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슨 웰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E9DF25 '상하이에서 온 여인'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2018)]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 ---- ||<-2>
{{{#E9DF25,#dddddd '''{{{+1 상하이에서 온 여인}}}''' (1947)[br]The Lady From Shangha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47 상하이에서 온 여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범죄]], [[드라마]], [[느와르]], [[미스터리]], [[스릴러]] || || '''감독''' ||<|2>[[오슨 웰스]] || || '''제작''' || || '''각본''' ||[[오슨 웰스]], 윌리엄 캐슬, 찰스 레더러, 플레처 마클 || || '''원작''' ||셔우드 킹 - 소설 《만약 내가 깨어나기 전에 죽는다면》 || || '''주연''' ||[[리타 헤이워스]], [[오슨 웰스]], 에버릿 슬로운 || || '''촬영''' ||찰스 라튼 주니어 || || '''편집''' ||바이올러 로런스 || || '''미술''' ||스터지스 칸 || || '''음악''' ||하인즈 레임헬드 || || '''의상''' ||장 루이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머큐리 프로덕션즈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컬럼비아 픽처스]] || ||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47년 12월 2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48년 4월 14일 || || '''화면비''' ||1.50 : 1[* 극 중 [[가변 화면비|한 장면만 화면비가 변하는 장면이 있다]].][br]1.37 : 1 || || '''상영 시간''' ||1시간 27분 || || '''제작비''' ||'''23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슨 웰스]] 감독 및 공동 각본, [[리타 헤이워스]], [[오슨 웰스]] 주연[* 촬영과 개봉 당시 두 사람은 부부사이였다.]의 1947년작 느와르 추리극. == 제작 비화 == 전작 <[[이방인(1946)|이방인]]>(1946)이 흥행하며 영화 감독으로서 숨통을 트이게 된 오슨 웰스는 차기작으로 [[쥘 베른]]의 [[80일간의 세계일주]] 영화화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높아지는 제작비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었다. 이 때문에 웰스는 당시 [[컬럼비아 픽처스]]의 회장 해리 코운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이 무보수로 영화 한편의 각본과 감독을 맡아줄테니 제작 비용을 지원해주지 않겠냐는 제안을 하게 되고[* 이때 통화하면서 자신 앞에 있는 영화사 여직원이 읽고 있던 책을 각색할 원작으로 즉석에서 제시했다고 한다. 웰스 본인은 읽어보지도 않았던 책을.], 해리 코운은 당대의 섹스심벌이자 웰스의 아내 [[리타 헤이워스]]가 동반 출연한다는 조건을 걸어 해당 제안을 수락하게 된다. 그런데 정작 영화가 촬영에 들어가자 웰스는 아내 헤이워스에게 적발이었던 머리를 단발로 자르고 금발로 염색할 것을 주문했다. <[[길다(영화)|길다]]>(1946)에서의 헤이워스 이미지를 원해 웰스의 제안을 수락했던 해리 코운은 이런 웰스의 통수를 때리는 행위에 매우 분노했고, 여기에 웰스가 최초에 내놓은 2시간 반 분량의 1차 편집본 또한 마음에 들지 않아했다. 결국 해리 코운은 재편집과 재촬영을 지시했고, 이 과정에서 원래 훨씬 길었던 마지막 극장에서의 절정 장면도 잘려나가 1시간 반 분량의 판본으로 극장에 개봉하게 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3lW5UKsbP4)]}}}|| || {{{#E9DF25,#dddddd '''▲ 예고편'''}}} || == 줄거리 == > 1940년대. 매력적이고, 냉소적인 언어의 소유자인 선원 마이클 오해러는 [[상하이]]에서 이제 막 [[뉴욕]]에 도착한 엘서를 [[센트럴 파크]]에서 우연히 만나 첫눈에 반한 뒤 강도로부터 구한다. 엘서 또한 돈 때문에 결혼한 남편 아서 배니스터와는 달리 젊은 선원 마이클을 사랑하게 된다. > 미국 최고의 형사 전문 변호사 아서 배니스터가 부인 앨서를 구해준 것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로 [[파나마 운하]]를 거쳐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는 여정에 마이클을 선원으로 채용하면서 세 사람의 오묘한 관계가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리타 헤이워스]] - 엘서 "로절리" 배니스터 역 * [[오슨 웰스]] - 마이클 오해러 역 * 에버릿 슬로운 - 아서 배니스터 역 * 글렌 앤더스 - 조지 그리즈비 역 * 테드 더 코시어 - 시드니 브룸 역 * 어스컨 샌포드 - 판사 역 * 거스 쉴링 - 골디 역 * 칼 프랭크 - 갤러웨이 역 * 루이 메럴 - 제이크 비욘슨 역 * 이블린 엘리스 - 베시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XX, user=X.X)]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lady_from_shanghai, tomato=85, popcorn=84)]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40525, user=7.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lady-from-shanghai,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514, presse=5.0, spectateurs=4.1)]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la-signora-di-shangai, MYMOVIES=3.00, CRITICA=X.XX, PUBBLICO=3.0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0460, user=3.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20990, user=3.9)]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vR6ZW, user=3.9)]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4339, light=83.33)]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707, user=9.0)]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the-lady-from-shanghai-m100007411, user=85)]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include(틀:평가/TMDB, code=3766-the-lady-from-shanghai, user=74)]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die-lady-von-shanghai, user=7.0)]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iMNqzuFACCs,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 Energetic and inventive, The Lady from Shanghai overcomes its script deficiencies with some of Orson Welles' brilliantly conceived set pieces. >---- > '''힘이 넘치며 창의적인 <상하이에서 온 여인>은 오슨 웰스가 탁월하게 구성한 맞춤형 연출들을 통해 각본의 단점들을 극복한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각본 자체는 평범한 누아르로, 개봉 당시엔 반응이 그리 좋지 않았다. 그러나 과장된 근사화면, 의도적으로 좁힌 공간 등 웰스의 시각 연출 덕분에 평가가 점점 좋아져 오늘날 높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거울의 방]]에서 펼쳐지는 절정의 총격 장면은 이 클리셰의 선조이자 완성판으로 불리며, <[[용쟁호투]]>(1973)나 <[[존 윅: 리로드]]>(2017) 등 수많은 영화들이 모방했을 정도로 유명한 명장면이다 웰스의 굳건한 지지자로 유명했던 프랑스의 영화 평론가 [[앙드레 바쟁]]은 본 영화를 두고 '<[[시민 케인]]>(1941)과 <[[위대한 앰버슨가]]>(1942)에 사용한 실험 기법은 포기했지만, 웰스의 영화 중 가장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다. 누아르 구성의 전형과 [[팜 파탈]]을 사용한 작품이지만, 웰스가 직접 연기한 주인공 마이클 오해러는 아일랜드 이민자의 후손으로 미국사회로부터 소외된 인물인데, 할리우드에 입성한 이후 ~~어느 정도는 자업자득이지만~~ [* 웰스는 성격이 대놓고 나빠서 동료들을 까고 다녀 사이가 좋지 못했다.] 영화 감독으로서 외부자 취급을 받아온 자신을 투영한 웰스 특유의 함의가 가득하다.'고 평하기도 했다. == 흥행 == == 기타 == * 컬럼비아 픽처스 배급인데 [[에롤 플린]]의 개인 소장 요트를 주요 소품으로 대여한 덕분에 워너 간판이었던 플린이 술집 밖에 서있는 남자 중 하나로 나왔다. * 헤이워스의 노래는 늘 그렇듯 어니터 엘리스의 목소리를 입힌 것이다. == 관련 문서 ==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관련 문서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오슨 웰스]][[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느와르 영화]][[분류:미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1947년 영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