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오렌지 카운티(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신]][[분류:뉴욕 제츠/은퇴, 이적]][[분류:캐롤라이나 팬서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현역]]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선수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 Darnold SF.webp|width=100%]] }}}|| ||<-2>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No.14''' || ||<-2> '''{{{+2 새뮤얼 리차드 다널드}}}[br]Samuel Richard Darnold''' || ||<|2> '''출생''' ||[[1997년]] [[6월 5일]] ([age(1997-06-05)]세) || ||[[캘리포니아]]주 다나포인트 카피스트라노 비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출신학교''' ||[[USC]] || || '''신체''' ||191cm, 102kg || || '''포지션''' ||[[쿼터백]] || || '''프로입단''' ||2018년 드래프트 1라운드 3순위 [br] [[뉴욕 제츠]] 지명 || || '''소속팀''' ||[[뉴욕 제츠]] (2018~2020) [br][[캐롤라이나 팬서스]] (2021~2022) [br]'''[[샌프란시스코 49ers]] (2023~)''' || || '''계약''' ||2018 ~ 2022 / $49,365,708 || || '''연봉''' ||2021 / $4,774,68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쿼터백이다. [[USC]]출신으로 제츠가 기존 드래프트 됐던 쿼터백들을 다 버리고 1라운드 3순위로 지명할정도로 큰 기대를 모았'''던''' 쿼터백. == 선수 경력 == === [[뉴욕 제츠]] === 그러나 기대치에 전혀 보답을 못하며 팀과 함께 영 좋지않은 시간을 보내고 있자. 2019 시즌엔 쿼터백 레이팅 3.6점....이라는 대기록을 쓰기도 했고 2020 시즌 4주차엔 일명 고스트 댄스로 불리는 혼자서 발을 접질러 공을 놓치는 예능까지 선보였다. 대학교-뉴욕 제츠 선배인 마크 산체스와 똑같은 길을 걷고 있다. 팀 HC 애덤 게이스와 함께 욕 지분을 차지 중. 제츠가 전혀 다놀드를 보호해주지 못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무너지는 팀 수비에 겁을 먹고 플레이가 전체적으로 느려진 것이 약점. 결국 댄스를 춘 4주차 경기에서 어깨에 부상을 입었고 팀은 당분간 [[조 플라코]]를 주전 쿼터백으로 기용하게 되었다. 의외로 국내외에서는 아직 다놀드에게 희망을 가지고 있는 팬들이 있다. 경기당 1번 정도지만 다놀드의 플레이에서 번뜩임이 보이고 있기 때문. 그러나 극성 뉴욕 언론에게 이미 다놀드는 다굴을 당하고 있는 상황이고 제츠가 높은 픽을 차지할 것이 분명한 2021 드래프트에 [[트레버 로렌스]]라는 걸출한 쿼터백도 있으므로 다놀드에게는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플레이콜링을 하고 있는 것이 리그 최악의 헤드코치인 애덤 게이스라 탈 게이스하고 한 번 더 지켜보자는 말이 있을 정도. [[라이언 태너힐]] 역시 탈 게이스하고 터졌으니 일리는 있다. 본인도 주전을 뺏기기는 싫었는지, 2승을 하며 팀의 픽 순위는 2위로 낮아졌다. 그러나 2020시즌 퍼포먼스는 냉정히 [[카슨 웬츠]]와 쌍벽을 이루는 최악이라, 내년에도 제츠에 남아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결국 2021년 4월 5일, [[캐롤라이나 팬서스]]로 트레이드 됐다. 그 대가는 2021년 6라운드픽, 그리고 2022년 2라운드픽과 4라운드픽. ~~얼마나 떨어졌으면 전체 3순위가 1픽 하나도 못받냐~~제츠는 아마도 이번 시즌 새 쿼터백을 드래프트 할 모양이다.[* 유력한 후보는 [[트레버 로렌스]] 다음 간다는 평을 받는 작 윌슨(Zach Wilson). 참고로 오는 2021 드래프트는 역대 최초로 전체 1,2,3,4위가 모두 쿼터백이 지명될 거라는 전망이 많다. 결국 제츠는 2021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2순위로 작 윌슨을 뽑았다.] 안 뽑으면 [[시카고 베어스|베어스와]][[미첼 트루비스키| 트루비스키]] 급의 트롤픽이 될 것이다. 팬서스도 기존 주전이 [[테디 브리지워터]]로 나쁘진 않지만 어중간해서 QB 보강이 필요했는데, 드래프트 당시의 다놀드의 포텐을 믿고 복권을 긁은 모양이다. === [[캐롤라이나 팬서스]] === 정규시즌 1주차부터 친정팀 [[뉴욕 제츠]]를 상대하게 되었다. 본인도 애덤 게이스를 벗어나 좋은 코칭을 받고 본인을 내친 친정팀에게 설욕할 수 있을 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9월 12일, 2쿼터 때 레드존 4&1 고포잇 공격에서 볼 캐리어 역할도 못하고 펌블(...)을 저지르며 불안감을 불러일으켰으나, 이윽고 패싱TD 1개와 페이크를 걸며 직접 러싱TD까지 기록했고, 맥카프리와 함께 활약하며 친정팀에게 설욕하는 데 성공했다. 스탯도 그럭저럭 찍으며 패서레이팅 101.96을 찍었다. 2주차 경기는 지구 라이벌 [[뉴올리언스 세인츠]]를 폭격하며[* 하지만 [[제이미스 윈스턴]]이 스스로 무너진 탓도 있다.] 제츠때와는 달라진 모습을 선보였다. 이쯤되면 제츠의 코칭스태프들은 여태까지 무얼했나 싶을 정도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겨야 할 것 같다. 3주차 목요일 프라임타임 경기에서 [[휴스턴 텍산스]]를 상대로 터치다운 3개(러싱 2개)를 기록하면서 팀을 24:9 승리로 이끌었다. 상대팀 중 두 팀이 리그 최약체로 꼽혔던 텍산스와 제츠임을 감안해도 벌써 3연승이다. 사람들은 이제 '''‘제츠가 문제였다!’'''고 외치는 중.[* 심지어 0-16의 전설 브라운스조차도 메이필드를 데리고 플옵은 갔으니 더 비참하다.] 제츠에서의 마지막 13경기 동안 3승을 거둔 것을 보면 탈제츠는 본인에게 이득임이 확실하다. 탈제츠뿐만 아니라 탈게이스하여 성공한 [[라이언 태너힐]]처럼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애덤 게이스가 재임했을 때의 팀들은 하나같이 암흑기(...)를 찍었고, 게이스가 팀을 떠나자마자 귀신같이 우승하거나(!) 재기에 성공하는 선수들이 생겨났다. --저주의 토템인건가--] 그러나 '''4주차부터 다시 제츠 시절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예 부상으로 공백이 생기자 팬서스는 캠 뉴튼을 다시 데려왔다. 현재 평가는, 이제는 NFL에서 주전 쿼터백으로 그를 영입할 팀은 없다고 봐야한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된 탈 게이스 효과의 대표주자로 여겨지던 [[라이언 태너힐]]이 다시금 돌핀스 시절 평범한 모습을 정규시즌 내내 보여줬고, 플레이오프에서는 기가 막힌 졸전으로 신시내티 벵갈스와의 디비저널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태너힐마저도 [[데릭 헨리]]빨로 실력이 포장된 2류 쿼터백이라는 의견이 많아졌다. 이후 부상도 있고 [[캠 뉴튼]]이 다시 돌아오는 등 이런저런 일이 있었으마 결론적으로 첫 3경기 이후 2승 12패로 제츠 시절보다 나아졌다고 할 수가 없다.~~[[USC|대학]] 때 다널드는 [[캘리포니아]]에 있나보다~~ 다놀드를 데려올 때 2,4라운드 드래프트 픽을 제츠에 줬기 때문에 팬서스는 2,3,4라운드 드래프트 픽이 증발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2021 시즌 다놀드는 Catchable pass 비율 무려 87%를 기록해 200회 이상 패스를 던진 쿼터백들 중 무려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을 냈다.[* 1위는 [[조 버로우]]. [[https://www.sisdatahub.com/leaderboards/QB|링크]]] 물론 해당 기록은 타겟이 된 리시버 옆에 상대팀 수비수 몇 명이 들러붙어 있든지, 패싱 타겟이 된 리시버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 더 좋은 스팟의 리시버를 놓쳤는지는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와이드 리시버한테 공이 정확하게 날아갔는지만 보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지만 말이다. 2022 시즌에는 부상도 있기도 해서 12주차부터야 다시 선발로 나섰다. 이 때부터 무난한 활약을 펼치며 부진한 드래프트 동기 [[베이커 메이필드]]는 방출되었고, 시즌 말까지 팬서스의 주전으로 나섰다. 2022시즌에는 적은 출전 경기에서 그래도 기대치보다는 잘 했지만 팬서스가 과연 다놀드를 계속 데려갈 지는 의문이다.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 2023년 3월 17일,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로 이적했다. == 연도별 기록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10><:>'''{{{#ffffff 패싱}}}'''||<-4><:>'''{{{#ffffff 러싱}}}'''|| ||<:> '''{{{#ffffff 시도}}}'''||<:>'''{{{#ffffff 성공}}}'''||<:>'''{{{#ffffff 성공률}}}'''||<:> '''{{{#ffffff 야드}}}'''||<:> '''{{{#ffffff 평균[BR]야드}}}'''||<:> '''{{{#ffffff 터치[BR]다운}}}'''||<:> '''{{{#ffffff 인터[BR]셉트}}}'''||<:> '''{{{#ffffff 색}}}'''||<:> '''{{{#ffffff 색야드}}}'''||<:> '''{{{#ffffff 레이트}}}'''||<:> '''{{{#ffffff 시도}}}'''||<:>'''{{{#ffffff 야드}}}'''||<:> '''{{{#ffffff 평균[BR]야드}}}'''||<:> '''{{{#ffffff 터치[BR]다운}}}'''|| || 2018 ||<|3> [[뉴욕 제츠|NYJ]] || 13 || 414 || 239 || 57.7 || 2865 || 6.9 || 17 || 15 || 30 || 204 || 77.6 || 44 || 138 || 3.1 || 1 || || 2019 || 13 || 441 || 273 || 61.9 || 3024 || 6.9 || 19 || 13 || 33 || 212 || 84.3 || 33 || 62 || 1.9 || 2 || || 2020 || 12 || 364 || 217 || 59.6 || 2208 || 6.1 || 9 || 11 || 35 || 234 || 72.7 || 37 || 217 || 5.9 || 2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10> '''{{{#ffffff 패싱}}}''' ||<-4> '''{{{#ffffff 러싱}}}''' || || '''{{{#ffffff 시도}}}''' || '''{{{#ffffff 성공}}}''' || '''{{{#ffffff 성공률}}}'''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ffffff 인터[br]셉트}}}''' || '''{{{#ffffff 색}}}''' || '''{{{#ffffff 색야드}}}''' || '''{{{#ffffff 레이트}}}''' || '''{{{#ffffff 시도}}}'''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 2021 ||<|1> [[캐롤라이나 팬서스|CAR]] || 12 || 406 || 243 || 59.9 || 2527 || 6.2 || 9 || 13 || 35 || 204 || 71.9 || 48 || 222 || 4.6 || 5 || |||| [[NFL]] 통산 [br] (5시즌) || 50 || 1625 || 972 || 59.8 || 10624 || 6.5 || 54 || 52 || 133 || 854 || 76.9 || 162 || 639 || 3.9 || 10 || == 관련 문서 == * [[미식축구 관련 인물]] * [[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