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강동구)] || [[파일:강동02_9714.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동0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강동02번 노선도.svg |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가래여울)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서원마을) || ||<|2> 종점[br]행 || 첫차 || 05:55 ||<|2> 기점[br]행 || 첫차 || 06:27 || || 막차 || 23:20(가래여울) / 23:50(암사역) || 막차 || 23:55 || ||<-2> 평일배차 || 12~20분 ||<-2> 주말배차 || 20~30분[* 토요일 6대 운행][* 기사님 말씀에 의하면, 코로나로 인하여 절반 가량이 감축하고 20분 이상의 배차를 유지 중이라 한다. ] || ||<-2> 운수사명 || [[강동교통]] ||<-2> 인가대수 || 13대(예비 1대) || ||<-2> 노선 ||<-4> 가래여울 - 강동리버스트상가 - 강일리버파크1단지 - 강일리버파크4.5단지 - [[강동공영차고지]] - [[상일동역]] - 고덕그라시움 - 광문고.서울컨벤션고 - 고덕1동주민센터 - [[고덕역]] - 고덕삼환.주공9단지아파트 - [[성덕고등학교(서울)|성덕고등학교]](명일역) - 강동농협 - 암사종합시장 - [[암사역]] - 서울암사동유적 - 서원마을 || == 개요 == [[강동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2km''' 다. [[http://map.naver.com/?busId=152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이 노선의 모태는 1980년대 이전에 하일동 새마을협의회에서 만든 가래여울~서울승합차고지(명일역) 노선이다. 당시 노선은 가래여울~현 강일동주민센터~현 아리수로~현 동부기술교육원~현 명일역~현 구천면로65번길로 회차하던 경로이다. 서울승합차고지 연계를 통해 서울승합 노선으로 환승을 유도하는 경로라서 명일동에서 끊겼으며 배차간격은 15분에 3대 운행했다. * 개편 전에는 2번 노선으로 가래여울과 점마을(서원마을)을 잇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오랫동안 유지되었으나, 상일동역을 거치지 않고 게내길을 경유했기 때문에 2번 차량 중 일부를 상일동역을 경유하는 2-2번으로 노선을 만들어 운행했다. 나중에는 2-2번보다 2번 수요가 낮아 운행 빈도가 많이 줄었다. [2-1번은 강동05번의 변경 전 노선으로, 천호역 변경 전 점마을(서원마을) 회차는 2번, 2-2번과 동일했다] 개편 직전에 노선 번호만 43,44,45번으로 변경했고 개편 이후 강동02,03,05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노선은 그대로였고, 번호만 바뀐 것이다. 서울승합 813-2번이 813번으로만 변경된 것과 같은 이치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강일동 - 선사주거지' 구간을 운행하는 강동02번, 강동03번, 강동05번으로 재편되었다. 강동02번은 가래여울, 강동03번은 하일동입구[* 강일동 지역 재개발로 사라졌다. 현 강일1단지 부근.], 강동05번은 강일동주민센터[* 현재 강일동주민센터가 아니다.] 출발이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두 동일하다. * 이후 강동03번은 강일동 일대에 새로 생긴 아파트 승객 수송을 위해서는 공용차고지 이북으로 더 연장되어야 하는데, 기존 가래여울 정류장보다 사실상 불과 한 정거장 차이 정도로만 짧고 수요는 기존 가래여울보다 월등히 많기 때문에 기존 03번을 별도로 유지할 실익이 없어졌기 때문에 폐선되었다. * 아리수로 확장공사 및 고덕시영아파트 주택재건축사업으로 인해 2015년 11월 18일부터 '고덕아이파크 - 묘곡초교사거리 - 고덕로61길 - 아남.대우아파트' 구간으로 우회하다가 2017년 6월에 상일동역 방향만 원래 노선으로 환원하되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를 거쳐 가는 걸로 변경되었다. * 일자마을이 강일공공주택지구에 편입되어 철거되면서 임시우회도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강동05번과 중복되는 구간을 줄이고, 대중교통 음영지대를 줄이기 위해 2019년 3월 30일에 '고덕아이파크 - (→ 묘곡초교사거리 →/← 고덕1동주민센터.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 ←) - 아남.대우아파트 - 명일역' 구간이 '고덕아이파크 - 고덕역(1번 출구) - 고덕삼환.주공9단지 - 명일역'으로 변경되었고 1대가 증차되어 13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https://blog.naver.com/gangdongpr/221490936750|관련 게시물]] * 강일공공주택지구 입주가 시작됨에 따라 일자마을 정류장이 강동리버스트4단지라는 명칭으로 다시 부활하였다가, 2021년 3월 29일에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을 끼고 도는 굴곡 노선으로 바뀌었다. * 코로나 이후에는 악명높은 회사 이미지를 극복해내지 못하며 그 여파로 기사충원을 하지 못하게 되어 평일에는 그나마 8대 정도의 운행대수를 유지하며 15~20분 내외의 배차로 다니나 주말에는 4~5대로 최대 30분에 한 대씩 다니기도 한다. == 특징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노선들 중 '''노선길이가 세번째로 긴''' 노선이 되었다.[* 원래 2위였으나 23년 8월 31일에 [[서울 버스 강동01|강동01]]번의 노선연장으로 빼앗겼다.] 1위는 시내버스에서 전환된 [[서울 버스 노원15|노원15번]]. * 강동05번과 상일동부터 고덕아이파크까지, 성덕고등학교부터 강동농협까지 똑같은 노선으로, 중복 구간에서는 약 10분 간격으로 고르게 02, 05번이 번갈아가며 한 대씩 오거나, 02번 1대 05번 2대 순서로 온다. 그래서 노선이 겹치는 구간을 이용하려면(02, 05 아무거나 타도 상관 없는 경우) 배차간격 10분 정도, 각각 노선이 갈라지는 구간을 이용한다면 배차간격 15~30분으로 이해하면 된다. * 강일 7.9.10단지 수요와 10단지까지 걸어와서 버스를 이용하는 미사17~19단지에 사는 사람들 수요가 엄청나다.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서울과 하남이 갈라지다 보니 대중교통의 양질 또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근시간대에는 기존보다 비교적 더 많은 배차를 보여준다.[* 이 구간을 지나는 342번 등보다 먼저 승객을 태우기 위해 배차가 깨지거나 승객 우선 확보 등을 목적으로 가래여울 조발이 잦다. 주말에는 22분 간격이지만 배차 회복을 위해 조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강일동 일부구간 운행방향이 일반 시내버스와 반대방향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강일리버파크1~8단지에서 운행할때 시내버스 입장에선 시내방향이라도 전혀 반대인 가래여울 방면이다. 그리고 강동05는 차고지행이다.[* 단 9~10단지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의 방향이 같다.] 강일동에서 버스를 탄다면 특히 주의바람. * 선사사거리부터 암사역 사이 구간에서 [[서울 버스 340|340번]], [[서울 버스 3318|3318번]], [[서울 버스 3411|3411번]])과 착오가 많이 생긴다. 시내버스들은 암사역에서 그대로 쭉 천호역으로 향하지만, 마을버스는 암사역에서 구천면로 방향으로 꺾기 때문에 당황해하는 사람들이 은근히 있다. 반대로 암사역에서 승차해 선사사거리로 향할 경우, 다른 시내버스들처럼 선사사거리에서 꺾어서 명일동 방면으로 가는 줄 알고 탔는데 알고보니 직진으로 선사주거지로 들어가서 당황하는 승객들도 있다. * 크리스마스 기간에는 운행사원들이 산타복장을 하고 운행을 하며 내부가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꾸며진 버스를 탈 수 있다. 더불어 어린이날에는 사탕같은 간식이 든 조그만 꾸러미를 어린이 승객들에게 나눠주기도 한다. * 서울암사동유적에서 선사문화축제를 할 때는 '고덕주유소 - 서원마을' 구간이 통제되어 고덕주유소에서 회차한다. 통제되는 구간은 무료 셔틀버스로 운행한다. 서원마을로 향할 때는 '''[[올림픽대로]]''', 고덕주유소로 돌아올 때는 올림픽로112길 등의 농로를 경유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57522|관련 게시물]] 퍼레이드를 할 경우에는 암사역으로 가지 않고 '구천면로 → 천호동공원 → 광진교남단 → 구천면로' 순으로 회차한다. * 첫차는 가래여울에서 5시 55분에 출발해 강동차고지를 6시에 통과하고 6시 27분에 서원마을에서 회차한다. * 막차는 가래여울에서 23시 20분에 출발해 강동차고지를 23시 25분에 통과하고, 암사역 1번 출구에서 23시 50분까지 기다렸다가 출발한다. 이후 서원마을에서 23시 55분에 출발해 암사역에서 자정, 명일역에서 00시 10분에 출발한다. * 고덕동과 강일동 구간에서 노선 굴곡이 상당히 심한데, 2021년 3월 29일 노선 개편으로 굴곡이 더 생겼다. 아무리 마을버스라지만 지하철역을 끼고 도는 것도 아니고 일반 아파트 단지를 끼고 도는 데다가, 50m마다 신호등이 있는 1차선 도로 구간이라서 주민들은 이 노선보다는 코스가 비슷한 [[서울 버스 3318|3318번]]이나 [[서울 버스 강동05|강동05번]]를 선호하는 편이다. * 가스충전과 주박은 [[강동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이 노선에 운행하던 현대자동차의 글로벌900 차량을 강동교통에서 서울시 동부기술교육원의 실습용 차량으로 기증하였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동0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8,682명 || - || || 2014년 || 8,213명 || {{{#blue ▽ 469}}} || || 2015년 || 7,893명 || {{{#blue ▽ 320}}} || || 2016년 || 7,519명 || {{{#blue ▽ 374}}} || || 2017년 || 7,753명 || {{{#red △ 234}}} || || 2018년 || 7,789명 || {{{#red △ 36}}} || || 2019년 || 8,110명 || {{{#red △ 321}}} || || 2020년 || 6,465명 || {{{#blue ▽ 1,645}}} || || 2021년 || 5,964명 || {{{#blue ▽ 501}}} || || 2022년 || 5,254명 || {{{#blue ▽ 710}}}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상일동역]], [[고덕역]], [[명일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8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강동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