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북도의 시군)] {{{+2 瑞興郡 / Sŏhŭng County }}} ||<-2> {{{+2 서흥군}}} [br] 瑞興郡 / Sŏhŭ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914㎢ || || 광역시도 || [[황해북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읍 10면 || || 시간대 || UTC+9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흥군, 높이=250px, 너비=100%)] || [목차] == 개요 == [[북한]] [[황해북도]]의 군. 한서 기온차가 심하기 때문에 [[사과]]가 많이 생산되며, 지하자원으로는 석회, 슬레이트 등이 생산된다. 교통면으로는 경의선(평부선) 철도가 지나간다. 신막 부근은 [[석회암]] 지대로 [[카르스트 지형]]이 나타난다. == 역사 ==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이곳을 차지해 오곡군(五谷郡)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곳을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 오관군(五關郡)으로 개칭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성종(고려)|성종]] 때는 농서라는 별칭이 있었으며, 후에는 동주(洞州)라 불렀다. 해방 이전부터 존재했던 군. 1940년 서흥면에서 철도와 가까운 신막읍으로 군청을 옮겼다. 광복 전에는 1읍(신막) 10면으로 구성되었으나, 북한 행정구역상 서흥군은 신막읍·서흥면·매양면·용평면·내덕면·목감면·율리면 일대에 해당한다. == 기타 == 여담으로 [[거창군]] [[농어촌버스]] 회사 [[서흥여객]] 회사명의 어원이 이 지역인데, 창업주의 고향이 서흥군이라고 한다. == 출신 인물 == * [[박영섭]] * '''[[이회창]]'''[* 아버지 [[이홍규]]가 판사였던지라 당시 아버지 부임지였던 황해도 서흥군에서 태어났다. 실제로 유년기를 보낸 곳은 외가가 있는 전라남도 일대며, 대외적 고향은 아버지 고향인 [[충청남도]] [[예산군]]이다.] * [[이협(정치인)|이협]][* 전 전북 익산 갑 국회의원] * [[이수근(북한)]] * [[연병해]]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서흥군기.png|width=50%]] || [[파일:서흥군.jpg]] || 광복 당시 1읍 10면 * '''신막읍'''(新幕邑) * 관할 리 : __신막(新幕)__, 가창(加倉), 거문(巨門), 남한(南漢), 석락(石洛), 시담(矢潭), 와야(瓦野), 은현(隱峴), 이괴(梨槐), 주교(周橋), 증락(甑洛), 천곡(泉谷) * 읍사무소와 군청이 신막리에 있었다. [[부군면 통폐합]] 당시 동부면(東部面, 서흥강 이북 : 거문리·남한리·시담리·와야리·은현리·천곡리)과 화회면(禾回面, 서흥강 이남 : 신막리·가창리·석락리·이괴리·주교리·증락리)이었으나, 1940년에 병합돼 신막읍으로 승격됐다. 신막역(북한:[[서흥역]])은 철도 교통의 요지가 되는 역이었다. 곳곳에 [[돌리네]] 등 [[카르스트 지형]]이 형성돼 있어 1990년대까지만 해도 [[사회과 부도]]에서 카르스트 지형의 예시로 지도가 수록되기도 했다. * '''구포면'''(九圃面) * 관할 리 : __신당(新塘)__, 구정(九井), 오암(五巖), 운천(雲川), 자작(自作), 정문(旌門) * '''내덕면'''(內德面) * 관할 리 : __신촌(新村)__, 감당(甘棠), 냉정(冷井), 다전(多田), 대화(大和), 덕성(德城), 상금(上金), 상석(上石), 석련(石蓮), 유판(柳板), 장포(長浦), 하석(下石) * 군 서남단의 면으로, [[봉산군]] 구연면과의 사이에 서흥호가 있다. * '''도면'''(道面) * 관할 리 : __능(陵)__, 국대(菊垈), 금교(金橋), 도통(道筒), 두무(杜茂), 성매(城梅), 송화(松花), 수곡(水曲), 신전(薪田), 양학(陽鶴), 화음(華陰) * 북쪽 경계를 평안남도 [[중화군]]과 접하며, 북쪽에 크고 아름다운 연탄호(燕灘湖)가 있다. * '''매양면'''(梅陽面) * 관할 리 : __녹안(綠鞍)__, 대평(大平), 덕암(德巖), 매정(梅亭), 백화(百花), 서봉(書峰), 양사(陽射), 월농(月農), 청포(靑浦) * 군의 동단에 있는 면이다. * '''목감면'''(木甘面) * 관할 리 : __흥수(興水)__, 당현(唐峴), 백암(白巖), 복대(卜大), 소기(所己), 수곡(水曲), 입암(立巖), 장양(長陽), 창촌(倉村), 향교(鄕橋) * 정작 [[경의선]] [[흥수역]]은 이웃 봉산군 구연면에 있다. * '''서흥면'''(瑞興面) * 관할 리 : __명의(明義)__, 고성(古城), 구암(鳩巖), 덕어(德魚), 영파(暎波), 예운(曳雲), 오운(五雲), 와류(臥柳), 작문(作門), 잠두(蠶頭), 주산(舟山), 화곡(花谷) * 전통적인 서흥군의 중심지였으나 경의선이 지나지 않게 되어 침체되었으며,[* 서흥역(북한:[[석현역]])이 있기는 했지만 용평면 소재지에 있었고, 서흥면 명의리와는 3km의 거리가 있었다.] 급기야 1940년에 군청이 신막읍으로 이전해갔다. * '''세평면'''(細平面) * 관할 리 : __지산(芝山)__, 간평(艮坪), 고읍(古邑), 어룡(魚龍), 이산(尼山), 직현(稷峴) * [[평남]] [[중화군]] 간동면과 접경한다. * '''소사면'''(所沙面) * 관할 리 : __방곡(防谷)__, 남죽(南竹), 농운(弄雲), 송전(松田), 장암(長巖), 평촌(坪村) * 최서단 남죽리는 [[황주군]] 구락면 덕우리와 함께 북한 행정구역상 [[연탄군]] 연탄읍에 해당된다. * '''용평면'''(龍坪面) * 관할 리 : __금천(金川)__, 금릉(金陵), 문무(文武), 범안(泛雁), 봉하(鳳下), 삼천(三川), 상평(上坪), 서곡(瑞谷), 용연(龍淵), 월은(月隱), 월탄(月灘) * 면소재지 금천리에 [[경의선]] 서흥역(북한:[[석현역]]), 문무리에 [[문무역]]이 있다. * '''율리면'''(栗里面) * 관할 리 : __송월(松月)__, 봉암(蓬巖), 상률(上栗), 서달(徐達), 신방(新芳), 오동(梧桐), 칠송(七松) * [[멸악산맥]] 중에 위치한 면으로, 송월리 숭덕산에 고려 시대의 사찰 [[귀진사]](歸眞寺)가 아직 남아있다.[[http://www.mediabuddha.net/news/view.php?number=11906|#]] [[분류:황해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