체들은 이븐 와라크를 잘 언급하지 않는 편이다. == 작품 세계 == 살만 루슈디의 작품들은 [[마술적 사실주의]]에 기반하여, 신화와 종교, 현실이 혼재되는 식으로 전개되는 경향이 크다. 루슈디 본인은 [[마하바라타]]나 [[라마야나]]같은 [[인도]]의 고전들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 바 있다. == 작품 목록 == === 장편 === * 그리머스 ''Grimus'' * 한밤의 아이들 ''Midnight's Children'' * 수치 ''Shame'' * [[악마의 시]] ''The Satanic Verses'' * 무어의 마지막 한숨 ''The Moor's Last Sigh'' * 그녀 발 밑에 대지 ''The Ground Beneath Her Feet'' * 분노 ''Fury'' * 광대 샬리마르 ''Shaelimar The Clown'' * 피렌체의 여마법사 ''The Enchatress of Florence'' * 2년 8개월 28일의 밤 ''Two Years Eight Months and Twenty-Eight Night'' * 골든 하우스 ''Golden House'' * 키호테 ''Quichottee'' [[분류:1947년 출생]][[분류:뭄바이 출신 인물]][[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킹스 컬리지]][[분류:영국 남성 작가]][[분류:영국 남배우]][[분류:인도계 영국인]][[분류:영국으로 귀화한 인물]][[분류:테러 피해자]][[분류:영국의 무종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