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캐나다의 주)] ||<-6> {{{+1 {{{#000 '''서스캐처원주'''}}}}}} [br]{{{#000 ''' Saskatchewan '''}}} || ||<-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Saskatchewan.svg.png|width=100%]]||<-3>[[파일:653px-Coat_of_Arms_of_Saskatchewan.svg.png|width=100%]]|| ||<-3> {{{#000 '''주기'''}}} ||<-3> {{{#000 '''문장'''}}} || ||<-6> [include(틀:지도, 장소=서스캐처원 주, 너비=100%, 높이=100%))] || ||<-6> {{{#fff '''상징'''}}} || ||<-2> {{{#fff '''표어'''}}} ||<-4>Multis e Gentibus Vires[br]([[라틴어]]: 많은 사람들로부터의 힘)|| ||<-2> {{{#fff '''주조(州鳥)'''}}} ||<-4>[[가는꽁지뇌조]]|| ||<-2> {{{#fff '''주목(州木)'''}}} ||<-4>[[자작나무]]|| ||<-2> {{{#fff '''주화(州花)'''}}} ||<-4>Western Red Rily|| ||<-6> {{{#fff '''행정'''}}} || ||<-2> {{{#fff '''국가'''}}} ||<-4>[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2> {{{#fff '''지역'''}}} ||<-4>서부|| ||<-2> {{{#fff '''시간대'''}}} ||<-4>중부 UTC-06(연중, 모든 지역)[br]산악 UTC-07(동계, 일부 지역)|| ||<-2> {{{#fff '''공용어'''}}} ||<-4>[[영어]](사실상)|| ||<-2> {{{#fff '''주도'''}}} ||<-4>[[리자이나]]|| ||<-2> {{{#fff '''최대도시'''}}} ||<-4>[[새스커툰]]|| ||<-6> {{{#fff '''인문 환경'''}}} || ||<-2> {{{#fff '''면적'''}}} ||<-4>651,900km² || ||<-2> {{{#fff '''인구'''}}} ||<-4>1,194,800명 (2022) || ||<-2> {{{#fff '''인구밀도'''}}} ||<-4>1.83명/㎢|| ||<-2> {{{#fff '''종교'''}}} ||<-4>[[기독교]] (56.3%)[br][[무종교]] (36.6%)[br][[이슬람|이슬람교]] (2.3%)[br][[애니미즘]] (1.5%)[br][[힌두교]] (1.3%)[br][[시크교]] (0.8%)[br][[불교]] (0.4%)[br][[유대교]] (0.1%)[br]기타 (0.7%)|| ||<-6> {{{#fff '''역사'''}}} || ||<-2> {{{#fff '''캐나다 자치령 가입'''}}} ||<-4>[[1905년]] [[9월 1일]] (8번째) || ||<-6> {{{#fff '''정치'''}}} || ||<-2> {{{#fff '''부총독'''}}} ||<-4>윌리엄 몰로이(William Molloy)[* Lieutenant Governor. 캐나다 총독(Governor of Canada)이 임명하므로 'Lieutenant'가 들어간다. 명목상 주를 대표하는 직책이지만 실권은 없다.] || ||<-2> {{{#fff '''주 총리'''}}} ||<-2>스콧 모[br](Scott Moe) ||<-2> [[서스캐처원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941; font-size: .8em" {{{#fff '''서스캐처원당'''}}}}}}]] || ||<|3> {{{#fff '''주의회'''}}} || {{{#fff '''여당'''}}} ||<-2>48석 ||<-2> [[서스캐처원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941; font-size: .8em" {{{#fff '''서스캐처원당'''}}}}}}]] || ||<|2> {{{#fff '''야당'''}}} ||<-2>12석 ||<-2> [[서스캐처원 신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47216; font-size: .8em" {{{#fff '''Sask. NDP'''}}}}}}]] || ||<-2>1석||<-2> [[무소속|{{{#!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fff '''무소속'''}}}}}}]] || ||<-2> {{{#fff '''연방 하원'''}}} ||<-2>14석 ||<-2> [[캐나다 보수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a4782; font-size: .8em" {{{#fff '''보수당'''}}}}}}]] || ||<|3><-2> {{{#fff '''연방 상원'''}}} ||<-2>3석 ||<-2> [[캐나다 보수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a4782; font-size: .8em" {{{#fff '''보수당'''}}}}}}]] || ||<-2>2석||<-2> [[무소속 그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fff '''무소속 그룹'''}}}}}}]] || ||<-2>1석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8em" {{{#fff '''진보 상원 그룹'''}}}}}} || ||<-6> {{{#fff '''ISO 3166'''}}} || ||<-2> {{{#fff '''약자'''}}} ||<-4>SK, CA-SK|| ||<-2> {{{#fff '''지역번호'''}}} ||<-4>1-306, 1-639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 서부에 있는 주. 동서로 [[앨버타]]와 [[매니토바]]에 이웃하고 있다. 주의 이름이 꽤나 독특한데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들 중 하나인 [[크리어]]로 된 강 이름이다. 정확한 크리어 발음은 키'''시스카치와니'''시피(ki'''siskāciwani'''sīpiy)로 빠르게 흐르는 강이란 뜻이다. 참고로 이 주의 크리어 사용자는 인구의 2% 정도인데, 사용자가 줄어들기는 커녕, 오히려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이는 캐나다 중 북부 지역의 인구 구성 때문이다. 면적은 651,900km²로 [[아프가니스탄]]과 비슷한 크기이며, [[대한민국|남한]]의 6.5배 정도의 큰 주이다. 하지만 인구는 겨우 110만 조금 넘어 [[수원시]] 인구와 비슷한 수준. 당장 가장 큰 도시인 [[새스커툰]]도 광역권 인구까지 긁어 모아야 30만을 겨우 넘으며 주도인 리자이나는 광역권까지 포함해도 25만밖에 되지 않는 상황이다. == 역사 == [[영국]]의 진출 이후 이곳은 루퍼츠랜드라 하여 [[기업국가#s-4.2|허드슨 베이 컴퍼니]](Hudson's Bay Company)[* 현재도 업종을 소매업으로 바꿔 존속하고 있다. [[http://www.hbcheritage.ca/things/artifacts/the-royal-charter|공식 홈페이지 설명]]]의 사유지였다. 이들은 [[영국 국왕]]으로부터 칙허장을 받아 지역을 탐험하고 발견한 땅들을 모두 자기네 땅으로 삼았다. 물론 전역에 행정력이 미친 것은 아니었다. 캐나다 자치령 창설 이후 [[캐나다]]는 루퍼츠랜드를 30만 파운드에 매입하고는 이 땅에 [[노스웨스트]] 준주를 설립했고, 동시에 이주민들이 [[온타리오]] 등을 벗어나 이곳으로 밀려들었다. 인구가 증가하자 1905년에 [[노스웨스트 준주]] 북위 60도 남쪽, 서위 110도 동쪽과 서위 102도 서쪽[* 나중에 [[매니토바]] 주와의 영역 조정으로 현재는 이 선과 서스캐처원-매니토바 주경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사이의 지역을 분리해 서스캐처원 주가 세워졌다. 그래서 위도와 경도에 따라 아주 깔끔하게 잘라놓은 모양새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경선 사이 거리가 줄어드는 연유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이 와중에 측량오류가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경도선 사이 간격변화가 없을 [[메르카토르 도법]]지도 상에서도 사다리꼴로 보이는 것. 그리고 자세히 보면 이 부분이 직선이 아니고 계단식으로 경계선이 그어져있다. [[앨버타]]와 동시에 캐나다 자치령에 가입했는데 서스캐처원이 먼저 가입된 것으로 처리되어 캐나다 자치령에 8번째로 가입한 주가 되었다. == 지리 == 북쪽은 [[타이가]]로 덮여 있고 남쪽은 [[초원]]이 존재한다. 기후는 서[[시베리아]]나 [[개마고원]]과 비슷한 기후를 띄고 있으며, 북부 지방에선 영하 60도 가까이 떨어지기도 한다. 연강수량도 300~400mm 정도에 불과해서 제법 건조하다. 강우량은 5~9월에 가장 많아 하술할 곡물 및 유채 재배에 적합한 조건이 형성된다. == 인구 == 인구는 110만명이 조금 넘는 수준으로 [[매니토바]]보다도 적고 [[앨버타]]의 반이 채 안 된다. 가장 큰 도시인 [[새스커툰]]도 인구 약 30만에 불과한 도시이며, 주도 [[리자이나]]도 비슷하다. 새스커툰이 북서쪽에 위치하고 리자이나는 남동쪽에 위치한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앨버타]]나 [[서스캐처원]]이나 인구가 거기서 거기였지만 [[유전#s-1.2|유전 개발]]이나 [[석유]] 탐사 등을 계기로 앨버타의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반면 1960년대부터 서스캐처원은 인구가 전혀 늘고 있지 않는 연유로 현재는 이웃 주 앨버타에 적은 상황이다. [[매니토바]]도 60년대까지도 서스캐처원보다 인구가 적었지만 역전되었다. 그래도 미국의 [[노스다코타]]보다는 인구가 많다. 캐나다 전체에서 [[독일계 캐나다인]]의 비중이 가장 높은 주이다. 이곳의 독일계 캐나다인은 주로 [[독일계 러시아인]] 출신이며, 서스캐처원에 정착해 농사를 지으며 살아갔다. 이러한 연유로 서스캐처원은 캐나다에서 [[루터교]]인 비중이 5% 정도로 가장 높은 지역이다. 그 외에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에서 온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들이 주로 여기에 정착해서 매니토바와 함께 우크라이나계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한다. 어원을 유추해보면 알 수 있듯이 [[아메리카 원주민|원주민]]도 꽤 많이 거주하는 편이다. 인구의 약 10%가 원주민이다. 참고로 [[서스캐처원 연쇄 흉기난동 사건]] 피해자도 원주민이었다. == 경제 == 전통적으로 서스캐처원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었다. 서스캐처원은 [[캐나다]] 최대의 [[곡창지대]]이다. [[밀]]의 생산이 많은 주이며, 그 생산량이 캐나다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보리]], [[옥수수]], [[호밀]], [[콩]], [[카놀라유|유채]], [[겨자|겨자씨]], [[감자]], [[해바라기씨]] 등을 생산하기도 한다. 주의 남부는 [[축산업|목축]]이 이루어지며, [[쇠고기|육우]]를 사육한다. 현재 서스캐처원 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프레리]] 일대의 농업이 쇠퇴해서가 아니라 농업 이외의 부문이 새로 출현하거나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석유와 광물채굴 등으로 발생하는 광업부문이 비중이 급격히 상승했고, [[캐나다/경제|캐나다 경제]]의 전반적인 특징이 서비스 산업 위주로 재편된 것 또한 영향을 받아 똑같이 반영되어 있다. [[광업]]도 흥성하여, 세계 최대의 [[우라늄]] 생산 지역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라늄이 국제적으로 수요가 계속 증가 추세에 있는 인기 자원은 아닌지라 미묘하다. 주 북부에는 아예 우라늄 채굴이 쇠퇴하면서 촌락 단위로 통째로 버려진 폐광촌이 있을 정도이다.] 주 남부에는 [[석유]],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어서 [[트랜스 캐나다 하이웨이]]를 타고 운전하다 보면 [[프레리|대평원]] 너머로 석유, 천연가스를 추출하고 있는 시추기들을 많이 볼수 있다. 이렇게 뽑아낸 석유, 천연가스들을 정제하는 시설도 당연히 있어서 CO-OP 사의 정유시설이 [[리자이나]]에서 가동 중에 있다. 그래서인지 [[앨버타]]와 함께 가장 경제 성장률이 높은 주 중 하나였다. 지역 1인당 GDP 역시 높은 편이다. 주 인구는 [[노바스코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브런즈윅]] 등 [[대서양]] 연해지역들을 제외하면 전국 최하위 수준의 규모와 밀도를 지닌 지역에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천연자원이 있다보니 평균을 내면 소득이 높게 나온다. 실제로는 서스캐처원의 최저시급은 캐나다 대서양 지역의 [[뉴브런즈윅]]보다도 낮은 '''전국 최하위'''인 $13.00로 책정되어 있는데다 구직시장 규모와 업종 분야도 워낙 제한적이라 현실적으론 고소득 주로 간주되지 않는다.[* [[온타리오]],[[퀘벡]], [[브리티시컬럼비아]]가 주 평균 소득은 서스캐처원보다 더 낮게 잡히지만 실제 취업시장 규모와 직종 다양성 면에서 서스캐처원을 압도하고 고소득 직장이 더 많다. 일단 온타리오, 퀘벡, 브리티시 컬럼비아에는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와 같은 캐나다를 대표하는 대도시가 있다. 인구 면에서도 온타리오가 1400만, 퀘벡이 810만, 브리티시컬럼비아가 490만으로 세 주의 인구 값을 합치면 전체 인구의 과반을 훨씬 넘어버리는 비율이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가 너무 더딘 편이라서 인접한 [[매니토바]]와 마찬가지로 이민을 매우 적극적으로 받고있는 주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민 정책으로도 간신히 현상 유지 밖에 못하고 있는데, 생활권이 저렴하고 이민 조건이 쉬워도 [[새스커툰]], [[리자이나]] 등은 인구 20만 내외로 작아서, 이 지역에서 [[영주권]]을 발급을 받은 뒤에도 남아 정주하려는 실제 정착 동기부여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영주권]]을 받자마자 타 주로 이사간다는 말이 많아서 이민법을 개정하기 직전까지 마음을 먹었던 이웃 주 [[매니토바]]의 [[위니펙]]은 그래도 유출되는 노동력에 못지않게 정주 인구도 동시에 늘어서 어느덧 인구 80만 명대를 목전에 두고있는 것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최근 들어서는 신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행정부가 출범하자마자 대통령의 직권으로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큰 손해를 보게 되었다.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서스캐처원이 투자를 많이 한 상황인데 갑자기 날아간 셈이다. 그나마 앨버타는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앨버타를 연결하는 트랜스 마운틴 파이프라인 프로잭트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원유(연료)|원유]]를 브리티시컬럼비아 [[밴쿠버]]나 프린스 루퍼트로 수송해서 [[유조선]]에 환적할 수 있지만 서스캐처원산 원유의 경우에는 철도에 탱커로 환적해서 비싼 돈 주고 느리게 수송해야하기 때문이다. == 정치 == [include(틀:서스캐처원 주의회의 원내 구성)] 2천년대까지만 해도 중도~진보적 성향을 띄고 있었으나, 2010년대 이후부턴 보수화되고 있다. 지역정당으로는 [[캐나다 자유당|서스캐처원 자유당]]과 [[서스캐처원 신민당]]이 번갈아가며 집권해오다가, 1997년에 창당한 중도 보수 성향 [[서스캐처원당]]이 부상하면서 2007년부터 집권하고 있다. 자유당의 기세가 꺾인 이후부턴, 원주민들이 많은 준주와 인접한 북부 지역에서는 [[신민주당(캐나다)|신민주당]]이, 남부 지역에선 서스캐처원당이 우세를 점하고 있는 편이다. 194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신민주당의 전신인 협동연방당과 이후 신민주당의 표밭이었다. '마우스랜드' 연설로 유명한 토미 더글러스[* 캐나다에서 존경받는 정치인으로, 배우 [[키퍼 서덜랜드]]의 외할아버지로도 알려져있다.]가 1944년부터 1961년까지 여기서 협동연방당 소속으로 주 총리를 역임하기도 했다. 참고로 토미 더글러스 정부는 [[북미]] 최초의 [[사민주의]] 정부이기도 했다. 오늘날 캐나다의 유명한 정체성 요소 중 하나인 무상의료보험 체계가 바로 서스캐처원의 토미 더글라스 주 정부에 의해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지자체 정책이었다. 알고보면 존재감 대비 캐나다 전체의 역사를 바꾸는데 일조한 지역인 셈. [[파일:Saskatchewan_general_election_2020_-_Results_by_Riding.png]] 2020년 서스캐처원주 지방선거 결과. 주황색이 신민당, 녹색이 서스캐처원당 승리 지역구이다. 신민당 당선 지역구 13개 중 2개는 원주민이 많은 지역구이고, 나머지 11개는 대도시지역인 사스카툰과 리자이나에 위치해 있다. 2010년대 들어서부턴 보수적 색채가 점점 짙어지면서 2015년에는 하원 16석 중 10석을 [[캐나다 보수당]]이 차지하는 성과를 올렸고, 2019년과 2021년 총선에서는 14석을 통째로 보수당이 차지하는 이변도 일으켰다. 이게 향후에도 지속된다면 인접한 [[앨버타]]와 더불어 보수당의 텃밭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주의 인구 자체가 그리 많질 않아서 전체 판세에 큰 영향을 주진 못하고 있다. 사족으로 캐나다 보수당 전 당수였던 [[앤드루 시어]]의 지역구가 [[리자이나|리자이나-콰펠]]이다. 또 1957~1963년 총리를 지낸, 보마크 미사일 논란으로 유명했던 [[존 디펜베이커]] 전 총리가 이 지역을 기반으로 했던 정치인이였다.[* 출생은 [[온타리오]]인데 이주 후 청년기를 서스캐처원에서 보냈기 때문에 사실상 이 지역 사람으로 간주된다. 온타리오 출신이지만 [[앨버타]]에서 정치기반을 다진 [[스티븐 하퍼]]와 비슷한 사례이다.] == 교육 == [include(틀:서스캐처원의 대학)] 4년제 대학으로는 리자이나 대학교와 [[서스캐처원 대학교]]가 있다. == 주요 도시 == [[새스커툰]](Saskatoon): 서스캐처원의 최대 도시. 인구는 도시 자체 약 27만 명. [[리자이나]](Regina): 서스캐처원의 주도. 인구는 자체 약 21만 명. [[분류:서스캐처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