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세라 버렐리스}}}[* 국내 포털사이트에는 '바렐리스'로 표기되어 있지만 인터뷰 등에서 본인의 발음을 직접 들어보면 '버렐리스'에 가까우며 영문 위키백과에서도 about의 'a' 발음이라고 표시해놓았다.][br]Sara Bareilles'''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3Cjjxsk.jpg|width=100%]]}}} || || '''본명''' ||세라 베스 버렐리스[br]Sara Beth Bareilles|| ||<|2> '''출생''' ||[[1979년]] [[12월 7일]] ([age(1979-12-07)]세)|| ||[[캘리포니아 주]] [[유레카(도시)|유레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체''' ||165cm|| || '''학력''' ||[[UCLA]]|| || '''수상''' ||2020년 제62회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아메리칸 루츠 퍼포먼스[* Best American Roots Performance]|| || '''데뷔''' ||[[2007년]] 'Little Voice'[* 메이저 데뷔 기준]|| || '''링크''' ||[[http://www.sarabmusi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raBareilles,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sarabareill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가수. [[캘리포니아]] 주의 [[유레카(도시)|유레카]]에서 태어났으며, [[UCLA]]에서 Community studies를 전공했다. == 특징 == 주로 하는 음악은 피아노 선율을 기반으로 한 팝과 소울풍 음악. 데뷔 초기에는 차세대 [[노라 존스]] 등으로 불리며 비교되기도 했다.[* 두 사람은 1979년 생으로 동갑이다.] [[피아노]], [[기타]], [[우쿨렐레]]를 연주할 수 있으며 특이하고 시적인 표현으로 노랫말을 쓴다. 술집에서 노래 부르는 역할로 영화에 출연한 전적도 있고 [[30 Rock]]이나 립스틱 정글같은 드라마에 출연하기도 했다. == 음반 == === 정규 === ==== Careful Confessions ==== * 트랙 수: 11 * 발매: 2004년 1월 20일 * 배급: Tiny Bear Publishing ||'''Track'''||'''곡명'''|| ||1||Gravity|| ||2||Undertow|| ||3||Love on the Rocks|| ||4||Responsible|| ||5||One Sweet Love|| ||6||Fairytale|| ||7||Come Round Soon|| ||8||Inside Out|| ||9||City|| ||10||Red|| ||11||My Love|| 데뷔 앨범. 단, 메이저 데뷔는 아니다. 이 앨범에 실린 곡들 중 Gravity를 포함한 몇몇 곡들은 2집이자 메이저 데뷔인 Little Voice에 편곡되어 다시 실리게 된다. ==== Little Voice ==== * 트랙 수: 12[* 보너스 트랙 미포함] * 발매: 2007년 7월 3일 * 배급: Epic ||'''Track'''||'''곡명'''||'''비고'''|| ||1||Love Song||싱글 컷|| ||2||Vegas|| || ||3||Bottle It Up||싱글 컷|| ||4||One Sweet Love|| || ||5||Come Round Soon|| || ||6||Morningside|| || ||7||Between the Lines|| || ||8||Love on the Rocks|| || ||9||City|| || ||10||Many the Miles|| || ||11||Fairytale|| || ||12||Gravity||싱글 컷|| ||13||Any Way the Wind Blows||보너스 트랙(일본)|| 메이저 데뷔 앨범. Love Song은 [[아이튠즈]]에서 이 달의 무료 싱글로 1주일간 무료 배포되기도 했다. ==== Kaleidoscope Heart ==== * 트랙 수: 13[* 보너스 트랙 미포함] * 발매: 2010년 9월 7일 * 배급: Epic ||'''Track'''||'''곡명'''||'''비고'''|| ||1||Kaleidoscope Heart[* 인트로에 해당되는 1분짜리 짧은 곡이다.]|| || ||2||Uncharted||싱글 컷|| ||3||Gonna Get Over You||싱글 컷|| ||4||Hold My Heart|| || ||5||King of Anything||싱글 컷|| ||6||Say You're Sorry|| || ||7||The Light|| || ||8||Basket Case|| || ||9||Let the Rain|| || ||10||Machine Gun|| || ||11||Not Alone|| || ||12||Breathe Again|| || ||13||Bluebird|| || ||14||Carolina||보너스 트랙|| ||15||Love Song||Live ver, 보너스 트랙(영국, 일본)|| ==== The Blessed Unrest ==== * 트랙 수: 13[* 보너스 트랙 미포함] * 발매: 2013년 7월 12일 * 배급: Epic ||'''Track'''||'''곡명'''||'''비고'''|| ||1||Brave||싱글 컷|| ||2||Chasing the Sun|| || ||3||Hercules|| || ||4||Manhattan|| || ||5||Satellite Call|| || ||6||Little Black Dress|| || ||7||Cassiopeia|| || ||8||1000 Times|| || ||9||I Choose You||싱글 컷|| ||10||Eden|| || ||11||Islands|| || ||12||December|| || ||13||I Wanne Be Like Me||보너스 트랙(아이튠즈 스토어)|| ||13||Beautiful Girl||보너스 트랙(일본)|| ||13||Root Down||보너스 트랙(공식 홈페이지 선주문)|| ||14||Parking Lot||보너스 트랙(일본)|| ==== What's Inside: Songs from Waitress ==== * 트랙 수: 12 * 발매: 2015년 11월 6일 * 배급: Epic ||'''Track'''||'''곡명'''||'''비고'''|| ||1||What's Inside|| || ||2||Opening Up|| || ||3||Door Number Three|| || ||4||When He Sees Me|| || ||5||Soft Place to Land|| || ||6||Never Ever Getting Rid of Me|| || ||7||I Didn't Plan It|| || ||8||Bad Idea||[[제이슨 므라즈]] 피처링|| ||9||You Matter to Me||[[제이슨 므라즈]] 피처링|| ||10||She Used to Be Mine||싱글 컷|| ||11||Everything Changes|| || ||12||Lulu's Pie Song|| || 2007년작 아드리엔 셸리[* 영화에 주인공의 친구로 등장하기도 했던 그녀는 2006년에 불법체류 중인 노동자에게 살해당해 안타깝게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감독의 영화 웨이트리스를 바탕으로 한 동명의 뮤지컬의 넘버들을 작사작곡하는 작업에 참여하면서 낸 앨범이다. ==== Amidst the Chaos ==== * 트랙 수: 13 * 발매: 2019년 4월 5일 * 배급: Epic ||'''Track'''||'''곡명'''||'''비고'''|| ||1||Fire|| || ||2||No Such Thing|| || ||3||Armor|| || ||4||If I Can't Have You|| || ||5||Eyes On You|| || ||6||Miss Simone|| || ||7||Wicked Love|| || ||8||Orpheus|| || ||9||Poetry by Dead Men|| || ||10||Someone Who Loves Me||싱글 컷|| ||11||Saint Honesty||제62회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아메리칸 루츠 퍼포먼스 수상|| ||12||A Safe Place to Land||[[존 레전드]] 피터링|| ||13||Shiny||디지털 에디션|| === 싱글 === ||'''발매일'''||'''음반명'''|| ||2007||Love Song|| ||2008||Bottle It Up|| ||2009||Gravity|| ||2010||King of Anything|| ||2011||Uncharted|| ||2011||Gonna Get Over You|| ||2011||Love Is Christmas|| ||2012||Stay|| ||2013||Brave|| ||2014||I Choose You|| ||2015||She Used to Be Mine|| === EP === ||'''발매일'''||'''음반명'''||'''Track'''||'''곡명'''|| ||<|4>2010||<|4>Kaleidoscope Heart EP|| ||1||Gonna Get Over You|| ||2||Send Me the Moon|| ||3||King of Anything(String version)|| ||'''발매일'''||'''음반명'''||'''Track'''||'''곡명'''|| ||<|6>2012||<|6>Once Upon Another Time|| ||1||Once Upon Another Time|| ||2||Stay|| ||3||Lie to Me|| ||4||Sweet as Whole|| ||5||Bright Lights and Cityscapes|| == 여담 == 겉모습만 보면 상당히 예쁘장한 단아한 아가씨로 보이지만 콘서트나 평상시에는 욕쟁이 할머니라고 불러도 될정도로 욕도 잘하는 요조숙녀다. 이거때문에 약간의 갭모속성도 조금 있지만 상당히 털털하고 솔직한 아가씨라고 봐도 좋을듯. 음악의 성향, 가사 등등 때문인지 남성보다는 젊은여성팬층이 더욱 두터운 편이다. 가장 좋아하는 도시는 [[뉴욕시|뉴욕]]이라고 한다. 크리스마스 때에는 미국의 파티 막장 리얼리티인 Jersey Shore를 디스하면서 걸쭉한 크리스마스 캐롤을 부른 적이 있다. 자기도 보는데 웃겨죽느라 환장한다고 이야기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ONS7-q_65|여기서 보자]] 피아노는 독학으로 배웠다. 데뷔 초반에는 거의 모든 곡에서 피아노에 앉아있거나 키보드를 치며 서있는 모습에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요즘은 피아노도 치고, 기타에 우쿨렐레도 쳐서 자주 움직이는 등 팝뮤지션만 아닌 진짜 뮤지션으로서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Blessed Unrest 앨범 활동 종류 이후 영화 Waitress를 뮤지컬하는 작업에 착수, 뮤지컬에 들어간 모든 노래를 작사작곡 하였다. 그녀의 5집 'What's Inside: Songs from Waitress' 은 뮤지컬 Waitress에 음악을 자신의 스타일로 재해석해서 부른 앨범이다. 작업을 하면서 작곡한 노래들을 뮤지컬이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스타일로 재해석해서 부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다고 했다. 2017년 영화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 사운드트랙에 If I Dare란 곡으로 참여했다. 영화도 호평이고, 곡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다. Brave란 곡과 [[케이티 페리]]의 [[Roar]]란 곡과 표절 시비가 일어났으나 유튜브에 Roar의 가이드 버전이 훨씬 이전에 녹음된게 밝혀지자 일단락 되고 Brave의 순위만 높여주었다. 'Brave'로 그래미 어워드 'Pop solo'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나, 그해 최고 히트곡이었던 'Lorde'의 'Royal'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국내에서는 1집 수록곡 'Gravity'를 예능 등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효리네 민박 시즌1에서는 아이유가 숙소에서 따라 부르기도 하고, KPOP STAR 시즌4에서는 전소현이 경연곡으로 부르기도 했다. [[https://youtube.com/watch?v=W7L-yAdxHqo&si=EnSIkaIECMiOmarE|유튜브링크]] 그녀의 곡 Saint Honesty가 2020년 제62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아메리칸 루츠 퍼포먼스 수상을 했다. 영화 '위대한 쇼맨' OST를 가수들이 부른 앨범인 'The Greatest Showman: Reimagined'에서 'Tightrope'를 불렀다. 상술했듯, 장난기가 많은 성격이라 콘서트 중간에 부른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의 메인 테마곡인 'Part of the world'를 불렀는데 이 영향인지 이후 디즈니 공식 콘서트에서 아리엘 분장을 하고 해당 곡을 불렀다! [[https://youtu.be/9Z9BQLokU7M|Part of the world reprise]] == 관련 문서 == * [[싱어송라이터]] [[분류:미국 여가수]][[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79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유레카(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UCLA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