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대학교)]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서울대학교/대학원/입시)]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대학별 대학원)] [include(틀:서울대학교)] [include(틀:서울대학교의 대학원)] [목차] === 일반대학원 === 아래에 나온 단과대학은 편의상으로 쓴 것이다. 공식적 편제에는 대학원 아래에는 '''단과대학이 없이''' 바로 학부/학과(전공)으로 넘어간다('대학원' 자체가 단과대학과 동등한 위계이다. 학위 과정이 다를 뿐.). 물론 지도교수나 과사무실 등 행정은 해당 학과와 관련된 학부 학과 소속에서 겸한다. 예를 들면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사무실에서 '대학원 과학교육과 화학전공'과 관련된 업무도 같이 하며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교수가 대학원 과학교육과 화학전공 학생의 지도교수를 맡는 것이다. 어느 학교든 대학의 편제에서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 행정직원의 소속 체제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 인문사회계 ====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국어학전공, 국문학전공),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사학과|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철학과]](동양철학전공, 서양철학전공), 종교학과, [[미학]]과,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미술사학전공), 서양음악학, 동양음악학, 협동과정(서양고전학전공, 인지과학전공, 비교문학전공, 기록관리학전공, 공연예술학전공)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외교학전공),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 협동과정(여성학전공)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경영대학]] * [[경영학과]](회계학전공, 생산관리전공, 경영정보전공, 마케팅관리전공, 재무금융전공, 인사조직전공, 국제경영전공)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 * 농경제사회학부(농업‧자원경제학전공, 지역정보학전공) *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 * [[법학과]](기초법전공, 헌법전공, 민사법전공, 상사법전공, 형사법전공, 행정법전공, 국제법전공, 사회경제법전공, 지식재산법전공)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사범대학]]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교육공학전공, 교육상담전공, 교육행정전공, 평생교육전공),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독어전공, 불어전공),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역사전공, 지리전공), [[윤리교육과]](동양윤리전공, 서양윤리전공, 도덕ㆍ윤리 교과교육 전공, 정치철학 전공, 통일교육 전공), [[체육교육과]](스포츠인문사회전공, 스포츠과학전공,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미술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특수교육전공, 환경교육전공, 유아교육전공, 글로벌교육협력전공)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생활과학대학]] * 소비자학과, 아동가족학과 ==== 자연과학계 ====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 * 수리과학부, 통계학과, 물리천문학부(물리학전공, 천문학전공), 화학부, 생명과학부(분자세포생물학전공, 개체생물학전공, 계통생물학및생태학전공), 지구환경과학부,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과, 뇌인지과학과, 과학학과, 협동과정(유전공학전공, 뇌과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계산과학전공)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대학]] * 간호학과(모아‧정신간호학전공, 성인간호학전공, 지역사회간호‧간호시스템전공)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 * 식물생산과학부(작물생명과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농생명공학부(식품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식물미생물학전공, 곤충학전공, 바이오모듈레이션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농산업교육과, 협동과정(농업생물공학전공, 농림기상학전공)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사범대학]] *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물리전공, 화학전공, 생물전공, 지구과학전공)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생활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 [[약학대학]] * 약학과(의약생명과학전공, 생약분석화학전공, 약물학전공, 예방임상약학전공, 약제과학전공, 천연물과학전공) ==== 공학계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공과대학]] * 건축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부(원자핵공학전공, 에너지자원공학전공),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부, 재료공학부(재료공학전공, 하이브리드재료전공),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 우주항공공학전공, 멀티스케일기계설계전공), 건설환경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화학생물공학전공,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전공), 산업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협동과정(바이오엔지니어링전공, 도시설계학전공,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해양플랜트엔지니어링전공) ==== 의학계 ====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수의과대학]] * 수의학과(수의생명과학전공, 수의병인생물학및예방수의학전공, 임상수의학전공)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과대학]] * 의학과([[해부학]]전공, [[생리학]]전공, 생화학전공, [[병리학]]전공, 약리학전공, 미생물학전공, [[예방의학]]전공, [[기생충학]]전공, 인문의학전공, [[법의학]]전공, 의료관리학전공, 의공학전공, 내과학전공, 외과학전공, [[산부인과]]학전공, [[소아과]]학전공, [[정신과]]학전공, 피부과학전공, [[정형외과]]학전공, [[흉부외과]]학전공, 신경외과학전공, [[비뇨기과]]학전공, [[이비인후과]]학전공, [[안과]]학전공, 영상의학전공, 마취통증의학전공, 성형외과학전공, 방사선종양학전공, 검사의학전공, 재활의학전공, [[핵의학]]전공, [[가정의학]]전공, [[응급의학]]전공, 의학교육학전공, 중개의학면역학전공, 중개의학분자유전체의학전공, 중개의학분자종양의학전공, 중개의학뇌신경과학전공, 중개의학전공), 의과학과, 임상의과학과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치과대학]] * 치의과학과(구강악안면해부및영상과학전공, 예방치과학전공, 치과생체재료과학전공, 세포및발생생물학전공, 신경생물학전공, 치의재생생명공학전공, 면역및분자미생물치의학전공, 의료경영과정보학전공, 종양및발달생물학전공, 분자유전학전공, 구강병리학전공, 치과보철학전공, 치과보존학전공, 구강악안면외과학전공, 소아치과학전공, 치주과학전공, 구강악안면방사선학전공, 구강내과진단학전공, 치과교정학전공, 치과마취과학전공), 치의생명학과 ==== 예술계 ====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음악대학]] * 음악과(성악전공, 작곡전공, 기악전공, 국악전공)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미술대학]] * 디자인학부(도예전공, 금속공예전공, 시각디자인전공, 공업디자인전공, 디자인역사문화전공, 공예전공, 디자인전공), 미술학과(동양화전공, 서양화판화전공, 조소전공), 협동과정(미술경영전공) 동양화과 동양화전공, 서양화과 서양화전공, 서양화과 판화전공(매번 미달이나 모집이 인원이 차지 않는다.), 조소과 조소전공 === [[전문대학원]]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원)] ====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 195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2001.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학전공/보건정책관리전공 *환경보건학과 * 1983.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2009년까지는 연건캠퍼스에 있었으며, 2010년에 관악캠퍼스로 이사하여 현재 220동 7층과 221동을 사용하고 있다. ==== [[행정대학원]] ==== * 행정학과 * 1959.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 196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 198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전공/정책학전공[* 2009년 박사과정 정책학전공이 정책학과로 승격] * 2014.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전공/정책학전공/글로벌행정전공[* 글로벌행정전공은 석사과정만 존재] *공기업정책학과 * 201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세종 공동캠퍼스]]에 분원이 설치될 예정이다. ==== [[서울대학교/대학원/환경대학원|환경대학원]] ==== [[서울대학교/대학원/환경대학원]] 문서 참조. * 환경계획학과 * 1968.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 1973.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 1981.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관리전공/지역개발전공/도시설계전공/환경관리전공/교통계획전공 * 1988.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전공/환경관리전공/교통계획전공 * 1994.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전공/환경관리전공/교통관리전공 * 2019.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학전공/환경관리학전공/교통학전공/도시사회혁신전공 * 환경조경학과 * 1973.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1981.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조경학전공/도시설계전공 * 협동과정 * 조경학전공 ==== [[국제대학원]] ==== * 국제학과 * 1997.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 2003.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통상전공/국제협력전공/국제지역학전공/한국학전공 * 2022.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국제통상전공/국제협력전공/국제지역학전공/한국학전공/국제개발전공 ==== [[치의학전문대학원|치의학대학원]] ==== * 치의학과 * 1922. 경성치과의학교 * 1929.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 1945. 경성치과대학 * 1946.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 2005.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2014학년도 입시부터 7년제 전문석사/박사 복합학위과정(D.D.S.-Ph.D)을 약간명 모집한다.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참고) 자연과학대학 치의예과 * 1959.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치의예과 * 1975.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치의예과 * 2003. 폐지 2014년부터 7년제 [[학석사 통합과정]]도 선발한다. ==== [[경영전문대학원]](MBA) ==== * Global MBA * 2006.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GMBA * SNU MBA * 2007.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SMBA * Executive MBA * 2009.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EMBA 서울대학교 종합화(1975') 이전 경영학과 소속의 경영대학원이 존재한 적이 있으나, 경영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이때의 경영대학원은 폐지되었다. ==== [[의학전문대학원|의학대학원]] ==== * 의학과 * 2009.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과 의과대학의 정원을 절반으로 감축하고 병행체제로 운영 중. 향후 의과대학 단일체제로 회귀 예정이므로 2014학년도를 끝으로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며 2018년 폐과 예정. ==== [[서울대학교/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참조. * 법학과 * 2009.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2009년 개원하였으며, 3년제 대학원 석사과정이다. 교육부의 인가 조건에 따라 타 대학 출신을 1/3이상 받고 있으며, 대내외적으로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후신으로 인정된다.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 융합과학부 * 2009.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나노융합학과/디지털정보융합학과/지능형융합시스템학과 * 2012.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나노융합전공/디지털정보융합전공/지능형융합시스템전공/방사선융합의생명전공 *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2009.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지능정보융합학과 / 응용바이오공학과 * 2020. 디지털정보융합전공과 지능형융합시스템전공이 지능정보융합학과로 통합됨 * 2020. 나노융합전공과 방사선융합의생명전공이 응용바이오공학과로 통합됨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그리고 [[광교신도시]] 에서 수업과 연구를 한다. (단, 지능정보융합학과의 경우 수업과 연구 모두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에서 진행한다. 카이스트 AI 대학원처럼 인공지능 인재 유치를 위해 광교에서 관악으로 이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 [[서울대학교/대학원/국제농업기술대학원|국제농업기술대학원]] ====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참조. * 국제농업기술학과 * 2014.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경제동물산업기술트랙/바이오식품산업트랙/종자생명기술트랙/국제농업공학트랙/ 국제농업개발협력트랙 * 2019.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 경제동물과학전공/바이오식품산업전공/종자생명과학전공/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평창캠퍼스]] 소속의 전문대학원이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연계되어있다. ==== 공학전문대학원 ==== * 응용공학과 ====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 * 데이터사이언스학과 [[https://gsds.snu.ac.kr|홈페이지]] 서울대학교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전문대학원으로, 학부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을 모집하여 데이터사이언스 --혁신--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석/박사 전일제 과정. 2020년 3월 개원. 연간 석사정원 40명, 박사과정 15명 모집하며 (9월에 모집, 3월 입학)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구 LG연구소 건물 (942동)에 위치한다. 일반대학원이 아닌 전문대학원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AI나 알고리즘에 대한 중요성이 증폭되며 서울대학교에 설치된 대학원 전공 중에 상당한 인기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2024학년도 기준 석사정원이 49명으로 증원되었다. 1단계 합격자는 평균 110명 선.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서울대학교/학부,version=375)] [[분류:서울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