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성홍열}}}[br][[猩]][[紅]][[熱]][br]Scarlet fever}}}''' || || '''{{{#ffffff 이명}}}''' ||Scarlatina || || '''{{{#ffffff 국제질병분류기호[br]{{{-1 ([[ICD-10]])}}}}}}''' ||[[https://icd.who.int/browse10/2019/en#/A38|A38]] || || '''{{{#ffffff 의학주제표목[br]{{{-1 (MeSH)}}}}}}''' ||[[https://id.nlm.nih.gov/mesh/D012541.html|D012541]] || || '''{{{#ffffff 진료과}}}''' ||[[소아청소년과]] || || '''{{{#ffffff 질병 원인}}}'''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 || || '''{{{#ffffff 관련 증상}}}''' ||[[발진]], [[발열]]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포(sandpaper) 같은 느낌의 광범위한 홍반성 [[발진]](diffuse, erythematous rash)이 특징적인 [[질병]]. '성홍열'이라는 이름의 유래도 발진으로 인해 변한 피부색이 성성이([[오랑우탄]]) 같이 붉어진다는 점에서 유래했다. == 원인 == GABHS 박테리아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중 외소독(pyogenic exotoxin)을 생산하는 ABC 형이 원인이다. 3가지 형의 박테리아로 발생하기 때문에, 한 번 성홍열에 노출이 되더라도 다른 형에 의해 재감염 될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평생 최대 3번의 성홍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증상 == 닭살 모양의 전신성 [[발진]]과 [[발열|고열]]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그 외에도 [[인후염]](pharyngitis), 구위창백(circumoral pallor), 팔꿈치나 사타구니 내측의 충혈선(Pastia's line)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혹 [[홍역]]과 혼동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성홍열은 홍역과 상대도 안 되는 전염병으로, 감염력과 치사율 모두 넘사벽으로 낮다. 치사율은 1% 미만으로 낮은 편이다. 주로 5~15세 사이의 아동이 감염되지만 성인도 감염될 수는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후염, version=59)] [[분류:세균성 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