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162번 아폴로차량.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버스 162_153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6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대진여객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전경련회관)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4:55 ||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5~9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10분 / 공휴일 8~10분 || ||<-2> 운수사명 || [[대진여객(서울)|대진여객]] ||<-2> 인가대수 || 29대(예비 2대)[*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 || ||<-2> 노선 ||<-4> 대진여객차고지 - 정릉산장아파트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우체국 - 아리랑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삼선교.한성대입구 -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원남동사거리 ←) - [[창덕궁]] - [[안국역]] - [[조계사]] - 롯데영프라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숙대입구역]] - [[남영역]] - 용산꿈나무종합타운 - 원효로3가 - {{{#aaa 원효대교}}} - KBS별관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역]] → KBS → 전경련회관 → 여의도역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진여객(서울)|대진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8.2km다.[[http://map.naver.com/?busId=143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공식적으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7|구 3번]] 도시형버스(정릉동 - 영등포역)가 전신이나, 실제 노선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50|구 16번]](정릉동 - 개포동) 노선을 더 많이 계승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한성대입구 - 영등포' 구간을 대폭 변경했고, 번호도 162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7월 10일에 영등포역 구간을 미경유하고 여의도환승센터와 증권거래소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654|관련 공지사항]] * 2005년 8월 17일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1권역#s-4|1012번]]이 폐선되면서 미아리고개 대신 아리랑고개 경유로, 광화문 대신 남대문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또한 양 방향 모두 창경궁을 경유하던 것이 정릉동 방향만 대학로를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701|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24일부로 예비차 1대가 차출되어 정규 차량으로 전환, 신설된 [[서울 버스 1116|1116번]]에 투입되었다.[[http://gall.dcinside.com/transit/76300|관련 게시물]] * 2021년 2월 25일 여의도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전경련회관에서 여의도역으로 우회전하여 운행하는 것으로 확정되어 3월 27일부터 변경되었다.[[http://opengov.seoul.go.kr/press/22343809|관련 변경안]] == 특징 == *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아리랑고개를 넘어 정릉동으로 가는 [[서울 버스 1014|1014번]], [[서울 버스 1162|1162번]], [[서울 버스 2115|2115번]]과 함께 정릉동에서 유용한 노선이다. 또한 도심지인 여의도와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거쳐 가는 중요한 노선이기도 하다. 그래서 [[성신여대입구역]]이전부터 혼잡하다. 도심 구간에서 정체가 심하므로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여의도 구간은 [[서울 버스 160|160번]]이 빠르다. * [[서울 버스 143|143번]]과 달리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지나는 아리랑고개를 넘어가며, 이 때문에 [[길음역]]으로 가지 않는다. 혜화동로터리를 기준으로 기점 방향으로 비교해 보면 이 노선이 약간 빠르나 기점에서 도심 방향으로는 아리랑고개 구간의 정체 때문에 이 노선이 오히려 느리다. 이 때 143번은 미아리고개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종로까지 중앙차로를 이용하므로 교통흐름에 따라 적절히 골라 타는 것이 낫다. * [[서울역]]에서 [[남영역]] 방면으로 가는 노선들 중 [[서울 버스 1711|1711번]]과 [[서울 버스 7016|7016번]]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3번 승강장에 정차하지만, 이 노선은 [[서울 버스 503|503번]], [[서울 버스 505|505번]]과 같이 4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물론 을지로 방면은 모두 7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도심 방향 기준 ‘전경련회관 ~ 남영역’ 구간은 503번과 중복된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전혀 커버를 하지 못하는 산장아파트를 위시한 정류소들과, 4대문 안으로 들어가는 버스라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큰 타격이 없다. * [[서울 버스 262|262번]]과 함께 원효로를 거쳐 여의도로 가는 노선이지만, 262번은 [[원효대교]]를 앞두고 옆 동네인 청암동으로 들어가서 [[마포대교]]를 경유해서 시범아파트로 들어온다. === 사건ㆍ사고 === 우이신설선 공사가 한창이던 2016년경, 해당 노선의 저상차량이 공사중인 아리랑고개의 턱을 세게 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났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298명 || - || || 2014년 || 19,762명 || {{{#blue ▽ 536}}} || || 2015년 || 19,562명 || {{{#blue ▽ 200}}} || || 2016년 || 18,917명 || {{{#blue ▽ 645}}} || || 2017년 || 17,973명 || {{{#blue ▽ 944}}} || || 2018년 || 17,419명 || {{{#blue ▽ 554}}} || || 2019년 || 17,572명 || {{{#red △ 153}}} || || 2020년 || 13,350명 || {{{#blue ▽ 4,222}}} || || 2021년 || 13,200명 || {{{#blue ▽ 150}}} || || 2022년 || 15,225명 || {{{#red △ 2,02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조계사 하차], [[서울역]], [[남영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혜화역]][* 정릉 방면 운행 시 정차]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Ui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 정릉입구 하차], 성신여대입구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1권역]][[분류:196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