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003764>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include(틀:역대 충남대학교 총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교육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8대 문교부 장관}}}]][br]{{{#fff {{{+1 서명원}}}[br]徐明源 | Suhr Myong-w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명원(1919).jpg|width=100%]]}}} || ||<|2> '''출생''' ||[[1919년]] [[10월 27일]] || ||[[충청남도]] [[논산시|논산군]] || ||<|2> '''사망''' ||[[2006년]] [[4월 14일]] (향년 86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 || '''본관''' ||[[대구 서씨]][* 전첨공 경수(景需)파 28세 원(源) 항렬.] || || '''호''' ||우보(牛步), 화곡(華谷) || ||<|2> '''재임기간''' ||제28대 문교부 장관|| ||[[1987년]] [[7월 14일]] ~ [[1988년]] [[2월 24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서울대학교]] {{{-2 ([[심리학]] / [[학사]])}}}[br]조지 피바디 대학 대학원 {{{-2 ([[심리학]] / [[석사]])}}}[br]조지 피바디 대학 대학원 {{{-2 ([[교육학]] / [[박사]])}}} ||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br][[서울대학교]] 부총장[br][[문교부]] 사무차관[br][[숙명여자대학교]] 총장[br][[충남대학교]] 총장[br][[경원대학교]] 총장[br]제28대 [[문교부 장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인, 관료. 독립유공자 [[서영원]]은 그의 사촌 동생이며[* 서영원의 아버지 서찬석(徐灒錫, 1893. 11. 29 ~ 1979. 11. 21)은 본래 서명원의 숙부이나 6촌 재종조부(再從祖父) [[서재창]]에 입양되었으므로, 서영원은 서명원에게 족보상으로 8촌 삼종제(三從弟)가 된다.], 독립유공자 [[서재필]]과 [[서재창]] 형제는 그의 6촌 당숙할아버지(재종조부/再從祖父)들이다. == 생애 == 1919년 10월 27일 충청남도 논산군(현 논산시)에서 아버지 서해석(徐海錫, 1897. 12. 8 ~ 1969. 3. 20)과 어머니 [[문화 류씨]](1896 ~ 1976. 3. 2) 류호열(柳浩烈)의 딸 사이의 4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5년 10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 입학했다가 이듬해인 1946년 8월 경성제국대학이 폐교되고 서울대학교가 개교되자, [[서울대학교]]의 [[심리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1948년 9월부터 1949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원으로 근무하다가, [[http://www.nas.go.kr/member/work/work.jsp?s_type=&s_value=&member_key=10000165|사직하라는 명을 받았다]]. 그 직후 [[미군정청]]에서 실시한 유학생 선발시험에 합격하여 [[미국]] [[테네시 주]] [[내슈빌]]에 있는 조지 피바디 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 과정에 입학하여, 1950년 6월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석사 과정 후에는 교수진이 월등히 좋은 [[교육학과]]로 전공을 변경하여 1953년 8월에는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1954년 9월부터 1956년 4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서리를 역임하다가 1957년 7월 모교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에 부임하여 1973년 4월까지 재직했다. 그 사이 1960년 8월부터 1961년 5월까지 [[문교부]] 사무차관[* 특이하게도 재직 당시에 정무차관이 따로 있었는데, [[윤택중]]이 역임하고 있었다.[[https://theme.archives.go.kr//next/organ/viewDetailInfo.do?code=OG0017159&isProvince=&mapInfo=mapno1|#]]], 1962년 7월부터 1966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교무처장을 역임했다. 1967년 9월부터 1968년 8월까지는 미국 웨스트 체스터 대학교에 교환교수로 다녀왔고, 1971년 3월부터 1973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을 겸직했다. 1973년 4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직을 사직하고 서울대학교 부총장으로 영전하여 1977년 2월까지 역임했고, 이 사이 1976년 12월 [[박정희]]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 1977년 3월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에 부임했으나 3주 만에 [[충남대학교]] 총장에 임명되어 1985년 2월까지 두 대에 걸쳐 총장직을 수행했다. 그 사이 1981년 8월 12일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 제1분과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며, 1985년 2월에는 [[전두환]]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1985년 3월부터 1987년 7월까지는 [[전두환]]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심의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1987년 7월부터 1988년 2월까지 제28대 [[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임기가 끝난 뒤에는 1988년 9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단국대학교/대학원|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우교수를 역임했고, 1989년부터 1998년까지 덕성학원 이사를 역임했다. 1992년 1월부터 1993년 1월까지 1년 간 [[경원대학교]] 총장을 역임했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21세기 유네스코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단국학원 이사를 역임했다. 1990년부터는 단국학원 장학회 이사 및 [[민족문화추진회]] 이사를 지냈다. 2006년 4월 14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include(틀:역대 충남대학교 총장)] [[분류:논산시 출신 인물]] [[분류:대구 서씨]][[분류:1919년 출생]] [[분류:2006년 사망]] [[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문교부 차관]][[분류:문교부 장관]][[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충남대학교 총장]][[분류:숙명여자대학교 총장]][[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이화여자대학교 재직]][[분류:숙명여자대학교 재직]][[분류:충남대학교 재직]][[분류:국민훈장 모란장]][[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단국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