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pp.or.kr|홈페이지]] [목차] == 개요 == [[1988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념하고, 인류화합과 세계평화 정신을 승화·발전시키고,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민족의 평화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1990년 제정되었다. == 상세 == 주최 및 시상은 서울올림픽 잉여금 가운데 100억 원을 출연해 설립된 서울평화상문화재단이 맡고 있다. 수상 대상은 국가·인종·종교·이념을 초월해 전 세계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인류화합과 세계평화에 크게 이바지한 개인 또는 단체이다. 시상식은 격년제로서, 해당 연도의 9월 말에서 10월 초에 열린다. 수상자 선정은 시상식 1년 전에 각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인사 1,000여 명의 추천을 받아 시상식 3개월 전까지 추천서를 접수한다. 이어 추천서를 접수한 서울평화상위원회는 추천된 후보자에 대한 조사내용과 공적사항을 등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엄정하게 심사하여 몇 명의 최종 후보자를 선정하고, 다시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한다.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 외에 부상으로 미화 20만 달러를 수여한다[* 이것도 1회와 2회는 30만 달러였다. 1회와 2회 수상자가 누구인지 보자. 이후 폐지 논란을 거치면서 상금도 20만 달러로 줄었다.]. 단일 부문의 상으로는 종교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템플턴상]]과 [[노벨상]], 일본국제상 다음으로 상금 규모가 크다. 한국의 유일한 국제평화상으로서 수도 서울의 이름을 내걸었다는 점에서 나름 한국을 대표하는 상이지만, 초기에는 거의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으로 올림픽 관련 인사들에게 상을 수여했기 때문에 매우 까였다. 그러나 점점 제대로 된 사람들에게 상을 주면서 나름대로 권위를 세워가는 중. 하지만 [[이철승|여길 진행하는 재단 측 관계자]]가 [[신민당 각목사건|막장으로 전설이 된 인물인지라...]] 그러다가 2018년 뜬금없이 [[나렌드라 모디]]를 수상자로 선정하면서 [[막장]]의 부활을 알리고 있다. 공식 사유가 인도 경제 발전을 통한 인도인들의 삶의 질 개선인데, 상의 취지와 거리가 멀며 무엇보다 모디는 구라자트 주 총리 재임중 무슬림 학살을 방조했고, 현재도 인도 전역의 무슬림 박해를 막기는 커녕 방관하고 있다고 악명높기 때문이다. 뒤이은 2020년 수상자는 [[토마스 바흐]]로 이 상의 초기취지(...)였던 올림픽 조공의 부활을 알렸다. == 여담 == 짝수해 시상이 원칙이지만 [[1994년]]이 빠져있다. [[1993년]] [[김영삼]] 정권 출범이후 권위도 없고 수상자 선정도 이해할 수 없는 이런 상이 필요하냐는 비판으로 폐지위기에 몰렸다. 계속해봐야 국제 망신이라는 폐지론과 우리도 이런 거 하나쯤 있어야 된다는 옹호론이 맞서다가 결국 [[1996년]] 재개된다. 3회부터 비교적 제대로 된 인물들에게 상을 주기 시작한 게 이런 배경이 있다. 물론 해가 지나가면서 점차 수상자가 반공반북 인사 일색에서 보편적인 인권운동가나 사회봉사자로 선발되면서 정치색이 조금씩 빠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애초에 첫 단추를 잘못 끼운 만큼 여전히 비판적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55936|이런 칼럼이라든가]].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평화상을 시상하는 재단인 '서울평화상문화재단'의 이사장이 누군지 위에 링크된 홈페이지에 가서 찾아보자. [[임화수]] 참조하면 나오는 [[이철승]]이었다. 그밖에 초대 위원장은 전 외무부장관을 지낸 [[김용식]], 2대는 한 술 더 떠서 전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국가정보원장|장]]'''인 [[김덕]]이었다. 그나마 교수출신 외부 인사 언급을 들었지만, 이 사람도 결국은 YS 정부시절의 안기부 불법도청 사건에 연결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래서 이 상은 더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이철승도 민주당계 정당에서 오랜기간 재직했음에도 [[사쿠라(정치)|여당과 타협하는 행보를 보인데다가]] 신민당에 있었을 때 [[정치깡패]]을 동원하는 막장짓([[김태촌]] 참고)을 저지르기도 하고 그걸 회고록에서 조국을 위한 짓이라고 정신승리를 구사하는 짓이나 했고, 정계은퇴 후에는 대놓고식의 수꼴짓을 벌였다.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은폐 의혹 조사를 촉구하는 유가족들에게 [[빨갱이]] [[드립]]을 치다가 욕을 거하게 먹었다.) 인물이라 안 그래도 안 좋은 소리 많이 듣는 이 상을 오명을 씌운다는 소리를 듣게하고 있다. 뭐 이철승도 2016년 병사했지만 말이다.] 이후 2016년 2월, [[이철승]] 이사장이 만 93세[* 한국식 나이로는 95살]를 일기로 사망했는데, 후임 이사장은 만 92세인 [[권이혁]] 전 보건사회부 장관이다. 역대 최고령 기관장 취임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_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8247204|#]] 이후 권이혁 이사장[* 권이혁 前 이사장은 만 96세 나이로 2020년 7월 12일에 별세.]이 2020년초에 4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으며 ~~그나마 90대에서 탈피한~~ [[염재호]] 前 고려대 총장이 신임 이사장으로 추대되었다. --[[공자평화상]]보다는 낫기야 하지만... 애시당초 공자평화상은 이건 뭐...-- 그리고 언론을 찾아봐도 알겠지만 언론에겐 그다지 많이 거론되지 않는 편. 평화상 수상자에 대한 기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철승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봐야할(...) [[조중동]] 같은 언론도 별로 언급을 안한다. 2012년 수상자인 [[반기문]] 사무총장이 한국 방문한 것을 몇몇 언론이 보도했지만 반총장이 한국에 온 이유가 이 상 받으러 한국에 왔다고 작게 거론하고 반기문에만 초점을 맞춰 인터뷰 및 보도했을뿐이다. 조중동도 이러다보니 아직도 이런 상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허다하다. 나무위키만 해도 2016년 수상자는 1년 넘도록 추가되지 않을 정도로 관심도 적음을 알 수 있다. == 수상자 명단 == [include(틀:역대 서울평화상 수상자)] ||<:> '''{{{#white 연도}}}''' || '''{{{#white 수상자}}}''' || '''{{{#white 국적}}}''' || '''{{{#white 활동 및 수상 이유}}}''' || ||<:>[[1990년]]||[[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1988 서울 올림픽|올림픽]] 조공 1. 서울 올림픽이 분명 [[냉전]]기 [[제1세계|자본주의]]-[[제2세계|공산주의]] 진영이 화합하는 대축제이기는 했지만, 그래도 아무튼 사마란치가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이외에 별달리 한 일이 없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조공임에는 분명하다.|| ||<:>[[1992년]]||[[조지 슐츠]]||[include(틀:국기, 국명=미국)]||올림픽 조공 2. 미국의 국무장관으로서 미-소 정상회담을 이끌어나가며 세계평화에 노력하기는 했지만 그보다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KAL기 폭파 사건]] 이후 서울 올림픽에서의 테러 방지 확약을 받아낸 활약이 더욱 강조되는 기분이 든다. 원래는 평화적 [[독일 재통일|독일 통일]]을 이룬 독일의 헬무트 콜 총리에게 수여하기로 했으나, 콜 총리는 시상식에 사정상 참석할 수 없어서 변경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1996년]]||[[국경없는 의사회]]||-||받을 만한 기구가 받은 것이지만, 이들의 수상은 1995년 북한 수해 당시 비정부단체로서는 유일하게 현장에 투입되어 활약했다는 점이 돋보였기 때문인 듯. 뭐 그게 잘못했다는 건 아니다.|| ||<:>[[1998년]]||[[코피 아난]]||[include(틀:국기, 국명=가나)]||1998년 [[사담 후세인]]을 방문하여 무기사찰에 동의하게 함으로써 이라크전을 몇 년 늦춘 공로. 뭐 조지 워커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이라크전을 일으킬 줄은 그 당시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을 테고, 이런 식으로 평화상 받은 사람은 많다. 이후 2001년에 노벨평화상도 수상하였다.|| ||<:>[[2000년]]||[[오가타 사다코]]||[include(틀:국기, 국명=일본)]||[[르완다]] 난민의 보호를 필두로 하여 수십만의 생명을 살렸다. 수상 당시 [[북한이탈주민|탈북난민]]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결정적인 수상 계기가 된 것으로 추정.|| ||<:>[[2002년]]||[[옥스팜]]||-||이들은 빈민 및 후진국의 자립을 돕는 단체로서 르완다 내전에서 난민 80만 명에게 식수를 공급하고 북한에서도 활동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이 너무 막장이라 4년만에 철수하였고, 그 외에 남아공 에이즈 약값 인하에도 큰 공을 세웠다. 그 밖에도 스타벅스의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헐값 구매를 고발하기도 했다.|| ||<:>[[2004년]]||[[바츨라프 하벨]]||[include(틀:국기, 국명=체코)]||[[동유럽 혁명|체코 민주화 운동]]의 주역이자 동유럽의 [[반공주의|반공]]투사. 인권 문제에도 힘썼으며 수상 당해 6월에 워싱턴 포스트에 "북한에 대해 행동할 때"라는 칼럼을 기고하여 북한의 비인도적 정치범 탄압 실태를 고발하면서 "[[유럽연합]]과 [[미국]], [[일본]], [[대한민국|한국]] 등 세계의 민주국가들이 [[북한/인권|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2006년]]||[[무함마드 유누스]]||[include(틀:국기, 국명=방글라데시)]||[[마이크로크레디트]]의 창시자. 이 공로로 그는 같은 해 노벨평화상도 받았다.|| ||<:>[[2008년]]||수잰 숄티||[include(틀:국기, 국명=미국)]||[[북한/인권|북한 인권]] 문제 전문가. 또한 서사하라의 난민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 ||<:>[[2010년]]||호세 나토니오 아브레우||[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베네수엘라의 빈민 청소년들을 관현악 활동을 통해 올바른 길로 이끌어 사회개혁의 새로운 모델을 수립하고 사회통합에 기여.|| ||<:>[[2012년]]||[[반기문]]||[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개발도상국]]의 빈곤 타파를 위한 지원 기금을 확보해 지구촌의 성장과 발전을 주도하고, 기후 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임.|| ||<:>[[2014년]]||[[앙겔라 메르켈]]||[include(틀:국기, 국명=독일)]||과거 [[나치 독일|나치 시절]]에 대해 끊임없이 참회했다는 점 등이 꼽혔다.|| ||<:>[[2016년]]||[[드니 무퀘게]]||[include(틀:국기, 국명=콩고민주공화국)]||[[콩고 내전]] 당시 성폭력 여성들을 돌보고 의료 활동을 인정받음. 이후 2018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도 선정되었다.|| ||<:>[[2018년]]||[[나렌드라 모디]]||[include(틀:국기, 국명=인도)]||경제성장을 통해 인도의 빈부격차를 줄이고 인도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 ||<:>[[2020년]]||[[토마스 바흐]]||[include(틀:국기, 국명=독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올림픽]] 조공 3. 공식 사유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구성 및 북한 참가 주도, 2020 도쿄 올림픽 단일팀 구성 추진 등 한반도 평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창 올림픽에 대한 답례 성격이 강하다.|| ||<:>[[2022년]]||[[팀 버너스리]]||[include(틀:국기, 국명=영국)]||[[월드 와이드 웹|WWW]]를 무료로 공급하여 [[이타주의]]와 박애주의를 실천하고 인류 보편적 가치인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보장 확대했으며 인류 공동의 이익 증대에 공헌.|| [[분류:평화상]][[분류:1988 서울 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