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3>
'''{{{#ffffff {{{+2 선동열호}}}}}}'''[br]''{{{#ffffff TEAM KOREA}}}'' || ||<-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00]] || || '''{{{#ffffff 감독}}}'''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선동열]](SUN Dong Yol) || || '''{{{#ffffff 주장}}}'''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6.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6b3; font-size: 0.5em" {{{#ffffff '''C'''}}}}}} [[구자욱]](KOO Jawook) || || '''{{{#ffffff 킷 스폰서}}}''' ||<-2>[[파일:마제스틱 로고.svg|width=25]] [[마제스틱]] || || '''{{{#ffffff 팀 스폰서}}}''' ||<-2>[[LG 전자|[[파일:LG전자 3D 로고.svg|width=80]]]] || || '''{{{#ffffff 참가대회}}}''' ||<-2>[[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 '''{{{#ffffff 최종성적}}}''' ||<-2>[[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40]] '''3전 1승 2패''' || || '''{{{#ffffff 선수성적}}}''' ||<-2>{{{#!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타자부분 ''' 【최다 타수】 [[이정후]](13타수) 【최다 안타】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4안타) 【최다 홈런】 [[김하성]](1홈런) 【최다 타점】 [[하주석]], [[이정후]](3타점) 【최다 득점】 [[김하성]](2점) 【최다 도루】 - ---- '''투수부분''' 【최다 출전】 [[박진형]], [[장필준]], [[김윤동]], [[이민호(1993)|이민호]],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 (2경기) 【최다 이닝】 [[박진형]], [[장필준]] (2⅓이닝) 【최다 승리】 [[임기영]] (1승) 【최다 홀드】 [[박진형]] (2홀드) 【최다 세이브】 [[장필준]] (1세이브) 【최다 탈삼진】 [[임기영]](7K) }}} || ||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2006-2017).svg|width=20]]]] {{{-3 [[김인식호/2017년|{{{#09539d 2017년}}}]]}}}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width=20]]]] {{{-3 [[선동열호/2017년|{{{#09539d 2017년}}}]]}}}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야구|[[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23]]]] {{{-3 [[선동열호/2018년|{{{#09539d 2018년}}}]]}}} || ||
{{{#ffffff ''' 유니폼 컬러 ''' }}} || {{{#ffffff ''' 홈 ''' }}} || {{{#ffffff ''' 어웨이 ''' }}} || || {{{#1e2776 '''모자/헬멧'''}}} ||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svg|width=20]] ||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svg|width=20]] || || {{{#1e2776 '''상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518A 10%, #ffffff 10%, #ffffff 90%, #19518A 90%)" [[마제스틱|[[파일:마제스틱 로고 코발트 블루.svg|width=15&align=left]]]] [br][[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60&align=center]] [br][b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09539D 10%, #09539D 90%, #ffffff 90%)" [[마제스틱|[[파일:마제스틱 로고 화이트.svg|width=15&align=left]]]] [br][[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60&align=center]] [br][br]}}}|| || {{{#1e2776 '''하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518A 5%, #ffffff 5%, #ffffff 95%, #19518A 95%)" [br][[파일:흰색.png|width=30]][br][b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518A 5%, #ffffff 5%, #ffffff 95%, #19518A 95%)" [br][[파일:흰색.png|width=30]][br][br]}}}|| [목차] [clearfix] == 개요 == [[선동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참가한다. == 대회 준비 == === 감독 및 지도부 선임 === 2017년 7월 24일 KBO에서 [[선동열]] 전 [[KIA 타이거즈]] 감독을 새로운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하였다고 밝혔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108&aid=0002632201|##]] 이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전임 감독''' 선임이다.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803997.html#csidx8a499c2e0c8c1d2a3e15ba4910cf6d5|선동열, 야구 국가대표 초대 전임감독 됐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7240849864917|선동열, 한국 야구 첫 국가대표 전임 감독에 선임]] 선임 발표 직후 [[한국야구회관빌딩]]에서 가진 취임 기자회견에서 대표팀 최종 목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이라고 밝혔다.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126589|선동열 감독 "최종 목표는 올림픽."]] 2017년 8월 10일 KBO에서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회에 나설 한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코칭스태프 인선을 확정하였다.[[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636898|'투코 이강철-주루 이종범']] 임기는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부터 [[2020 도쿄 올림픽]]까지로, 약 4년 동안 대표팀을 맡게 된다. == 코칭스태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직책''' || '''등번호''' ||<-2> '''이름''' || '''소속''' || '''비고''' || || '''감독''' || '''90''' || [[선동열]] || SUN Dongyol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임 || || || '''투수 코치''' || '''71''' || [[이강철]] || LEE Kangchul || [[두산 베어스]] 수석코치 || || || '''투수 코치''' || '''72''' || [[정민철]] || JUNG Minchul || [[MBC SPORTS+]] 해설위원 || || || '''배터리 코치''' || '''92''' || [[진갑용]] || JIN Kabyong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코치 || || || '''타격 코치''' || '''88''' || [[김재현(1975)|김재현]] || KIM Jaehyun || [[SPOTV]] 해설위원 || || || '''내야 및[br]작전 코치''' || '''76''' || [[류지현(야구) |류지현]] || RYU Jihyun || [[LG 트윈스]] 수석코치 || || || '''외야 및[br]주루 코치''' || '''77''' || [[이종범]] || LEE Jongbeom || [[MBC SPORTS+]] 해설위원 || || }}} == 선수단 == 선동열호 1기가 참가하는 첫 대회는 2017년 11월 [[도쿄 돔]]에서 개최되는 제 1회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이며, 한국 · 일본 · 대만 3개국의 만 24세 이하 또는 프로 3년차 이하 선수들[* 나이 제한이 없는 와일드카드 3명 포함 가능]로 구성된 대표팀이 출전한다. ===# 예비 엔트리 #=== 2017년 8월 28일,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예비 엔트리 45명의 명단(와일드카드 3명 제외)을 발표했다. 이후 9월 25일, 부상을 당한 [[김재윤(야구선수)|김재윤]]과 [[최원태]] 대신 [[김재영(야구선수)|김재영]]과 [[김동엽(1990)|김동엽]]이 예비 엔트리에 등록되었으며[[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1&aid=0000778379|#]], 최종 엔트리를 발표한 10월 10일에는 부상으로 뛸 수 없는 [[최항(야구선수)|최항]]과 김동엽을 제외하고 [[김호령]]과 [[김성훈(1993)|김성훈]]이 등록되었다.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투타}}}''' || '''{{{#ffffff 소속팀}}}''' || '''{{{#ffffff 비고}}}'''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투타}}}''' || '''{{{#ffffff 소속팀}}}''' || '''{{{#ffffff 비고}}}''' || || [[김윤동]] || 투수 || 우투우타 || [[KIA 타이거즈]] || || [[김명신]] || 투수 || 우투우타 || [[두산 베어스]] || || || [[이민호(1993)|이민호]] || 투수 || 우투우타 || [[NC 다이노스]] || || [[장현식]] || 투수 || 우투우타 || [[NC 다이노스]] || || || [[박세웅(1995)|박세웅]] || 투수 || 우투우타 || [[롯데 자이언츠]] || || [[김원중(야구선수)|김원중]] || 투수 || 우투우타 || [[롯데 자이언츠]] || || || [[박진형]] || 투수 || 우투우타 || [[롯데 자이언츠]] || || [[김재영(야구선수)|김재영]] || 투수 || 우언우타 || [[한화 이글스]] || || || [[김대현(1997)|김대현]] || 투수 || 우투우타 || [[LG 트윈스]] || || [[장필준]] || 투수 || 우투우타 || [[삼성 라이온즈]] || || || [[심창민]] || 투수 || 우사우타 || [[삼성 라이온즈]] || [*A 성인 대표팀 경력 있음.] || [[김명찬]] || 투수 || 좌투좌타 || [[KIA 타이거즈]] || || || [[함덕주]] || 투수 || 좌투좌타 || [[두산 베어스]] || ||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 || 투수 || 좌투좌타 || [[NC 다이노스]] || || || [[김유영(야구선수)|김유영]] || 투수 || 좌투좌타 || [[롯데 자이언츠]] || || [[심재민]] || 투수 || 좌투우타 || [[kt wiz]] || || || [[임지섭]] || 투수 || 좌투좌타 || [[LG 트윈스]] || || [[임기영]] || 투수 || 우사우타 || [[KIA 타이거즈]] || || || [[한현희]] || 투수 || 우사우타 || [[넥센 히어로즈]] || [*A 성인 대표팀 경력 있음.] || [[김주한]] || 투수 || 우사우타 || [[SK 와이번스]] || || || [[장승현]] || 포수 || 우투우타 || [[두산베어스]] || || [[한승택]] || 포수 || 우투우타 || [[KIA 타이거즈]] || || || [[박광열]] || 포수 || 우투우타 || [[NC 다이노스]] || || [[주효상]] || 포수 || 우투좌타 || [[넥센 히어로즈]] || || || [[윤대영]] || 내야수 || 우투우타 || [[LG 트윈스]] || || [[최원준(1997)|최원준]] || 내야수 || 우투좌타 || [[KIA 타이거즈]] || || || [[김민혁(1996)|김민혁]] || 내야수 || 우투우타 || [[두산 베어스]] || || [[류지혁]] || 내야수 || 우투좌타 || [[두산 베어스]] || || ||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 || 내야수 || 우투좌타 || [[NC 다이노스]] || || [[김하성]] || 내야수 || 우투우타 || [[넥센 히어로즈]] || [*A 성인 대표팀 경력 있음.] || || [[김성훈(1993)|김성훈]] || 내야수 || 우투좌타 || [[삼성 라이온즈]] || || [[강승호]] || 내야수 || 우투우타 || [[LG 트윈스]] || || || [[하주석]] || 내야수 || 우투좌타 || [[한화 이글스]] || || [[정현(야구선수)|정현]] || 내야수 || 우투우타 || [[kt wiz]] || || || [[김호령]] || 외야수 || 우투우타 || [[KIA 타이거즈]] || || [[김성욱]] || 외야수 || 우투우타 || [[NC 다이노스]] || || || [[나경민]] || 외야수 || 좌투좌타 || [[롯데 자이언츠]] || || [[이정후]] || 외야수 || 우투좌타 || [[넥센 히어로즈]] || || || [[임병욱]] || 외야수 || 우투좌타 || [[넥센 히어로즈]] || || [[안익훈]] || 외야수 || 좌투좌타 || [[LG 트윈스]] || || || [[구자욱]] || 외야수 || 우투좌타 || [[삼성 라이온즈]] || || [[홍창기]] || 외야수 || 우투좌타 || [[경찰 야구단]] || || === 최종 엔트리 === ||<-12>
[[파일:2017 선동열호 단체 사진.jpg|width=6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등번호''' ||<-2> '''이름''' || '''소속''' || '''투타''' || '''비고''' || ||<-6> 투수 || || '''10''' || [[김대현(1997)|김대현]] || KIM Daehyun || [[LG 트윈스]] || [[우투우타]] || || || '''21''' || [[박세웅]] || PARK Sewoong || [[롯데 자이언츠]] || [[우투우타]] || || || '''26''' || [[장필준]] || JANG Piljoon || [[삼성 라이온즈]] || [[우투좌타]] || [*군필] || || '''27''' || [[장현식]] || JANG Hyunsik || [[NC 다이노스]] || [[우투우타]] || [*군필] || || '''28''' || [[김윤동]] || KIM Yundong || [[KIA 타이거즈]] || [[우투우타]] || [*군필] || || '''29''' || [[이민호(1993)|이민호]] || LEE Minho || [[NC 다이노스]] || [[우투우타]] || || || '''34''' || [[심재민]] || SHIM Jaemin || [[kt wiz]] || [[좌투우타]] || || || '''38''' || [[임기영]] || IM Giyeong || [[KIA 타이거즈]] || [[우투우타]] || [*군필] || || '''40''' || [[박진형]] || PARK Jinhyung || [[롯데 자이언츠]] || [[우투우타]] || || || '''46''' || [[김명신]] || KIM Myeongsin || [[두산 베어스]] || [[우투우타]] || || || '''59''' ||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 || KOO Changmo || [[NC 다이노스]] || [[좌투좌타]] || || || '''61''' || [[함덕주]] || HAM Deokju || [[두산 베어스]] || [[좌투좌타]] || || ||<-6> 포수 || || '''22''' || [[장승현]] || JANG Seunghyun || [[두산 베어스]] || [[우투우타]] || [*군필] || || '''42''' || [[한승택]] || HAN Seungtaek || [[KIA 타이거즈]] || [[우투우타]] || [*군필] || ||<-6> 내야수 || || '''1''' || [[김하성]] || KIM Haseong || [[넥센 히어로즈]] || [[우투우타]] || [*A ] || || '''2''' || [[박민우]] || PARK Minwoo || [[NC 다이노스]] || [[우투좌타]] || || || '''6''' || [[최원준(1997)|최원준]] || CHOI Wonjun || [[KIA 타이거즈]] || [[우투좌타]] || || || '''7''' || [[정현(야구선수)|정현]] || JUNG Hyun || [[kt wiz]] || [[우투우타]] || [*군필] || || '''8''' || [[류지혁]] || RYU Jihyuk || [[두산 베어스]] || [[우투좌타]] || [*군필] || || '''16''' || [[하주석]] || HA Jusuk || [[한화 이글스]] || [[우투좌타]] || [*군필] || ||<-6> 외야수 || || '''15''' || [[안익훈]] || AHN Ikhoon || [[LG 트윈스]] || [[좌투좌타]] || || || '''23''' || [[나경민]] || NA Kyungmin || [[롯데 자이언츠]] || [[좌투좌타]] || [*군필] || || '''31''' || [[김성욱]] || KIM Seonguk || [[NC 다이노스]] || [[우투우타]] || || || '''36''' || [[구자욱]] || KOO Jawook || [[삼성 라이온즈]] || [[우투좌타]] || [*군필] || || '''41''' || [[이정후]] || LEE Junghoo || [[넥센 히어로즈]] || [[우투좌타]] || || }}} * 10월 10일 최종 엔트리 25명을 발표했다. 와일드카드를 선발하지 않았는데, 성적보다는 미래를 위한 선수 육성 차원인 듯 하다.[* 대만은 와일드카드로 즉시전력이 될 만한 선수를 최대한 선발하여 성적을 겨냥했고, 일본은 국가대표 경험이 없고 제한 나이에서 1~2세 정도 많은 25~26세 정도의 선수들을 뽑아 한국과 비슷하게 국제전 경험 축적을 겨냥하는 모양새이다.] * [[김하성]]을 제외한 모든 인원이 성인 대표팀에 첫 발탁되었다. * 각 팀별로 KIA 타이거즈 4명, 두산 베어스 4명[* 경찰 야구단 소속의 [[장승현]] 포함], 롯데 자이언츠 3명, NC 다이노스 5명, SK 와이번스 0명[* 우타거포 부족으로 선발이 유력했던 김동엽이 부상으로 탈락한 탓이 크다. 심지어 부상 때문에 최항도 같이 예비 엔트리에도 말소되면서 42인에 남은 SK 선수는 후반기를 망친 김주한 한 명뿐... 대신 SK는 [[http://v.sports.media.daum.net/v/20171114153725326|불펜포수 한 명을 현장스텝으로 파견]]보냈다.], LG 트윈스 2명, 넥센 히어로즈 2명, 한화 이글스 1명, 삼성 라이온즈 2명, kt wiz 2명이 선발되었다. 또한 군 복무를 완료한 군필 선수는 11명이 선발되었다. * 팀별 차출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팀 || 이름 || 합계 || || KIA || 김윤동 임기영 한승택 최원준 || '''4''' || || 두산 || 김명신 함덕주 장승현 류지혁 || '''4''' || || 롯데 || 박세웅 박진형 나경민 || '''3''' || || NC || 장현식 이민호 구창모 박민우 김성욱 || '''5''' || || SK || || 0 || || LG || 김대현 안익훈 || '''2''' || || 넥센 || 김하성 이정후 || '''2''' || || 한화 || 하주석 || '''1''' || || 삼성 || 장필준 구자욱 || '''2''' || || kt || 심재민 정현 || '''2''' || || 합계 || - || '''25''' ||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 일정 === 2017년 11월 1일,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대표팀 공식 일정을 발표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09651346|##]] * 4일 대표팀 소집 및 선수단 오리엔테이션 * 5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잠실구장과 고척 스카이돔에서 훈련 및 연습경기 * 8일과 10일에 넥센 히어로즈와 두 차례 연습경기, 12일에는 경찰야구단과 연습경기 * 14일 김포공항을 통해 출국 * 15일 도쿄돔에서 공식 연습 및 한국, 일본, 대만 감독의 기자회견 * 16일 일본전, 17일 대만전의 예선전 예정 * 예선 1, 2위에 오를시 18일 휴식 후 19일 결승전 * 20일 귀국 === 연습경기 === 전 경기 모두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나 [[MBC SPORTS+|MBC 스포츠 플러스]]를 통해 연습경기 전경기 중계되었다. 넥센과의 1~2차전은 현장제작을 맡았다. 또한 [[SPOTV]]에서는 넥센과의 연습경기 2차전과 경찰야구단과의 연습경기를 중계했으며 경찰야구단과의 연습경기는 현장 제작했다. ==== vs [[화성 히어로즈]] 1경기 ==== ||<-15> {{{#ffffff '''연습경기 11월 8일, 13:00, 고척 스카이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ffffff '''NEX'''}}} || '''[[박세웅(1995)|박세웅]]''' || 1 || 0 || 0 || 1 || 0 || 1 || 0 || 3 || 0 || '''6''' || 0 || 0 || || {{{#ffffff '''KOR'''}}} || '''[[김대현(1997)|김대현]]''' || 1 || 0 || 0 || 1 || 0 || 0 || 0 || 0 || 0 || '''2''' || 0 || 0 || 해설은 [[양준혁]] 해설위원. 중계는 [[한명재]] 캐스터 보통 [[상무 야구단]]이나 [[경찰 야구단]]이 스파링 파트너를 맡아주나, 마침 넥센이 NC와 함께 일본으로 떠나지 않고 국내에서 마무리 캠프를 소화하고 있기에 스파링 파트너로 참여했다. 넥센 선수단은 전술한대로 1군보다는 2군인 [[화성 히어로즈]] 선수단을 중심으로 해서 팀을 꾸렸지만 지휘는 [[장정석]] 감독과 [[심재학]] 수석코치를 비롯한 1군 코칭스태프가 맡았다. 연습경기 이기 때문에 박세웅이 넥센 선발로 대표팀 타선을 상대하며 대표팀의 포수인 [[한승택]]도 박세웅의 공을 받기 위해 넥센 쪽에서 뛰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들은 원래 넥센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넥센 유니폼이 아닌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원정 유니폼을 입었다. 4회초 [[김성택(야구)|김성택]]으로 교체되면서 박세웅과 한승택 둘다 내려가며 히어로즈의 투수와 포수가 히어로즈의 타자를 상대하는 내전(...)이 펼쳐지기도 했다, 박민우가 임병욱의 도루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다리가 스파이크에 찍히는 바람에 3바늘을 꿰멘 불상사도 나왔다. 다행히 부상 정도가 심하지는 않다고. ~~그리고 교체된 박민우는 덕아웃에서 대표팀 막내인 이정후와 후로게이 행각을 벌였다. OMG!!~~ 어쨌든 결과는 비시즌 여포(...) [[강지광]]의 결승포에 더불어 경기 후반 등판한 [[김명신]]에게 연속안타로 3실점을 인긴 화성 히어로즈의 6:2 승리. 상술했듯 선수들이 마구 섞였기 때문에 승패결과에 연연할 필요는 없지만 국대의 1선발인 박세웅과 허리를 맡아주어야할 김명신이 난타당한게 조금 골치아프다. 또 1군급 선수들을 상대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준 화성 히어로즈 팀이 언론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화성 히어로즈의 타격 시위는 덤이었다.~~ 국가대표 팀에서는 김대현이 3이닝 1실점으로 무난한 피칭을 선보였으며, 타자 중에선 이정후(3안타)와 안익훈(2안타 1보살)이 눈에 띄었다. ==== vs [[화성 히어로즈]] 2경기 ==== ||<-15> {{{#ffffff '''연습경기 11월 10일, 13:00, 고척 스카이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ffffff '''KOR'''}}} || '''[[심재민]]''' || 0 || 2 || 0 || 0 || 0 || 2 || 0 || 0 || 0 || '''4''' || 0 || 0 || || {{{#ffffff '''NEX'''}}} || '''[[임기영]]''' || 0 || 0 || 1 || 0 || 0 || 1 || 0 || 0 || 0 || '''2''' || 0 || 0 || 현장중계는 [[김수환(아나운서)|김수환]] 캐스터와 ~~빵형~~[[박재홍(야구)|박재홍]] 해설위원이 맡았으며 [[SPOTV]]에서는 한재웅 캐스터와 [[김경기]] 해설위원이 오프튜브로 중계했다. 이번 경기는 아예 양팀 모두 대표팀 투수들만 나왔고 나경민의 더블스틸 득점이 결승점이 되어 대표팀이 승리를 거두었다. 젊은 선수들의 빠른 발을 활용한 발야구가 돋보였지만 투수들의 사사구 남발은 골칫거리로 남았다. 이날 경기를 포함한 2경기서 20안타를 치며 컨택은 문제가 없단걸 보여줬지만 문제는 이중 장타가 단 '''3개'''(2루타 2개, 3루타 1개) 뿐이다. 최종 명단 발표 이후 장타를 쳐줄 해결사가 부족하단 평가를 받았는데 연습경기서 이를 여실히 보여줬다. 선동열 감독이 점찍어뒀던 우타거포 김동엽이 부상으로 빠진게 다시 한번 아쉬운 상황이다. ==== vs [[경찰 야구단]] ==== ||<-15> {{{#ffffff '''연습경기 11월 12일, 18:00, 고척 스카이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ffffff '''KOR'''}}} || '''[[박세웅(1995)|박세웅]]''' || 4 || 0 || 0 || 0 || 0 || 0 || 0 || 1 || 0 || '''5''' || 11 || 2 || || {{{#10298f '''POL'''}}} || '''[[김대현(1997)|김대현]]''' || 0 || 0 || 0 || 0 || 0 || 3 || 0 || 0 || 0 || '''3''' || 7 || 1 || 이날은 [[SPOTV]]에서 현장 제작을 하고 [[MBC SPORTS+]]에서는 오프튜브로 방송되었다. 중계는 SPOTV는 한재웅 캐스터와 [[김경기]] 해설위원, MBC SPORTS+에서는 [[정용검]] 캐스터와 [[차명석]] 해설위원이 진행했다.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가 3이닝 2피안타 3K 무실점으로 빼어난 피칭을 선보이며 기대감을 갖게 했다. 여담이지만 경찰 야구단은 선수가 부족했던 관계[* 입영이 12월에 이뤄진다. 이 때문에 이 시점에는 선수의 수가 적었다고.]로 넥센에서 선수를 빌려와서 경기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허정협]], [[김재현(1993)|김재현]]과 같은 선수 몇몇이 넥센 유니폼을 입고 경찰 야구단과 함께 경기를 할 정도. ~~결국 얘들은 3경기 다 뛰었다.~~ === 본경기 === *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선동열호/2017 아시안 프로야구 챔피언십/1경기]] * [[선동열호/2017 아시안 프로야구 챔피언십/결승전]] == 개인기록 == === 타자 === ||<-1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9539D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이름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도루 || 삼진 || 4구 || 상세 || || [[장승현]] || 1 || 0 || 0 || 0 || 0 || 0 || 0 || 0 || 0.000 || 0.000 || 0.000 || 0.000 || 0 || 0 || 0 || || || [[한승택]] || 3 || 9 || 2 || 0 || 0 || 0 || 0 || 0 || 0.222 || 0.300 || 0.222 || 0.522 || 0 || 2 || 1 || || || [[최원준(1997)|최원준]] || 3 || 8 || 1 || 0 || 0 || 0 || 0 || 1 || 0.125 || 0.222 || 0.125 || 0.347 || 0 || 1 || 1 || || || [[류지혁]] || 3 || 4 || 2 || 1 || 0 || 0 || 1 || 1 || 0.500 || 0.600 || 0.750 || 1.350 || 0 || 2 || 1 || || ||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 || 3 || 10 || 4 || 0 || 0 || 0 || 0 || 1 || 0.400 || 0.538 || 0.400 || 0.938 || 0 || 0 || 3 || || || [[김하성]] || 3 || 11 || 3 || 1 || 0 || 1 || 1 || 2 || 0.272 || 0.385 || 0.636 || 1.021 || 0 || 3 || 2 || || || [[하주석]] || 3 || 10 || 2 || 1 || 0 || 0 || 3 || 0 || 0.200 || 0.182[* 특이하게도 희생플라이가 있어서 출루율이 타율보다 낮다] || 0.300 || 0.482 || 0 || 3 || 0 || || || [[정현(야구선수)|정현]] || 3 || 7 || 1 || 0 || 0 || 0 || 0 || 1 || 0.143 || 0.400 || 0.143 || 0.543 || 0 || 2 || 3 || || || [[구자욱]] || 3 || 12 || 0 || 0 || 0 || 0 || 0 || 0 || 0.000 || 0.077 || 0.000 || 0.077 || 0 || 4 || 1 || || || [[이정후]] || 3 || 13 || 2 || 1 || 1 || 0 || 3 || 0 || 0.154 || 0.214 || 0.385 || 0.599 || 0 || 1 || 1 || || || [[김성욱]] || 3 || 5 || 0 || 0 || 0 || 0 || 0 || 1[* 출루율이 0인데 왜 득점이 있냐면, 승부치기 때 주자로 나갔기 때문...] || 0.000 || 0.000 || 0.000 || 0.000 || 0 || 2 || 0 || || || [[나경민]] || 1 || 0 || 0 || 0 || 0 || 0 || 0 || 0 || 0.000 || 0.000 || 0.000 || 0.000 || 0 || 0 || 0 || || || [[안익훈]] || 3 || 6 || 0 || 0 || 0 || 0 || 0 || 1 || 0.000 || 0.143 || 0.000 || 0.143 || 0 || 0 || 1 || || === 투수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9539D 25%)"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이름 ||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삼진 || || [[임기영]] || 1 || 1 || 7 || 0.00 || 1 || 0 || 0 || 0 || 2 || 0 || 0 || 0 || 3 || 7 || || [[장현식]] || 1 || 1 || 5 || 0.00 || 0 || 0 || 0 || 0 || 4 || 0 || 1 || 0 || 2 || 2 || || [[박세웅(1995)|박세웅]] || 1 || 1 || 3 || 3.00 || 0 || 1 || 0 || 0 || 3 || 0 || 1 || 1 || 3 || 4 || || [[박진형]] || 2 || 0 || 2⅓ || 0.00 || 0 || 0 || 2 || 0 || 1 || 0 || 0 || 0 || 1 || 1 || || [[장필준]] || 2 || 0 || 2⅓ || 0.00 || 0 || 0 || 1 || 1 || 2 || 0 || 0 || 0 || 0 || 6 || || [[김윤동]] || 2 || 0 || 1⅓ || 13.50 || 0 || 0 || 0 || 0 || 3 || 0 || 2 || 2 || 3 || 3 || || [[이민호(1993)|이민호]] || 2 || 0 || 1⅓ || 13.50 || 0 || 1 || 0 || 0 || 3 || 1 || 2 || 2 || 0 || 1 || ||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 || 2 || 0 || 1⅓ || 13.50 || 0 || 0 || 0 || 0 || 2 || 1 || 2 || 2 || 0 || 1 || || [[김대현(1997)|김대현]] || 1 || 0 || 1 || 18.00 || 0 || 0 || 0 || 0 || 3 || 0 || 2 || 2 || 2 || 1 || || [[함덕주]] || 1 || 0 || ⅔ || 13.50 || 0 || 0 || 0 || 0 || 1 || 1 || 3[* 승부치기 주자 2명 포함] || 1 || 1 || 0 || || [[심재민]] || 1 || 0 || ⅔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 [[김명신]] || 1 || 0 || ⅓ || 27.00 || 0 || 0 || 0 || 0 || 1 || 0 || 2 || 2 || 1 || 0 || == 여담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출전한 선수 25명이 박수를 받아야 할 진짜 이유가 이 문장에 담겨 있다. '팀'으로 하나가 되고 '태극마크'에 대한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이번 대표팀이 진짜 '국가대표'다.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241&aid=0002730533&redirect=false|매일 아침 선수들을 일으킨 한 마디 "여러분이 국가대표다"]] * 향후 한국 야구를 이끌 유망주들로 구성된 첫 국제대회였는데, 대회 결과와 무관하게 열성적으로 경기에 임한 선수들의 모습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664460&redirect=false|달라진 대표팀, '짝다리 실웃음' No '열정 투지' Yes]] 특히 같은 해 초, [[2017 WBC]]에서 현재 기준으로 최고 선수들로 구성된 국가대표팀의 무성의한 모습과 대비되는 모습이어서 더욱 호평을 받았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선동열호]] [[분류:선동열호]][[분류: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