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2> {{{#fff '''{{{+2 삼척선}}}''' [br] 三陟線 | Samcheok Line }}} || ||<-2> [[파일:삼척선.png|width=100%]]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31301 || || '''노선명''' || 영동선 삼척선 (嶺東線 三陟線) ||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12.9㎞ || || '''궤간''' || 1435㎜ || || '''역수''' || 4 || || '''기점''' || [[동해역]] || || '''종점''' || [[삼척역]] || || '''급전방식''' || 비전철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 || || '''선로최고속도''' || 삼척~동해:'''70'''km/h [br]{{{-1 {{{#8000bb '''이설 완료 후'''}}}}}}[br]삼척~동해:'''200km/h''' || || '''선로 수''' || [[단선(철도)|1]] || || '''개업일''' || [[1944년]] [[2월 11일]] || || '''운영노선''' || [[바다열차]][br][[화물열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역과 [[삼척시]] 삼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 역사 == 1940년 철암선(현 [[영동선]]) 철암-묵호간 철도가 건설되자 오노다시멘트 삼척공장(현 [[삼표시멘트]][* 2017년 3월에 동양시멘트가 삼표시멘트로 사명이 변경됐다.] 삼척공장)과 철암선을 연결하려는 인입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당시 삼척항 부근에 삼척화력발전소가 운영중이던 시절에는 석탄 수송을 위한 인입선로도 함께 존재하였었다.(일명 삼척화력선)[* 1956년 5월 1일에 준공하여 1990년대 초반까지 운영하였다. 물론 삼척화력발전소는 일찌감치 폐쇄되어서 화력발전소 석탄공급기능은 중단되었지만, 인근의 [[연탄]]공장(...) 원료공급용으로 좀 더 운영했던 것. 연장 1.8km.]당시 일본의 계획은 삼척선을 계속 남쪽으로 연장하여 [[포항역(폐역)|포항역]]까지 연결하려고 하였었으나 전쟁에서 패망한 후 계획은 백지화 되었다.[* 삼척역 이남과 포항역 이북에 당시 건설중이던 교량과 노반의 흔적이 남아있다. 그 노반을 활용한 것 중 하나가 삼척해양레일바이크] 공사는 1939년부터 시작했고, 1944년 2월 11일 북평역(현 동해역) - 삼척간 철도가 개통되어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동해역에서 [[영동선]]과 접속하며, 추암역 북쪽 약 400미터 지점에서 북평화력발전소 인입선이 분기한다. 1991년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2007년부터 관광열차인 강릉 - 삼척간 [[바다열차]]가 1일 3~4왕복 운행중이다. == 개량 == 현재 공사중인 [[동해선]]의 삼척역~[[영덕역]][* 2024년 12월 개통 예정] 구간이 완공, 개통되면 삼척선도 일제강점기 당시의 계획대로 [[동해선]]의 일부로 포함될 예정이다. 그러나 신설된 동해선 구간에 비해 현 삼척선의 선로 상태가 매우 안좋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삼척선 전 구간 개량이 포함됐다. 차후 동해선 본선에 편입될 예정인 동해중부선 (포항~삼척) 구간은 200km/h급, 삼척선 (삼척~동해) 구간은 '''70km/h급''', [[영동선]] (동해~강릉) 구간은 110km/h급,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구간은 250km/h급으로 지어지기 때문에 각 구간의 설계 속도가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삼척~동해~강릉 구간을 200km/h급 이상으로 고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2021년 8월 현재 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조사 결과 터널 높이가 너무 낮아 삼척해변-삼척 구간의 전철화는 이설 없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철화 공사는 현재 삼척해변역까지만 진행 중이다. [[파일:삼척선 증산터널.png]] 이후 비용 문제로 이설을 하는 대신에 노반을 밑으로 파내어 높이를 올리는 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현재 노반 공사가 진행중이다. [[http://naver.me/xOvToclN|네이버 거리뷰]]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등급}}} || {{{#fff 연결선}}} ||<-2> {{{#fff 소재지}}} || || 0.0|| [[동해역|{{{#fff 동 해}}}]] || 東 海 || 113 ||KMBH || § ||[[영동선]][br][[북평선]][br][[묵호항선]] ||<|4> [[강원특별자치도]] ||<|2> [[동해시]] || || 6.4|| [[추암역|{{{#fff 추 암}}}]] || 湫 岩 || 270 ||B || ◑ || || || 7.8|| [[삼척해변역|{{{#fff 삼척해변}}}]] || 三陟海邊 || 299 ||B || ◑ || ||<|2> [[삼척시]] || || 12.9|| [[삼척역|{{{#fff 삼 척}}}]] || 三 陟 || 455 ||H || § ||--[[동해선]]-- || [[분류:삼척선]][[분류:1944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동해시의 철도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