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MBC 표준FM|[[파일:mbc-fm-gray.png|width=170]]]] {{{#FFF (종영)}}} || || 16:00 - 18:00 ||<|7> → || '''18:00 - 20:00''' ||<|7> → || 20:00 - 22:00 || || [[4시 뉴스#s-3.3]]/[[5시 뉴스#s-3.4]][*자체방송] || [[6시 뉴스#s-3.4]][*자체방송] || [[8시 뉴스#s-3.2]]/[[9시 뉴스#s-3]][*자체방송] || ||<|5> [[지금은 라디오 시대|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 시대]] || '''이승원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자체방송 일부 지역 자체 방송.] ||<|2> [[원더풀라디오]] 강수지입니다 || || 이윤석, 전영미의 [[좋은 주말]] 1, 2부[br](주말)[*자체방송] || || [[저녁앤뉴스]]/[[7시 뉴스#s-3]](주말) ||<|2> 이윤석, 전영미의 [[좋은 주말]] 5~7부(주말) || || '''이승원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자체방송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 이윤석, 전영미의 [[좋은 주말]] 3, 4부[br](주말)[*자체방송] || [[책을 듣다]](주말) || [include(틀:MBC 라디오/종영된 프로그램)] [[파일:이승원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jpg]] ||<-4>
{{{#ffffff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 ||<-2> {{{#ffffff '''방송사'''}}} ||<-2> [[MBC|[[파일:MBC 로고.svg|width=50]]]] || ||<-2> {{{#ffffff '''방송시간'''}}} || 평일 18:05~19:57 || [[MBC 표준FM|[[파일:mbc-fm.png|width=150]]]] || ||<-2> {{{#ffffff '''방송기간'''}}} ||<-2> 2003년 10월 20일 ~ 2020년 8월 14일 || ||<|2> {{{#ffffff '''제작진''' }}} || {{{#ffffff 연출}}} ||<-2> 박정언 || || {{{#ffffff 작가 }}} ||<-2> 이병관, 박세훈, 박경향 || ||<-2> {{{#ffffff '''진행'''}}} ||<-2> 이승원 || ||<-2> {{{#ffffff '''웹사이트'''}}} ||<-2> [[http://www.imbc.com/broad/radio/fm/worldnus/| [[파일:MBC 로고.svg|width=3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orldnus, 크기=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TTmtS2ljy1vyl_s-d_LEH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선집중'과 함께 2000년대 MBC 라디오를 대표하는 간판 시사 프로그램. [[MBC 표준FM]]에서 평일 오후 6시 5분~7시 57분까지 <특급작전[* 1993년 10월 11일부터 2003년 10월 19일까지 방송된 프로그램. 처음엔 [[이무송]], [[노사연]]이 1994년 4월 3일까지 맡았다가 후임으로 [[전유성]], [[정원관]]이 진행을 맡았고, 그 후 1995년 10월 8일 전유성이 하차하고 --말실수로 많은 레전드를 만들어낸-- [[김흥국]]과 [[박미선]]이 들어와 1999년 3월 28일까지 유지되었다가 박미선이 하차하고 [[정선희]]가 들어왔다가 2002년 9월 30일부로 양쪽 모두 하차, 이듬해 10월 19일까지 [[이상운]], [[금보라]]가 진행을 맡다가 종영했다.]>의 후속 프로로 방송되었다. 보이는 라디오로도 진행했다. 그간 코미디언 [[김미화]][*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의 초대 진행자이자 현재까지도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역대 MC 중 대표적인 인물. 당시 한재희 PD에 의하면 [[한나라당]] 및 이우용 라디오본부장, 방송 탄압세력으로부터 압력이 심하게 들어왔다고 한다.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61057|PD저널 기사]] 시사프로그램의 검열이 심각했던 시기라 음악, 오락, 교양 프로그램에도 영향이 갔다고.], 통역사 겸 배우 배유정, 김창옥 前 아나운서, 왕상한 교수[* [[서강대학교]] 교수. [[미디어오늘]]에서 2016년 백종문 전 부사장 녹취록을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7716|공개]]했는데, 왕상한 교수는 백종문 등 관계자가 자신의 이름을 언급한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상철 논설위원, 김동환 경제칼럼니스트, [[박지훈(1976)|박지훈]] 변호사 등이 이 프로그램의 진행자를 거쳐갔으며, 마지막 진행자는 이승원 시사평론가[* 과거 이름은 이숙현이었으며, [[이데일리]] 기자 및 [[SBS CNBC]]의 '용감한 토크쇼 직설' 진행자 출신. [[시사전망대]], [[김어준의 블랙하우스]]에도 나와서 [[SBS]] 성골로 분류되기도 한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워싱턴 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과정 재학중이다. [[한국정책방송원]]에서 북한 전문 프로그램 '여러분의 북마크'에 나와서 [[조선중앙TV]]를 리뷰하기도 한다. --[[김용민의 측면승부|타사 방송]]에선 시사평론계의 사고친 사람 및 팜므[[파산]]이라고 한다. [[심석희]] 선수를 닮았다--][* 번역서도 있는데, 미국 정치학자 피터 스와이저의 '정치는 어떻게 속이는가'를 번역하기도 했다. --술먹고 번역을 결정했다가 후회했다고...--]. [[김재철(언론인)|김재철]], [[안광한]], 김장겸 사장 시절에는 제목을 '세계는 우리는'이라고 썼다. 2020년 3월 30일 개편에 따라 2부와 3부 사이에 방송되던 [[MBC 뉴스포커스]]가 폐지되면서 방영 시간이 20분 늘어났다. 대신 4부 시작 이후 코너를 잠시 진행하다 시간 맞춰 15분간 [[MBC 뉴스데스크]]를 그대로 수중계한뒤 광고 → 클로징으로 넘어갔다. 다만, 4부 코너가 길어지면 수중계를 하지 않았다.[* 이런 액자식 편성은 [[SBS 러브FM]]에서 2017년 2월까지 시행된 적이 있었다. 당시 프로그램은 [[시사전망대]]([[모닝와이드]]). 차이점이라면 이쪽은 프로그램 초반부에 편성되었다는 것. ] 이후 2020년 6월 29일부터 [[MBC 뉴스데스크]]의 시간대가 늦춰지고 [[7시 뉴스#s-3]]가 평일까지 확대되면서 방영 시간이 10분 줄어들었다. 2020년 여름 부분개편으로 이승원 시사평론가의 하차[* 이후 3개월만에 동시간대 [[TBS]] 시사 프로그램 DJ로 복귀.]와 함께 16년간의 역사를 뒤로 하고 종영되었다. 후속 프로그램으로 표창원 전 의원(현 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 소장)이 진행하는 [[뉴스 하이킥]]이 2020년 8월 17일부터 방송에 들어갔다. == 이야깃거리 == [[유튜브]]로도 방송 컷본 및 라이브 스트리밍을 올려주고 있는데, MBC의 특징인 초고화질 [[보이는 라디오]]로 인하여 --MC인 이승원을 제외하고-- 출연진들 피부상태가 안 좋은 게 드러난다(...). --이게 [[IDOL RADIO]]였다면 은혜로운데 시사프로라-- 이승원 시사평론가의 목소리와 딕션이 [[아나운서]]를 연상케 하며, 발음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그리고 제작진의 음악선곡 취향 때문인지 아이돌 노래가 은근히 자주 나온다. 2019년 들어서는 [[방탄소년단]] 노래도 틀어주는 편. 문자 및 시청자의견이 채택되면 커피쿠폰을 준다. --[[황현희]]는 우리에게도 좀 달라고 했다-- == 코너 == * 매일코너 * 7분뉴스 - 성장경 MBC 기자가 출연해 그날의 이슈를 요약했다. * 선 넘는 뉴스 - 임상훈 인문결연구소장이 출연해 해외 뉴스를 요약했다. * 이슈 인터뷰 - 화제의 인물을 초청하는 인터뷰 코너였다. * 요일코너 * 월요일 * 국회인싸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의동]] [[미래통합당]] 의원, 김수민 시사평론가가 출연했던 정치 토크. * 화요일 * 신장개업 법률사무소 - [[신유진]] 변호사와 [[장진영(1971)|장진영]] 변호사가 출연했던 법률 이야기. * 주간 김복준 -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이 출연해 사건의 진실을 파헤쳤다. * 수요일 * 정치의 세계 - [[이정미(정치인)|이정미]] 전 [[정의당]] 원내대표, [[오신환]] 전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출연했던 정치 토크. * 경제포차 - 고란 조인디 기자[* 전 [[중앙일보]] 기자],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김학균 [[신영증권]] 센터장이 출연했던 탈세없는 경제이야기. * 목요일 * 대담대담 - 김완 [[한겨레]] 기자, 김형선 [[내일신문]] 기자가 출연했던 뉴스대담. * 여의도 여성시대 - 김진아 [[서울신문]] 기자, 장나래 한겨레 기자가 출연했던 정치권 뒷이야기. * 금요일 * 시사 NO.1 - [[MC장원]]과 정상근 미디어전문기자[* 전 [[미디어오늘]] 기자. 현재 프리랜서.]가 출연해 한 주 동안의 이슈를 정리했다. * 씨네 한 수 - 박혜은 더 스크린 편집장이 출연했던 영화 이야기. == 지역 자체 방송 == 대부분의 지방 MBC 계열사들은 지역 자체 방송을 내 보내고 있으며, [[부산문화방송]]에서는 2부만 방송되는데[* 한때 [[MBC경남]]에서도 2부를 중계했는데 도중에 기존 11시에 했던 자체방송을 7시로 옮김으로서 2부 수중계를 중단했다 이후 2021년 6월까지 이어지다 7월부터 [[뉴스 하이킥]]의 2부가 수중계된다 다만 [[NC 다이노스]] 홈 경기가 있으면 그때나 지금이나 방송되지 않는다.], [[롯데 자이언츠]] 홈 경기가 있는 날엔 2부마저 방송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만이 이 프로그램을 전 시간 방송하고 있다. 이 편성은 후속 프로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분류:MBC 라디오]][[분류:2003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0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