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서울·인천(전반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서울C(후반기))] ||<-2> [[파일:서울고등학교 로고 (Another).png|width=150]] || ||<-2> '''[[서울고등학교]] 야구부'''[br](Seoul High School) || || '''창단''' || [[1954년]]~[[1965년]][br][[1973년]]~현재 || || '''소속 리그''' || 서울권 || || '''감독''' || [[김동수(야구)|김동수]] || ||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9회 || || '''킷 스폰서''' || [[FILA|[[파일:FILA 로고.svg|width=100]]]][* 휠라코리아 회장이 서울고 출신이기 때문에, 유니폼 등의 야구용품을 휠라에서 후원을 받으며 야구부 연습장 부지도 휠라 소유다.] || || '''홈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EC%84%9C%EC%9A%B8%EA%B3%A0-%EC%95%BC%EA%B5%AC%EB%B6%80-153148203046900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4회(1984, 85, 2014, 17) ||2회(1996, 2007) ||4회(1995, 2008, 11, 21)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1회(1985) ||2회(2016, 17) ||4회(1984, 86, 94, 2009)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1회(2014) ||1회(1978) ||5회(1991, 95, 2008, 15, 16)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2회(1978, 84) ||2회(1988, 2020) ||3회(1977, 95, 2001)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1회(2018) || - || -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78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광주 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상업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84년, 1985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84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1985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상업고등학교]] || ||<-5>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000000 2014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터넷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4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7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등학교]] || ||<-5>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8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등학교]](2015년) || → || '''서울고등학교''' || → ||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 || [목차] == 연혁 == === 태동기 === 서울고등학교가 세워지기 이전인 경성중학교의 기록을 전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공식적인 역사로 인정하진 않는다.[* 경성중학교는 일본인 중학교(오늘날의 중학교+고등학교)로, 대다수의 일본인 학생과 소수의 한국인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인 학교가 위치해 있던 [[경희궁]] 터에 해방 직후인 1946년 [[서울고등학교]]가 새로 개교하기는 했으나, 공식 역사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경성중학교의 경우 1916년 7월에 한반도 최초의 공식야구대회인 "경성시내 중등학교야구대회"에서 우승한 청년회관팀과 경기한 기록도 있다. '''서울고 야구부의 실질적 첫 창단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4년'''이다. 이해 제 8회 쌍룡기를 시작으로 행보를 이어 나갔으나 재정난으로 제대로된 빛을 보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가 재창단을 실시하였다. * 1956년 제1회 문교부장관배쟁탈 전국학생대회, 쌍룡기(이상 예선 탈락), 전국지구대표고교쟁패전 서울시예선전(4강, vs 중앙고 10:0 패), * 1960년 서울시중학연맹전(예선 탈락) * 1962년 서울시고교 춘계리그 B조 4위(2승 1무 2패) * 1964년 서울시고교 춘계리그 B조 5위(4승 4패) === 전성기 === 본격적으로 야구부가 가동한 것은 1974년으로 대구야구의 명장 [[서영무]] 감독을 모셔와 1977년 봉황대기 4강[* 4강에서 그해 대회 우승팀인 [[조범현]]의 충암고한테 패했다.], 1978년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하면서 야구계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 [[파일:UUld4oK.jpg|width=100%]] || ||1984년 대통령배 우승. 엎드려 있는 투수는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투수 배석곤 || || [[파일:dKQ4slH.jpg|width=100%]] || || 박형렬(21번), 이용호(트로피 든 선수),[* 여기의 이용호는 아래의 95년 [[OB 베어스]] 우승 주역인 [[이용호(1970)|이용호]]와는 선후배 관계의 동명이인.] 김동수(22번과 상패를 든 선수) || 서울고의 첫 전성기는 1984년과 1985년으로 두 해 연속으로 2관왕을 차지하면서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이 때 주역은 포수 [[김동수(야구)|김동수]], 내야수 [[임형석]], 심판으로 유명해진 [[김풍기]], 투수로는 이용호, 박형열 같은 선수들이 있었고, 두터운 선수층을 앞세워서 1980년대 중반 고교야구를 호령했다. 이 때 시작된 전성기는 그러나 아쉽게도 트로피를 쓸어가는 시절로 이어지는 못했다.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같은 걸출한 투수들도 등장했지만[* 이상훈과 같이 뛰던 선수로는 [[임수혁]], [[조경환(야구)|조경환]], [[이용호(1970)|이용호]] 등이 있었다.], 고교 시절의 이상훈은 좋은 재질이었지 초고교급의 에이스는 아니었고, 그 뒤로 등장한 [[박승민|박준수]], [[구자운(야구)|구자운]], [[배힘찬]]같은 선수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1990년대 서울고 야구부는 4강에는 충분히 들었지만, 그 이상 나간 것은 1996년 대통령배 준우승이 유일했다. === 2000년대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7050419072660006100-001.jpg]]|| ||[[이형종]]의 눈물의 호투, 그리고 패배[* 뒤에 보이는 하얀 운동화를 신은 광주일고 선수는 [[장민재]](당시 장민제)다.] || 그리고 2000년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꾸준하던 시기를 지나 8강권 정도의 다크호스로 꼽히던 서울고는 2007년 절호의 우승 기회를 잡았다. [[이형종]]이라는 에이스를 앞세워 대통령배 우승에 도전한 것.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와 결승전을 치렀는데, 승리 일보 직전에서 끈질겼던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의 공세에 [[이형종]]이 9회 말에 [[이철우(야구선수)|이철우]]에게 동점타, [[윤여운]]에게 역전타를 맞고 무너지면서 대역전패로 끝났고, 이 때 [[이형종]]이 흘린 눈물은 상대였던 [[정찬헌]] 못지 않게 [[이형종]]이 더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래도 [[이형종]]의 눈물은 그 해 [[전국체전]] 우승으로 보답을 받지만, 2000년대 후반의 서울고는 [[안치홍]], [[박건우(1990)|박건우]] 같은 우수한 선수들이 4강은 올려 놓는 우수한 팀이었지만, 그 고비를 넘지 못하는 안타까운 모습도 종종 나왔다. === 2010년대 === ||[[파일:external/www.xportsnews.com/1400674857538.jpg]]|| ||2014 황금사자기 우승|| 서울고의 두 번째 전성기는 이 안타까움의 역사를 기어이 넘은 2014년이라 할 수 있는데, [[최원태]]-[[남경호]]-[[박윤철]]로 이어지는 막강한 마운드를 앞세워 [[황금사자기]]와 [[대통령배]]를 석권하며, 29년만에 다시 2관왕의 위업을 재현했다. 그리고 황금사자기 우승을 통해 메이저 4개 대회를 모두 석권하는데 성공했다. 2016년 청룡기에서 1985년 우승 이후 31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으나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 4-7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7년 청룡기에서는 준결승에서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 전년도의 패배를 설욕하며 결승에 진출했으나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에 1-2로 패배 2년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어진 대통령배에서는 에이스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를 앞세워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를 상대로 진땀을 뺀 끝에 13-9로 승리하며 3년 만에 이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들어서는 전국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황금사자기에서는 1회전에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에게, 청룡기에서는 32강전에서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에게, 대통령배에서는 1회전에서 [[라온고등학교 야구부|라온고]]에게 각각 패해 초반에 탈락했다. 봉황대기에서도 청룡기와 같이 32강전에서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에 패배하였다. 남은 대회인 9월 3일에 개막하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그동안의 부진을 만회하듯 4강까지 진출했다.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와의 준결승에서 10-0으로 대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해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를 맞아 2-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주말리그 전반기에서 5위를 기록하며 황금사자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어 개최된 청룡기에서는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에 패배하며 16강전 진출이 좌절되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참가하며 대통령배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전국 고교야구부 80개교중 39개교는 대통령배, 41개교는 협회장기에 참가한다. 개최 시기가 겹친다.] 협회장기 2회전에서 [[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를 만나 전년도까지 동료였던 박재민의 호투에 막혀 0-2로 패하며 탈락했다. 이어진 봉황대기 첫날 경기에서 [[중앙고등학교 야구부|중앙고]]에 2-8로 패하며 한 번도 토너먼트를 통과하지 못한 채 공식 일정을 모두 마쳤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뒤늦게 시작한 주말리그 후반기[* 후반기를 전반기보다 먼저 치렀다.]에서 전승을 기록했고 이어진 청룡기에서도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16강전에서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에 3-13 콜드게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협회장기 32강전에서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를 8:1 6회 콜드로 이기며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전에서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에 승리를 거뒀으나 8강전에서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에 패하여 짐을 쌌다. === 2020년대 === 2020년에는 [[두산 베어스]]의 1차 지명을 받은 [[안재석(야구선수)|안재석]]을 포함하여 무려 '''6명'''의 프로 선수를 배출했다. 2020년 봉황대기 8강전에 진출했으며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를 만나 7:3으로 이기며 4강에 진출하였다. 4강 상대는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한테 완승을 거두고 올라온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수원유신고]]이다. 4강전에서 5:3으로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를 이기며 봉황대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인상고등학교 야구부|인상고]]를 꺾고 올라온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등학교]]이다.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는 대회 첫 우승에 도전하며, 서울고는 1988년 이후 32년 만에 결승에 진출해[* 유지현의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에 우승을 내준 대회다.] 1984년[* 대회 MVP는 김동수다.] 이후 36년 만에 우승을 노렸으나 최종 우승은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의 차지가 되었다. 2021년 황금사자기에서는 [[소래고등학교 야구부|소래고]], [[상우고등학교 야구부|상우고]], [[물금고등학교 야구부|물금고]]를 차례로 물리치고 8강에 진출했으나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에 2:9 콜드게임패를 당했다. 대통령배에서는 [[이병헌(2003)|이병헌]]이 토미 존 서저리 및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로 시즌을 접은 가운데에서도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를 이기고 8강에 올라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와의 리턴 매치에서 4:1로 승리해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전년도 우승 팀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를 물리치고 창단 첫 전국대회 4강에 진출한 [[라온고등학교 야구부|라온고]]를 만났으나 1:4로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2021년에는 '''두 명'''의 1차 지명 선수를 배출했고(대졸까지 합하면 3명), 2차지명에서도 3명이 지명되면서 대졸까지 합하면 6명의 프로 선수를 배출했다. 그리고 [[안재석]],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이 [[두산 베어스|두산]], [[삼성 라이온즈|삼성]]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면서 평가가 더 올라가고 있다. 또한, 2023년 신인드래프트에서 고교 최대어였던 [[심준석]]이 MLB 진출 선언을 통해서 [[김서현]]의 전체 1번 지명이 거의 확실시되었고, 실제 드래프트에서도 [[김서현]]이 전체 1번 지명을 받아 야구팬들 사이에서의 주목도도 고공행진하는 중이다. 2023년 황금사자기에서 8강까지 올랐으나 선린인터넷고에 패하면서 준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그리고 그 선린인터넷고는 창단 후 한번도 황금사자기 우승을 못해본 [[부산고 야구부|부산고]]의 첫 우승 제물이 되고 말았다.] 봉황대기 1회전에서 [[전미르]]의 경북고에 0-3으로 패하며 2회전(64강전) 진출에 실패했다. 2023년 7월 29일,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유력 후보로 평가 받던 [[이찬솔(야구선수)|이찬솔]]이 2023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통해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하였다. 또한 이찬솔이 미국으로 진출함에 따라 KBO로부터 받는 고교야구 지원금 지급이 5년간 끊기게 되었다.[* 원래는 2018년에 [[최현일(2000)|최현일]]이 미국에 진출하면서 2018년부터 5년간 지원금이 끊겼고, 따라서 2023년이 지원금이 끊기는 마지막 해였으나, 이찬솔이 미국 진출을 선언함에 따라 서울고 입장에서는 장장 10년이나 지원금이 끊기게 되었다.] == 이모저모 == * 2015년 11월 12일에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청룡기]] 16강에서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와 맞붙었는데, 이때 1학년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가 고척 스카이돔의 첫번째 홈런을 기록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841466|기사]]. * 서울고등학교 운동장[* [[심석희]] 선수가 [[나이키]] [[https://www.youtube.com/watch?v=Of5Ei5QbY40|광고]]를 촬영할 때 방문하기도 했다.]은 (여느 주택가 학교와 마찬가지로) 저녁시간 이후에는 인근 주민들의 조깅트랙이자 놀이공간인데, 이 트랙과 같은 공간에 야구부 연습장과 회관 등이 위치해 있다. 저녁시간에 조깅이나 걷기운동하러 가면 늦게까지 땀흘리고 있는 야구부 선수들을 목격할 수 있다.1980년대에는 서울에서 경기가 열리는 지방 연고 프로야구 구단의 연습시설로도 이용이 되었으므로 학생들이 유명 프로선수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 2015~2018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 2차 1라운드 고졸 지명자를 가장 많이 배출해낸 학교다. [[최원태]], [[남경호]][* 이상 [[2015 KBO 신인드래프트|2015 1차 지명]].], [[주효상]][* [[2016 KBO 신인드래프트|2016 1차 지명]].], [[최원준(1997)|최원준]][* [[2016 KBO 신인드래프트|2016 2차 1라운드 지명]].], [[임석진]][* [[2016 KBO 신인드래프트|2016 2차 1라운드 지명]].],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 [[2018 KBO 신인드래프트|2018 2차 1라운드 지명]].]. 정작 강백호의 동기로 2017년에 좋은 활약을 보였던 투수 [[주승우]]는 신인 2차지명 행사에 초청을 받고도 지명을 받지 못했고, [[성균관대학교]]에 진학했다. * [[파일:서울고등학교 응원단 사진.jpg]] [[동대문야구장]]이 있던 시절 인창고등학교와의 경기 사진이다. 서울고 특유의 하복을 입은 학생들의 모습이 장관이다. * 훈련 분위기가 유정민 감독의 영향으로 상당히 자유로우면서도, 선수들이 훈련 스케줄을 지키면서도 정형화된 프로그램이 아니라 선수의 의향에 맞는 훈련 일정을 소화하면서 자율과 책임을 중시하는 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TYuiBzh6bSY| ]] 또한, 합숙을 없애고 랩소도, 카이저 등 트레이닝 기계를 도입하면서도, 투수파트에서도 드라이브라인 훈련방식을 적용하는 등 최신 훈련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합숙 생활을 기본으로 하는 한국, 일본의 명문 고교야구 팀들과도 훈련, 생활 분위기가 현격하게 차이가 난다.] * 훈련이 끝나면, 한국사 등 과목 보충수업을 받는 등 학업에도 충실한 편이다. 그래서 [[안재석]]이 한국사 모의고사 1등급을 받기도 했다. == 논란 == * 2015년 졸업생 중 한명인 [[홍승우(야구선수)|홍승우]]군의 대학입학을 고의로 막은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96&article_id=0000375781|관련 기사]] 이후 검찰이 입시비리 정확을 포착해 당시 연세대 감독, 서울고 지도자등 관계자들의 출국 금지 명령을 내렸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0735066|기사]] 그리고 홍승우는 2017년도까지 가는 끝에 3수만에 '''[[서울대]]'''에 합격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10&aid=0000366897|#]] ~~[[서울대학교 야구부]]의 에이스가 될 듯하다.~~[* 다만 프로 지명은 받지 못했으며, 졸업과 함께 대학원 진학을 택했다고 한다.] * 거기다 전임 감독이었던 김모 감독[* 2006년 이형종의 눈물의 역투 당시에도 감독이었다. 감독 사임 후 몇년 뒤 다시 감독직으로 복귀했다.]이 2014년에 [[승부조작]]을 지시한 혐의가 밝혀졌다.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와의 경기에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37&aid=0000099839|아웃되기 위해 도루를 지시]]하거나 번트를 맞으면 일부러 수비수들을 뒤로 물려 안타로 만들어 주는 등의 수법을 사용했다고. * 학교에 많은 후원을 하는 모 회장이 야구부 운영에 관여하며 갑질을 저질렀고, 감독과 코치 교체를 요구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55&aid=0000950207|기사]] 복자처리 되어있기는 하지만 신인왕 두 명, 명문고 야구열전 준결승 등의 내용을 보면 서울고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서울고등학교 내에 회장의 이름을 딴 건물은 오**홀 밖에 없다. 오영수 회장은 현재 채권중개 업체인 KIDB 회장이다. 결국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근로자지위보전 가처분 신청에서 유정민 감독의 청구를 인용하면서 유정민 감독은 감독직을 계속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789| ]][* 재판부는 “유 감독과 A코치가 서울고 야구부 지도자로 근무한 이후 현재까지 보여준 실적·수상이력 등에 비춰 보면, 교육감이 제출하는 자료들만으로는 유 감독과 코치에 대해 결격사유가 존재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시했다. 특히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이 학교장에 연장불가 통보의 철회·보류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매일노동뉴스, 2022.3.11)]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선우대영]] || 투수 || 1982년 [[OB 베어스|OB]] 창단 멤버 ||중앙대-[[OB 베어스|OB]](1982~1983)|| || [[김풍기]] || 내야수 || 1989년 [[육성선수|연습생]] 입단 ||연세대-[[태평양 돌핀스|태평양]](1989~1991)-[[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2)|| || '''[[김동수(야구)|김동수]]'''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1차지명]] ||한양대-[[LG 트윈스|LG]](1990~1999)-[[삼성 라이온즈|삼성]](2000~2001)-[[SK 와이번스|SK]](2002)-[[현대 유니콘스|현대]](2003~2007)-[[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2008~2009)|| || [[임형석]]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1차지명]] ||한양대-[[OB 베어스|OB]](1990~1996)-[[롯데 자이언츠|롯데]](1997)|| || '''[[임수혁]]'''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94년/신인드래프트|1994년 2차 1순위]] ||고려대-[[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1992~1994)-[[롯데 자이언츠|롯데]](1994~2000)||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1차지명]] ||고려대-[[LG 트윈스|LG]](1993~1997)-[[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1998~1999)-[[보스턴 레드삭스|BOS]](2000)-[[LG 트윈스|LG]](2002~2003)-[[SK 와이번스|SK]](2004)|| || '''[[이용호(1970)|이용호]]''' || 투수 || 1993년 [[연습생]] 입단 ||건국대-[[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두산]](1993~2001)-[[LG 트윈스|LG]] (2002)|| || [[추성건]]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1993년 1차지명]] ||건국대-[[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두산]](1993~1999)-[[SK 와이번스|SK]](2000~2001)|| || '''[[조경환(야구)|조경환]]'''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5년/신인드래프트|1995년 2차 2라운드]] ||고려대-[[현대 피닉스]](1995)-[[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1996~1997)-[[롯데 자이언츠|롯데]](1998~2002)-[[SK 와이번스|SK]](2002~2007)-[[KIA 타이거즈|KIA]](2008)|| || '''[[박승민]]'''[* 2013년 박준수에서 개명.]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2차 9라운드]] ||경희대-[[현대 유니콘스|현대]](2000~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1)-[[KIA 타이거즈|KIA]](2012)|| || '''[[구자운(야구)|구자운]]'''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1999년 2차 고졸우선지명]] ||[[두산 베어스|두산]](1999~2007)-[[삼성 라이온즈|삼성]](2008~2011)|| || [[박정현(야구선수)#s-2.1|박정현]]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드래프트|2000년 2차 9라운드]]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KIA]](2000~2003)|| || '''[[박재상]]'''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2차 9라운드]] ||[[SK 와이번스|SK]](2001~2017)|| || [[배힘찬]]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1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2~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5)-[[KIA 타이거즈|KIA]](2016~2017)|| || [[김영복]]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3년/신인드래프트|2003년 2차 4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3~2007)-[[NC 다이노스|NC]](2012)|| || [[허도환]]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3년/신인드래프트|2003년 2차 7라운드]] ||단국대-[[두산 베어스|두산]](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11~2015)-[[한화 이글스|한화]](2015~2017)-[[SK 와이번스|SK]](2018~2019)-[[kt wiz|KT]](2020~2021)-[[LG 트윈스|LG]](2022~)|| || [[강승현(야구선수)|강승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2차 3라운드]] ||단국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08~2016)-[[한화 이글스|한화]](2017~2018)|| || '''[[이보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5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키움]](2008~2019)-[[kt wiz|KT]](2020~2021)|| || '''[[김대우(1988)|김대우]]'''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9라운드]] ||홍익대-[[넥센 히어로즈|넥센]](2011~2016)-[[삼성 라이온즈|삼성]](2016~)|| || ~~'''[[임태훈(야구선수)|임태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드래프트|2007년 1차지명]] ||[[두산 베어스|두산]](2007~2015)-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2015~2018) || || [[한성구]] || 포수 || 2011년 [[신고선수]] 입단 ||홍익대-[[KIA 타이거즈|KIA]](2011~2013)||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7라운드]] ||연세대-[[두산 베어스|두산]](2012~2016) -[[kt wiz|KT]](2016~2017)-[[KIA 타이거즈|KIA]](2018~2021) || || '''[[이형종]]''' || 투수/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1차지명]] ||[[LG 트윈스|LG]](2008~2010, 2013~2022)-[[키움 히어로즈|키움]](2023~)|| || [[류원석]][* [[유원석]]에서 개명했다.] || 투수 || 2013년 [[육성선수|신고선수]] 입단 ||인하대-[[LG 트윈스|LG]](2013~2022)-[[한화 이글스|한화]](2023)|| || '''[[박건우(1990)|박건우]]'''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2차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09~2021)-[[NC 다이노스|NC]](2022~)|| || [[안성무]] || 투수 || 2015년 [[육성선수]] 입단 ||고려대-[[경찰 야구단|경찰]]-[[삼성 라이온즈|삼성]](2015~2018)|| || '''[[안치홍]]'''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09~2019)-[[롯데 자이언츠|롯데]](2020~2023)-[[한화 이글스|한화]](2024~)|| || [[전인환]]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2차 6라운드]]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2009)-[[LG 트윈스|LG]](2010~2018)|| || [[최성민(1990)|최성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2차 4라운드]] ||[[LG 트윈스|LG]](2009~2015)|| ||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2라운드]] ||연세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14~)|| || [[문재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9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1~2019)-[[당진 현대제철 블루캅]](2021~)|| || '''[[유강남]]'''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7라운드]] ||[[LG 트윈스|LG]](2011~2022)-[[롯데 자이언츠|롯데]](2023~)|| || '''[[임정우]]'''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 ||[[SK 와이번스|SK]](2011)-[[LG 트윈스|LG]](2012~2023)|| || [[김승훈(야구선수)|김승훈]] || 내야수 || 2016년 [[육성선수]] 입단 ||홍익대-[[LG 트윈스|LG]](2015~2016)|| || [[김재영(야구선수)|김재영]]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1라운드]] ||홍익대-[[한화 이글스|한화]](2016~2023)|| || [[신동훈(야구선수)|신동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6라운드]] ||[[LG 트윈스|LG]](2012~2015)-[[SK 와이번스|SK]](2015~2019)-[[롯데 자이언츠|롯데]](2020)|| || [[이준형(야구선수)|이준형]]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6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2~2013)-[[kt wiz|KT]](2014~2015)-[[LG 트윈스|LG]](2015~2020)-[[KIA 타이거즈|KIA]](2021~2022)|| || [[임서준]]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8라운드]] ||인하대-[[NC 다이노스|NC]](2016~2020)|| || '''[[장현식]]'''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1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3~2020)-[[KIA 타이거즈|KIA]](2020~)|| || '''[[배재환]]'''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2014년 2차 1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4~)|| || [[윤희영]] || 투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5라운드]] ||경성대-[[KIA 타이거즈|KIA]](2018) || || [[최우혁(야구선수)|최우혁]] || 포수/외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9라운드]] ||홍익대-[[LG 트윈스|LG]](2018~2021) || || [[남경호]]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1차지명]] ||[[두산 베어스|두산]](2015~)|| || [[박윤철]]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10라운드]] ||연세대-[[한화 이글스|한화]](2019~2023) || || '''[[최원태]]'''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1차지명]] ||[[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2015~2023)-[[LG 트윈스|LG]](2023~)|| || [[김태오(1997)|김태오]]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5라운드]] ||[[kt wiz|KT]](2016~)|| || [[임석진]]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1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16~2022)-[[KIA 타이거즈|KIA]](2022~)|| || [[주효상]]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1차지명]] ||[[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2016~2022)-[[KIA 타이거즈|KIA]](2023~)|| || '''[[최원준(1997)|최원준]]''' || 내야수[* 현재는 외야수로 전향] || [[한국프로야구/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16~)|| || [[박승훈]] || 내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연세대-[[수원 파인 이그스]](2023)-[[KIA 타이거즈|KIA]](2023) || || [[이찬혁(야구선수)|이찬혁]]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3라운드]] ||[[LG 트윈스|LG]](2017~2023)|| ||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 || 투수/포수/외야수[* 현재는 주로 1루수/지명타자로 출장]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1라운드]] ||[[kt wiz|KT]](2018~) || || [[양승혁]] || 내야수 || 2018년 [[육성선수]] 입단 ||[[kt wiz|KT]](2018~) || || [[이재원(1999)|이재원]] || 외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2라운드]] ||[[LG 트윈스|LG]](2018~) || || [[정문근]] || 외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9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18~2020) || || [[주승우]]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1차지명]] ||성균관대-[[키움 히어로즈|키움]](2022~) || || [[최현준(타자)|최현준]] || 내야수 ||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2018년 2차 3라운드]] ||[[LG 트윈스|LG]](2018~2023) || || [[배영빈]] || 내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홍익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23) || || [[송승환(야구선수)|송승환]] || 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9~) || || [[이교훈]]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3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9~) || ||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 투수 ||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2019년 2차 2라운드]] ||[[LG 트윈스|LG]](2019~) || || [[정우준]]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6라운드]] ||강릉영동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21~) || || [[최현일(2000)|최현일]] || 투수 || 2019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2019~) || || [[강민(야구선수)|강민]] || 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4라운드]] ||[[LG 트윈스|LG]](2020~) || || [[심규빈]] || 외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1라운드]] ||성균관대-[[LG 트윈스|LG]](2024~) || || [[정재원(2001)|정재원]] || 외야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7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0~2022) || || [[김재중(야구선수)|김재중]] || 외야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9라운드]] ||[[NC 다이노스|NC]](2021) || || [[문승진]]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10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1~) || || [[송호정]] || 내야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2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1~) || || [[안재석(야구선수)|안재석]] || 내야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1차지명]] ||[[두산 베어스|두산]](2021~) || || [[조건희(야구선수)|조건희]]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3라운드]] ||[[LG 트윈스|LG]](2021~) || || [[최우인]] || 투수 ||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2차 8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1~) || || [[문정빈]]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LG 트윈스|LG]](2022~) || || [[이병헌(2003)|이병헌]]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1차지명]] ||[[두산 베어스|두산]](2022~) || ||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1차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22~) || || [[조세진]] || 외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1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2~) || || [[주승빈]]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5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2~) || || [[김도월]] || 내야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9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23~) || || [[김서현]] || 투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1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23~) || || [[이준서(야구선수)|이준서]] || 외야수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년 4라운드]] ||[[LG 트윈스|LG]](2023~) || || [[소한빈]] || 외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9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24~) || || [[여동건]] || 내야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24~) || || [[이찬솔(야구선수)|이찬솔]] || 투수 || 2023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보스턴 레드삭스|BOS]](2024~) || || [[전준표]]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1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4~) || == 둘러보기 == [include(틀: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서울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