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츠나 트립)] [목차] == 개요 및 상세 == 사운드 볼텍스를 시작으로 리플렉 비트, 팝픈뮤직, 기타도라, 미라이다갓키, 유비트, 댄스 댄스 레볼루션, 태고의 달인, 펌프 잇 업 등에 수록되었다. --보컬로이드판 [[사골]]-- 2016년 6월 기준으로 가동중인 리듬게임 중 총 '''13기종''' 수록이 된다. 2019년 2월 기준 [[투덱]]과 [[댄스러시]]에만 수록되면 [[BEMANI 시리즈/그랜드슬램|현역으로 가동 중인 모든]] [[BEMANI|BEMANI 시리즈]]에 이 곡이 수록되게 된다. 하지만 각 기종마다 수록된 부분이 다르다. 심지어는 [[코나미|같은 회사]]인 BEMANI 시리즈에서도 컷팅이 셋으로 나뉜다. * [[BEMANI|BEMANI 시리즈]]: 리플렉 비트 플러스와 노스텔지어를 제외한 모든 [[BEMANI|BEMANI 시리즈]]에 수록된 버전. 느린 전주 없이 본 전주로 시작한 후 1절이 "스텝은 애매하게~"로 시작하며 후렴구의 "철회는 하지 않아" 부터 "노력한 만큼 손해야"로 점프, 기타 솔로가 끝난 뒤[* 초기에는 기타 솔로 마지막 마디 끝에 여린내기로 들어있던 わか가 끼어들어가서 '눈을 떠' 부분이 '와카메오 사마세', 즉 '미역을 식혀'(...)가 되어버렸다. [[https://www.youtube.com/watch?v=ULKVwuBzE8w|당시 NOFX 음원]](해당 부분은 1:20) 2014년 8월경 '와카' 부분을 삭제하는 조치가 가해졌다.], "눈을 떠, 순간 여행"으로 바로 넘어간뒤 곡 종료. * [[태고의 달인 시리즈]] 가정용, [[그루브 코스터]]: 사운드 볼텍스판에 기타 솔로 뒷부분을 생략하지 않은 버전. 둘에도 차이가 있는데 전주가 끝날 때 빰빰빰빰빰이 들어가느냐 안들어가느냐다. 들어간 쪽이 그루브 코스터 커팅. * [[maimai 시리즈]], [[펌프 잇 업]], [[노스텔지어]]: 느린 전주부터 시작해서 1절만 하고 끝. * [[리플렉 비트 플러스]]: 구성은 느린 전주로 시작해 1절의 "발사 All Right, 미래!"까지 한 후 기타솔로 후의 "변명이란 건 알고 있어."까지 스킵한후 끝. * [[CHUNITHM]]: 해당 기종이 전반적으로 타 기종에 비해서 길게 컷팅되는 편인데, 여기서도 가장 시간이 길다. 구성은 느린 전주+본 전주(마이마이 커팅판)+1절의 "스텝은 애매하게~"+기타솔로(사볼 커팅판)+"변명이란 건 알고 있어."후 커팅 없이 종료.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1절은 그대로. 그 다음엔 1절 후렴구 부분에 풀버전 후렴구를 약간 추가했고 풀버전 후렴구에서 바로 기타 솔로 연주로 넘어간 다음 기타 솔로 끝날때 종료. 영상이 영상인지라 BGA도 처음 실린 [[GITADORA 시리즈]]에서 [[https://twitter.com/ocino/status/394635755479240704/photo/1|PV를 곡 컷팅에 맞춰 편집한 채 그대로 때려박아(...)]] 유저들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었다. [[댄스 댄스 레볼루션]], [[maimai GreeN]], [[펌프 잇 업]]에서도 컷팅에 맞춘 BGA를 실었다. == [[사운드 볼텍스]] == [youtube(J_iqAyjII3s, width=640, height=360)]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HEAVENLY || || 자켓 || [[파일:Last Note. 세츠나 트립 sdvx.jpg|width=150]] || [[파일:Last Note. 세츠나 트립 sdvx.jpg|width=150]] || [[파일:Last Note. 세츠나 트립 sdvx.jpg|width=150]] || [[파일:Last Note. 세츠나 트립 sdvx.jpg|width=150]] || || 레벨 || 04 || 10 || 15 || 17 || || 체인 수 || 0468 || 0800 || 1132[* 처음에 나왔을 때는 1134체인이었으나 2012년 말에 [[https://twitter.com/logicman_/status/277466326224744448|잠수함 패치]]로 체인수가 바뀌었다. 위 영상은 변경 전에 촬영한 것. 채보 변동이 없기 때문에 체인 계산 방법의 변경으로 추정된다. BOOTH와 II에서 체인수가 다른 패턴은 이 패턴과 [[croiX]] EXH 뿐이다.] || 1381 || || 일러스트 담당 ||<-4> のん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Sammy/A || [[PHQUASE]] || || 수록 시기 ||<-3> {{{#084fc5,#136dff BOOTH 10(2012.8.24)}}} || {{{#17a4ff IV 01(2016.12.21)}}} || || [[BPM]] ||<-4> 145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7(2013.10.4 ~ 2013.12.6, 2014.4.4 ~ 2014.5.1), KAC 2013 E그룹(2013.10.31 ~ 2013.11.25), 무우주(武宇主) 매운맛 *[[블래스터 게이트|BLASTER GATE]] || 2016/12/21 || HEAVENLY 보면 추가 || [youtube(afhXw4EOUBY, width=420, height=600)] EXH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아~ 모-옷~ 기타 이후의 계단폭타와 가사가 시작되기전의 '''난감한 동시치기'''와 숏노트의 조합은 손배치를 익히지않으면 TRACK CHASH를 겪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난감한 동시치기 순서는 위 영상 기준 1:33부터 CD-AB 2회→BC-AB 2회→CD-AB 2회→CD-BC 2회이다. 손이 꼬이는 데다 어지간하면 밀리기 딱 좋은 채보. 덕분에 서바이벌 게이지인 스킬 애널라이저에서 이 부분때문에 --TRACK CRASH--7단 난민이 되기도 한다.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2012|KAC 2012]] 사운드 볼텍스 1차 과제곡, 다음해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2013|KAC 2013]]에서도 사운드 볼텍스 예선 E그룹에 선정되었다. 클리어 레이트가 대략 76%정도로 클리어 레이트는 낮은 편이지만 스코어링 난이도가 정말 낮아서 이 곡을 스코어링할 수준이 되었다면 점수 뽑기는 굉장히 쉬운 편이다. [youtube(M2m2-2at5CM, width=420, height=600)] HVN 손배치 포함 PERFECT영상 HVN패턴은 EXH의 패턴을 전체적으로 강화시킨 패턴. 사운드 볼텍스4에서 추가된 신요소를 적절히 사용했다. 후살에 집중되어 있던 겹계단이 곡 전체에 퍼져서 등장한다. 이때 FX롱노트와 섞여서 나오므로 손이 훨씬 바쁘다. 두차례 반대쪽에서 등장하는 노브꺾기에 당황할수 있으니 대비해두는게 좋다. 또 '세츠나 트립'이란 가사가 나올 때 EXH처럼 직각노브를 돌리는 것이지만 노브가 훨씬 복잡하게 변형되었으므로 주의해서 돌려야한다. 중반부 원핸드는 A - AC-BD 혹은 D-BD-AC형식으로 손을 빠르게 움직여 주지 않으면 에러가 날 수 있다. 후살은 EXH와 비슷하게 24비트 폭타로 무장. 겹계단 대신 BT와 FX 숏노트를 반복해서 처리하는 패턴이 되어서 패턴 숙지가 중요해졌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리플렉 비트 플러스]] === [youtube(GceZYcF6xaA, width=640, height=360)] AR 99.0% 풀콤보 영상 ||<-4>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45 || BASIC || MEDIUM || HARD || || 2 || 6 || 10 || || 오브젝트 || || || 478 || || 수록버전 ||<-3><#ee82ee> [[리플렉 비트 플러스|{{{#373a3c 리플렉 비트 플러스}}}]]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3> [[EXIT TUNES]] PACK || [[사운드 볼텍스 부스]]와 다르게 커팅이 되었는데, 아~ 모-옷~ 기타와 그 후의 기타 솔로 부분이 사라지고, 초반부가 추가되었다. 더 간단히 얘기하면 풀버전에서 중반이 통째로 커팅되었다. [[리플렉 비트]]에 수록된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과 비슷하게 이 곡도 곡의 커팅이 영 아니다라는 평이 많다. 곡의 대다수가 트릴이라서 판정 뽑기가 상당히 어렵다. 특히 위 영상 기준으로 1분 40초의 [[イミテーション語ル死ス]]를 연상케하는 매우 긴 트릴도 나온다. === 아케이드 === [youtube(4yWfgfYG0DI, width=640, height=360)] AR 95.0% 풀콤보 영상 2013년 9월 3일 통상곡으로 해금되었으며 리플렉 비트 플러스와는 다르게 자켓과 컷팅 역시 사운드 볼텍스의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 해금 시부터 12월 말까지 3개월동안 계속 버라이어티 부분의 선곡랭킹 1위를 석권했었다. ||<-4>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45 || {{{#green,#0c0 BASIC}}} || MEDIUM || HARD || || {{{#green,#0c0 3}}} || 7 || 9 || || 오브젝트 || {{{#green,#0c0 170}}} || 357 || 632 || || 수록버전 ||<-3><#81e3ff> [[리플렉 비트 콜레트|{{{#black 리플렉 비트 콜레트}}}]] {{{#373a3c Summer}}} || == [[팝픈뮤직]] == [youtube(hyFGiHdpbCQ, width=640, height=480)] 일반 보면 [youtube(JcDBFtWMvuA, width=640, height=480)] upper 보면 ||||||<#fff,#26282c> 배너 이미지 링크 ||<#ffffd2,#3f3f38> [[BPM]] || 145 || ||<#ffffd2,#3f3f38> 곡명 ||<-4> '''セツナトリップ[br]세츠나 트립''' || ||<-5>恐れない!ためらわない!振り向かない!ただひたすら前に飛べ! 두렵지 않아! 망설이지 않아! 돌아보지 않아! 단지 앞으로 날아라!|| || 아티스트 명의 ||<-4> 작곡가 || || 담당 캐릭터 ||||GUMI||||구미|| || 수록된 버전 ||<-4> [[팝픈뮤직 Sunny Park]]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EASY || NORMAL || HYPER || EX || ||<-5> '''일반 채보''' || ||<#ffffd2,#3f3f38> 50단계 || 7 || 24 || 32 || 44 || ||<#ffffd2,#3f3f38> 노트 수 || 170 || 381 || 617 || 1124 || ||<-5> '''UPPER 채보''' || ||<#ffffd2,#3f3f38> 50단계 || 17 || 30 || 40 || 47 || ||<#ffffd2,#3f3f38> 노트 수 || 263(?) || 498(?) || 875(?) || 1337(?)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2013년 9월 19일에 추가 판권곡으로 수록되었다. 커팅은 사운드 볼텍스와 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사양. 동시치기와 계단, 최후반부의 이중계단 + 좌우대칭 [[후살]]이 들어가 있다. 2020년 12월 9일 [[해명 리들즈]] 가동 되자마자 판권곡 upper 보면이 추가 되었다 == [[GITADORA 시리즈]] == ||<-5>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ddd,#33353a> BPM ||<#eaeaea,#383b40>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TREME || ||<|3> 145 || 기타 표준 || 3.30 || 5.10 || 8.30 || || 기타 베이스 || 3.65 || 4.25 || 7.15 || || 드럼매니아 || 1.65 || 3.40 || 8.55 || ||||<#eaeaea,#26282c> 최초 수록 버전 ||<-3><#fff> [[GITADORA|'''{{{#fc0 GITADORA}}}''']] || [youtube(tkWMpDiuYuU, width=640, height=360)] [youtube(0wIDtgocBvQ, width=640, height=360)] 2013년 10월 28일 GITADORA에 판권곡으로 수록되었는데, Live 은폐곡으로 수록되었다. Live 악곡 중 라이센스 수록은 이게 첫 사례이며, 라이센스 은폐곡은 기타도라 역사상 네 번째.[* 선례는 [[GUITARFREAKS 11thMIX & drummania 10thMIX]]의 GITADOLAND 해금곡 [[서클 코스터]], [[GuitarFreaks XG2 & DrumMania XG2 Groove to Live]]의 엑스트라 곡 [[Martial Arts]], XG3의 카드 사용시 해금곡 [[フライングゲット]]가 있다.] GITADORA에서의 보컬로이드 노래 수록은 [[야화 디세이브|夜咄ディセイブ]]에 이어서 이 곡이 두번째. == [[유비트 시리즈]] == === 원곡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3||<:>7||<:>9.3|| ||<:>노트 수||<:>234||<:>457||<:>715|| ||<:>BPM||<-3><:>145||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3.12.02)}}}|| ||<:>모바일||<-3><:>미수록|| ||<:>플러스 모드||<-3><:>[[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3|{{{#000 EXIT TUNES pack vol.9}}}]]||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스미스 세미나]] 이벤트로 수록되었다. 스미스 세미나 1탄 수록곡 중 유일하게 아케이드에 바로 수록된 곡이다.[* 나머지 세 곡은 [[유비트 플러스]]에 선행 수록되었으며, 아케이드로 이식될 때 채보가 변경되어 수록되었다.] [youtube(WwhOohWC1wo)] EXT 채보 영상 [youtube(fg3xhP2ycdk)] 패턴 변경 이전 EXT EXC 영상 [youtube(vgSEU56PK60)] EXT EXC 영상 초반에 동시치기가 섞인 폭타가 굉장히 난해하다. 그렛을 내기 매우 쉬운 구조로 되어있으며 이 때문에 엑설런트 난이도가 난이도 대비 높게 느껴질 수 있다. 여담으로 [[유비트 소서 풀필]]에서 [[유비트 시리즈/기네스|채보가 교체된 이력]]이 있다. === 커버 버전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3||<:>7||<:>9.3|| ||<:>노트 수||<:>229||<:>507||<:>631|| ||<:>BPM||<-3><:>???||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미수록|| ||<:>모바일||<-3><:>ソーシャルミュージック 앨범|| ||<:>플러스 모드||<-3><:>미수록|| 2021년 6월 3일, 피아노 커버 버전이 수록되었다. 어레인지 담당은 まらしぃ. 특이사항으로 원곡과 모든 난이도가 동일하다. 원곡을 수록하려고 했던 것인지, 그냥 커버 버전도 난이도 측정을 저렇게 한 건지는 불명. == [[maimai 시리즈]] == ||<-5> maimai 난이도 체계 || ||<|2> 난이도 || EASY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 4 || 6 || 10 || 12+ || || 노트 수[BR](슬라이드 수) || 157(12) || 235(11) || 460(47) || 673(54) || || 장르 ||<-4> niconico & ボーカロイド || || BPM ||<-4> 145 || 2014년 1월 9일에 수록되었다. [youtube(mr69odgeBBQ)] BASIC 난이도 AP 영상 [youtube(xqXbZw8zS_c)] ADVANCED 난이도 AP 영상 [youtube(Sx6WjeaGdgA)] EXPERT 난이도 AP 영상 원래 9레벨이였으나 [[maimai DX PLUS]]부터 10레벨로 2단계 상승했다. [youtube(nfoTY3cUobE)] MASTER 난이도 AP 영상 MASTER 채보는 폭타와 동시치기만 능숙하게 처리한다면 클리어 자체는 어렵지 않은 곡이다. 하지만 중간에 등장하는 브레이크 구간은 놓치지 말고 무조건 꼭 잡을것.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9><#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73a3c,#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 ||<|2> '''싱글 플레이''' |||| 1 |||| 4 |||| 10 |||| 14 || || bSP 노트수 || bSP 프리즈 || BSP 노트수 || BSP 프리즈 || DSP 노트수 || DSP 프리즈 || ESP 노트수 || ESP 프리즈 || ||<|2> '''[[더블 플레이]]''' ||||<|2> - |||| 4 |||| 10 |||| 14 || || BDP 노트수 || BDP 프리즈 || DDP 노트수 || DDP 프리즈 || EDP 노트수 || EDP 프리즈 || || BPM ||<-9> 145 || |||| 아케이드 버전분류 ||<-8> [[Dance Dance Revolution(2014)]] || * [[댄스 댄스 레볼루션/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2014년 6월 19일 [[GUMI 5th Anniversary party Presented by BEMANI]] 이벤트로 [[라쿠가키스트]]와 함께 [[Dance Dance Revolution(2014)]]에 수록되었다. DDR 시리즈 최초로 수록된 [[VOCALOID 오리지널 곡]]. [youtube(zqiuYXwQOfI, width=640, height=360)] ESP 영상 패턴에 대한 대부분의 평가는 '''세츠나 [[TRIP MACHINE PhoeniX|트립머신 피닉스]].''' 싱글, 더블 공통으로 2번째 후렴구의 3박자씩 떨어지는 구간이 트립머신 피닉스의 ESP, CDP 패턴의 [[최후반살인]]구간과 동일한 패턴이 나온다. 특히 더블쪽의 경우는 첫번째 후렴구의 패턴이 [[Arrabbiata]]등에 자주 나오는 6개 패널 계단에, 후반의 피닉스 구간 또한 거의 그대로 갖다박아, 엄청난 좌우이동을 요구하는 덕분에 도저히 14라고는 볼수 없는 [[사기 난이도]]가 되었다. == [[펌프 잇 업]]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2015 PRIME JAPANESE EDITION]] || || 최종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XX]] || || 아티스트 |||| [[Last Note.]] || || BPM |||| 145 || || 비주얼 |||| のん & こみね[* 게임 내에서는 미표기] || || 채널 |||| Prime J.E. / J-Music || ||<-3><#ddd,#383b40>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XX|XX]] 기준[* 볼드체는 해금 필요.] || || 타입 |||| 레벨 || ||<|4> Normal ||<#ff5400> Single || 1 / 5 / 9 / 13 / 16 / 18 || ||<#00881a> Double || 8 / 14 / 19 / '''23''' || ||<#0048ff> Double Perf. || 3 || || Co-Op || 2인 || ||<-3><#ddd,#212121> 채보 제작자 || || 타입 ||<-2> 레벨 및 제작자 || ||<|7> Normal ||<#ff5400> S1 / S5 / S9 / S13 ||<|2> BANNIE || ||<#00881a> D8 / D14 || ||<#ff5400> S16 / S18 ||<|4> NIMGO || ||<#00881a> D19 || ||<#0048ff> DP3 || || Co-Op(2인) || ||<#00881a> D23 || AEVILUX || 2015년 9월 18일 Ver1.05.0 업데이트로 수록. 중반부부터 PV와 노래의 싱크가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나, JE 1.06.0에서 수정되었다. 국내&해외판에도 2015년 12월 30일에 1.12.0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마이마이 쪽 컷팅과 비슷하지만 초반부가 추가되었고 뒷부분 일부가 잘렸다.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에서 계약 만료로 삭제되었다. === 싱글 === S1 S5 S9 - 9렙곡중 허리틀기를 할수있으면 비교적 쉬운 곡이다. 그러나 후살의 허리틀기가 난해하므로 조심해아 한다. S13 - 전체적으로 빠른 폭타 위주의 곡이다. S16 - 13레벨보다 약간 빠른폭타, 폭타의 끝에 허리틀기가 가미되었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고각허리틀기의 풀콤방지 패턴은 주의하지 않으면 놓치기 쉽다. S18 - 16레벨과 비슷하지만 중간 중간 폭타에 등장하는 고각 허리틀기는 배속을 빠르게 설정하면 놓칠 수 있다. [youtube(XPuy_xNJkMQ)] === 더블 === D8 - 크게 어려운 건 없다. D14- 후살 폭타만 주의한다면 쉽다 D19 - 16비트로 우직하게 올라오는 폭타중심의 채보. [youtube(GddodVf5S5Q)] 초반과 후반의 반주 구간에서의 16비트도 그렇지만 노래 후렴구의 대각틀기와 2놋 연속되는 점프구간 역시 체력을 갉아먹는다. 전형적인 체력곡 채보이고 후반부의 각도 강한 하프더블 틀기와 더블클릭 역시 쉽지 않으므로 폭타 끝났다고 방심하다간 뒤에서 말려버리기 쉬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D23 [youtube(Co7PK8XrwjA)] D23 채보(수정 전) [youtube(TpU1-CeQ97w)] D23 채보(수정 후) [* 도입부 2롱놋 299콤보 노트가 4롱놋 499콤보로 변경되었다.] [youtube(XpPZ0kYpDp8)] 히든 커맨드를 입력하면 등장하는 채보. S22 두 개가 나란히 붙은 2인 코옵 채보로, 커맨드는 1P 발판 QSZ + 2P 발판 953이다. [[펌프 잇 업 XX]] v.2.05에서 추가되었다. 후살채보. 상위채보의 전형적 특징인 16비트의 틀을 벗어나 후반에 기타구간에선 '''24비트''' 폭타와 그 다음에는 16비트와 32비트가 섞인 폭타를 달리는 후살채보. 후반 전까지는 가벼운 틀기와 겹발 정도로 채워져있지만 후반의 폭타 속도가 약 210 BPM의 16비트 폭타와 비슷하기 때문에 고브픔 처리감각이 요구된다. 다만 폭타의 배치를 잘 보면 뭉갤 수 있는 구간도 보이기 때문에 뭉개기 감각이 좋다면 폭타 처리력이 다소 떨어져도 충분히 넘길 수 있다. 23중에 중상급. 커맨드를 입력하면 양쪽에 S22 채보가 올라오는 히든 채보를 플레이할 수 있는데, 해당 채보의 존재가 처음 알려진 곳이 제작자 AEVILUX의 채널이 아닌 그 지인의 채널이었고, 이 채보가 일반 D23의 점수를 넘을 수 있어 여러 모로 논란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펌프 잇 업 XX#s-11|여기]]를 참조할 것. 히든 채보의 경우 실제 난이도는 21레벨에 가깝다. 후반의 24비트 틀기 없는 폭타[* 맨 마지막에 틀기가 조금 등장하나 매우 짤막하다.]는 [[디멘트]] S21에서도 볼 수 있기 때문. 허나 2명이서 플레이하는 채보인데도 불구하고 게이지가 일반 채보와 동일하고, 코옵과는 다르게 다중 노트 판정이 없다.[* '''즉, 둘 중 한명이라도 틀리면 그 노트는 미스로 처리된다.'''] 때문에 실제 난이도는 그보다는 높은 편. Co-Op (2인용) - 박자에 맞춰 계속 빙글빙글 돈다고 생각하면 편하게 할 수 있다. 중간에 1P(빨강)가 밟아야 하는 쩍벌 롱놋 구간(...)이 있다. 최후반부 한 번 나오는 계단식 노트는 일반적인 저레벨대 더블에서는 보기 힘든 노트이므로 익숙하지 않다면 힘들다. == [[MÚSECA]] == ||<-4> {{{#8b1c21,#e37478 MÚSECA 난이도 체계}}} || || {{{+1 {{{#8b1c21,#e37478 X}}}}}} ||<-3> セツナトリップ || || [[BPM]] ||<-3> 145 || ||<|2> 난이도 || {{{#green,#0c0 翠}}} || {{{#orange 橙}}} || {{{#red 朱}}} || || {{{#green,#0c0 3}}} || {{{#orange 8}}} || {{{#red13}}} || || 체인 || {{{#green,#0c0 188}}} || {{{#orange 448}}} || {{{#red811}}} || || 최초 수록 ||<-3><#930000> [[MÚSECA]] {{{#white (2015.06.19~)}}} || [youtube(RziYYfTeh20, width=640, height=360)] 난이도 朱 Connect All 영상 == [[GROOVE COASTER]] ==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 ,곡명=セツナトリップ ,곡목록=보컬로이드™ ,작곡표기=Last Note. ,작곡링크=Last Note. ,작곡틈=feat. ,작곡표기2=GUMI ,작곡링크2=GUMI ,버전3= ,폴더명=보컬로이드™ ,BPM=145 ,SIMPLE레벨=3 ,NORMAL레벨=7 ,HARD레벨=9 ,EXTRA레벨=11 ,SIMPLE노트수=233 ,NORMAL노트수=370 ,HARD노트수=502 ,EXTRA노트수=558 ,SIMPLE애드립=6 ,NORMAL애드립=5 ,HARD애드립=5 ,EXTRA애드립=5 ,SIMPLE체인=1\,281 ,NORMAL체인=1\,900 ,HARD체인=2\,195 ,EXTRA체인=2\,570 ,주소=Hp6543LKK9w ,풀체인= )] 구미 생일 이벤트의 전용곡으로 등장하였으며 이벤트 포인트 1000점 이상을 모으면 곡과 extra 난이도가 해금되었다. 3EX 때는 신규유저[* 네시카를 처음 사용하면]보상 중 하나였고, 4로 업데이트 할 때 통상 해금되었다. == [[태고의 달인 시리즈]] == [youtube(XPj5vDzZ4Sk)] 오니 전량 영상 [youtube(PbVCWUS6uKI)] 우라 오토 영상 ||<-6><#e5eeff,#001133> セツナトリップ || ||<-3> [[BPM]] ||<-3> 145~290 || ||<-6> 3DS3 기준 || ||<|2> 난이도 ||<#f66f05> 간단 ||<#3cd219> 보통 ||<#088da5> 어려움 ||<#e770e3> 오니 ||<#e9be18> 우라 || || {{{#f66f05,#fa7208 3}}} || {{{#green,#0c0 4}}} || {{{#002040,#bfdeff 7}}} || {{{#purple,#ff7ffe 8}}} || {{{#ba9c00,#ffe144 9}}} || || 노트 수 || {{{#f66f05,#fa7208 135}}} || {{{#green,#0c0 259}}} || {{{#002040,#bfdeff 349}}} || {{{#purple,#ff7ffe 506}}} || {{{#ba9c00,#ffe144 690}}} || || 수록 버전 ||<-5> 3DS3 , PS4DL || == [[노스텔지어 시리즈]] == [include(틀:노스텔지어 시리즈/난이도 표/FORTE, n_l=3, n_n=287, h_l=8, h_n=594, e_l=10, e_n=980)] * {{{#!folding 난이도 변경 내역 * Hard * [[노스텔지어 Op.2]]: 9 → 8 }}} [youtube(ZOmD5Hxn3uo)] Expert 난이도 플레이 영상 편곡자 [[마라시]]의 커버 앨범인 [[http://www.subcul-rise.jp/marasy/vocalopiano/|'Vocalo Piano']]에 실린 버전을 라이센싱해왔다. 자켓도 타 기종의 것과 다르며 커팅도 타 BEMANI 기종들의 커팅이 아닌 다른 부분을 커팅해서 수록했다.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include(틀:Poppin'Party의 음악 일람)] [include(틀: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27레벨 수록곡)] [include(틀: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고레벨 수록곡)] ||<-6> [[파일:296_setsunatrip-jacket-kr.png|width=100%]] || ||<|2> 기본[br]정보 |||| BPM || 시간 |||| 타입 || |||| 145 || 2:08 ||||<#ffaf32> 커버 || ||<|2><:> 난이도 || Easy || Normal || Hard || Expert ||<#f3a,#c07> Special || ||<#e2f1ff,#001061> 9[br](188) ||<#f0fff0,#006100> 15[br](304) ||<#ffffed,#603d00> 20[br](554) ||<#ffe4e1,#610000> 27[br](1034) ||<#ffedf7,#610049> '''29'''[br]→ '''{{{#red 30}}}'''[br](1087) || || 수록 ||<-5> 2020년 9월 30일(일본) 2020년 12월 10일(한국) || || 해금[br]방법 ||<-5> CiRCLE의 음악 상점에서 교환 || || 밴드 ||<-5> [[Poppin'Party|[[파일:Poppin_party_logo.png|width=50%]]]] || || 노래 ||<-5> [[토야마 카스미]](CV: [[아이미(성우)|아이미]]) || || 특이[br]사항 ||<-5> || [include(틀:영상 정렬, url=Vk7AkMAuq1Y)] EXPERT AP영상 제128회 이벤트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이벤트/합동 라이브#s-2.38|Have a good HALLOWEEN!!]]" 추가곡. 익스퍼트는 팝핀파의 첫번째 27레벨 Expert. 이 곡 수록전까지 포피파의 27레벨 이상 곡은 [[티어 드롭스]] 스페셜을 제외하면 [[God knows...|전부 해외 서비스에서 저작권 문제로 수록 불가 상태]]라서 해외 서비스[* 번체는 이곡이 일본 서비스 수록전에 진행, 영문판은 커버곡 수록도 일도리 이벤트를 거의 따라가되 해외 수록 계약때문에 늦는 경우도 있다지만 일본 서비스 순서 그대로, 간체는 수록 이전에 백스테 3이 진행.]의 경우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이벤트/라이브 트라이#s-2.18|팝핀파 27레벨 이상을 요구하는 트라이]]에서 지장이 심하게 생겼는데, 한국 서비스는 3주년 이벤트 이전인 2020년 12월 10일에 추가되면서 이곡으로 Backstage Pass 3를 넘길수 있게되며 포피파 쪽은 한숨 돌리게 되었다. 열등상등 이후로 2개월만에 1000개를 넘는 노트수를 가지고 있는 곡이다(1034). 27렙중에서는 [[티어 드롭스]] 스페셜(1063), [[Determination Symphony]](1054)를 이은 3위. 이후에 나온 스페셜은 전 곡 노트수 중에서 1087개로 3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HELL! or HELL?이 수록되며 4위로 밀려났다.[* 이 곡보다 노트 수가 많은 곡은 [[Ringing Bloom]](1094), [[열등상등]](1129), [[HELL! or HELL?]](1196) 뿐이다.] 노트수도 많고, 곡도 길다보니 체력곡 성격이 조금 강하다. 짧은 롱노트는 [[FIRE BIRD]]가 연상되는 구조이며, 후반까지 크게 어려운 구간은 없다가도 후반에 짧게꺾인 연속 롱노트 구간은 절대선언이 살짝 연상되는 패턴이다. 채보 자체는 크게 어려운 패턴이 없어서 클리어 난이도는 높지 않다. 다만 풀콤이나 AP로 가면 얘기가 달라지는게 짧은 롱노트나 조금씩 꺾인 롱노트 때문에 잔그렛이나 미스가 미묘하게 많이 나서 꽤 고전할 수 있다. [youtube(56iOY6uEauU)] Special '''AP''' 손배치 포함 영상 2021년 3월 21일 무려 29레벨로 스페셜 패턴이 추가되었다. 정확히는 4주년에 스페셜 패턴용 신규 기믹이 추가될때 밴드별로 스페셜 하나씩 추가한다고 예고될때 추가. 의외로 29라 놀랍단 반응[* 기존 스페셜들은 대부분 EXPERT 악곡이 어려운 편이라면 쉽게 나오고, 쉬운편이었다면 어렵게 나왔다. 예외가 있다면 익스퍼트 스페셜 둘 다 26레벨 인 경우와 최초의 29렙이었던 육조년, 이 곡 바로 전날에 나왔고 스페셜 중 첫번째 28인 [[R(BanG Dream!)|R]]정도. 그런데 기존 27렙이었던 EXPERT가 뜬금없이 29레벨로 나오면서 놀랍다는 반응들이 많다. 익스 27렙짜리 곡들이 스페셜로 나온다면 대부분 26이하로 나왔고, 4주년에 29레벨 있을거란 예고가 있던 것이 R 스페 28로 나오고 이곡과 [[Synchrogazer]] 2개 남았을때 기준으로 [[Synchrogazer]]가 29렙 가져갈거란 추측이 더 많았다. 특히 싱크로게이저가 [[D4DJ Groovy Mix|옆동네]]에서 고레벨로 나온것도 추측에 한몫했다.]과 별개로 신채보의 영향 때문인지 [[Ringing Bloom]] 같은 28불렙이나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 익스 등 기존 29렙 보다 어렵단 평이 많다. 즉, 뱅드림 최고 난이도 채보를 갱신한 셈이다. 27렙 중하위권이었던 EXPERT와 달리 정말 노트밀도가 비교도 안되게 상승했다. 추가로 이번에 추가된 다른 스페셜 채보와 마찬가지로 초반부터 좌우플릭이 시도때도 없이 나오는데 문제는 높은 노트밀도와 맞물려 엄청난 잔미스를 유발하는 패턴들이 많다. 300콤보 부근부터 노트 사이사이에 좌우플릭이 엄청나게 쏟아져나오는데 만약 자신이 이 플릭에 적응을 못했다면 여기서부터 폭사할 가능성이 높다. 추가로 좌우플릭도 문제지만 슬라이드 노트 또한 경사가 엄청나게 급해서 처리하지 못하고 놓치는 경우도 많다. 대륙횡단 슬라이드와 함께 시작되는 하이라이트 또한 독보적으로 어렵다. 특히나 주의해야 할 곳은 690콤보 부근부터 시작되는 좌우플릭 폭격. 처리하기 까다로운 >> >> 와 << << 모양의 방향 지정 플릭들이 연속해서 나오는것도 문제지만 그 다음 바로 나오는 일반노트와 좌우플릭을 섞어놓은 패턴들 또한 처리하기 엄청나게 까다롭다. 엄지유저라면 더더욱. 좌우플릭 처리실력을 극한까지 시험하는 곳이다. 플릭치다가 일반노트 놓치는 경우도 많다. 여러모로 체력 뿐만이 아니라 분별력까지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이 극후반부에 난이도를 집중시킨 느낌이라면 이 곡은 하이라이트에 집중시켰단 느낌이 들 정도로 엄청나게 까다롭다. 1020콤보부터 시작하는 EXPERT 강화패턴인 후살도 문제다. 짧은 슬라이드를 연속해서 배치해놨는데 문제는 이걸 밀도 높게 급경사로 배치해놨다는 것. 하이라이트가 좌우플릭 노트 처리실력을 시험했다면 이곳은 슬라이드 처리 능력을 극한으로 시험하는 곳이다.--사실 슬라이딩 무시하고 그냥 일반노트 치듯이 눌러도 된다[* 16비트의 짧은 슬라이드 트릴은 그냥 단타 트릴처럼 해도 넘어가지며, 마찬가지로 한칸 옆으로 옮기는 슬라이드는 그냥 롱 노트처럼 시작점에서 움직이지 않아도 넘어가진다.] -- 이 슬라이드 이후로도 나오는 플릭들 또한 주의해서 처리하여야 한다.[* 맨 뒤쪽에 드럼박자에 맞춘 노트 3개가 급작스럽게 나오는데 '''[[Russian Snowy Dance|노래 다 끝났다고 손놓고 있다가 여기서 죽는 경우도 있다.]]''' 주의하자.] 구간 난이도는 하이라이트보다 낮지만 체력이 많이 빠진 상태임을 감안하면 체감 난이도는 충분히 어렵다. 정리를 하자면 또다른 보스곡의 등장이다. 같은 29렙인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과 비교해보자면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이 높은 밀도로 압박해오는 그런식이었다면 여기는 밀도보다는 기교를 요하는 패턴으로 압박해오는 느낌[* 그렇다고해서 밀도 또한 절대 낮다는 소리가 아니다. BPM 자체는 145로 낮은편이지만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이 BPM에 비해 체감 밀도가 높다고 느껴지듯이 이 노래도 고비트의 트릴들과 노트 배치로 상당히 높은 밀도로 느껴진다. 육조년에 비하면 확실히 밀리지만 [[Ringing Bloom]]정도를 제외한 다른 28렙에는 절대 밀리지 않는다.]. 노트의 밀도 자체는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리듬 게임 수록#s-8|육조년]]보단 낮아서 자신이 슬라이드 노트와 좌우플릭 노트 처리에 자신이 있다면 비교적 할 만하겠지만 좌우플릭 노트의 묘한 판정 때문인지 개인차를 감안해도 종합적으로 이쪽이 더 어렵다는 평가가 우세.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질 수도 있겠으나 2022년으로 접어드는 현재까지도 이 곡의 최종 보스곡으로서의 위상은 어디가지 않는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9월 초 당시 제 3회 걸파컵 개인전 결승곡에 쓰일 미공개곡의 존재 때문에 이 곡이 최종 보스곡이라는 타이틀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기도 했다. 제 2회 걸파컵의 결승곡 미공개곡이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의 스페셜 채보로 그때의 보스곡이였던 Ringing bloom,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EXPERT 보면과 나란히 할만한 곡이여서, 이를 이어 제 3회 결승 미공개곡도 이 곡과 나란히 하거나 그 위를 보일지의 난이도일지는 미지수였는데, 미공개곡이 [[RAISE A SUILEN]]의 [[HELL! or HELL?]]로 밝혀졌고, 스페셜 레벨이 '''{{{#purple,#plum 30레벨}}}'''로 공개되면서 최종보스곡 자리를 교체당할 가능성이 생겼다. 하지만 해당 곡이 실제로 출시된 후 현재까지의 평가는 개인차에 따라 순간 여행 스페셜이 더 어려울 수도 있고, HELL! or HELL? 스페셜이 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평이 대세이며, 이에 따라 순간 여행 스페셜이 29 불렙이라는 말도 여전히 나오는 중이다. 2022년 9월 11일 제4회 걸파컵 결승전에서 이 곡의 스페셜 채보를 담당한 직원의 인터뷰에서 '''이 채보는 지금 보니 29레벨보다 30레벨인 것 같다'''는 말을 남기면서 사실상 공식에서도 순간 여행 스페셜 채보는 불렙임을 인정한 꼴이 되었다. 헬오헬의 스페셜 채보가 30레벨로 나오고도 둘 중 무엇이 더 어려운지는 개인차라는 평가가 많았던 것과 더불어 순간 여행 스페셜 채보가 얼마나 29 불렙곡으로서의 입지가 확고한지 다시 한 번 증명된 셈. 인터뷰 영향으로 차후 레벨 개편 및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2017년 4월 3일 [[여름 하늘 SUN! SUN! SEVEN!]]이 26레벨에서 25레벨로 하향 조정된 사례가 있긴 하다.] 2022년 11월 18일 방향플릭 패치로 어려운 구간이 너프되면서 AP 난이도는 리버스데이와 비슷하거나 쉬운 수준으로 내려갔다. 결국 6주년 업데이트에서 SPECIAL난이도가 '''{{{#red 30}}}'''으로 승격되었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include(틀:MORE MORE JUMP!)] ||<-5>
'''[[MORE MORE JUMP!|{{{#ffffff MORE MORE JUMP!의 수록곡}}}]]''' || ||<-5> '''난이도[br](노트 수)''' || ||<#66DD11> '''{{{#FFFFFF EASY}}}''' ||<#33BBED> '''{{{#FFFFFF NORMAL}}}''' ||<#FFAA01> '''{{{#FFFFFF HARD}}}''' ||<#EE4566> '''{{{#FFFFFF EXPERT}}}''' ||<#BB33EF> '''{{{#FFFFFF MASTER}}}''' || || 6[br](418) || 12[br](524) || 20[br](938) || 27[br](1275) || 32[br](1370) || || '''해금 방법''' ||<-4> 음악 상점에서 구매 || ||<-2>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원곡 || ||<|4> '''지원 보컬''' ||<-2> '''세카이 ver.''' ||<-2> '''버추얼 싱어 ver.''' || ||<-2> [[하나사토 미노리]][br][[모모이 아이리]][br][[카가미네 린(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카가미네 린]] ||<-2> [[GUMI]] || ||<-4> '''어나더 보컬 ver.''' || ||<-4> - || [youtube(WTgxHLb66jU)] *EASY ~ EXPERT ALL PERFECT 영상 [youtube(e0LGcjx8ER4)] *MASTER ALL PERFECT 영상 다른 리듬게임들의 선례를 바탕으로 유저들이 e스포츠 대회 최초공개곡의 유력한 후보로 많이 지목했었으며, 실제로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e스포츠 대회#s-6.5.4.2|프로젝트 세카이 CHAMPIONSHIP 2023 Spring 일반부 결승]]에서 '''33'''레벨 신곡으로 최초 공개되었다. 채보가 처음 공개되었을 당시 반응은 대체적으로 좋지 않았다. 속칭 뇌지컬 쪽으로 채보의 초점이 맞춰진 탓에, 채보의 밀도가 그리 높지 않고 억지로 끼워넣은듯한 1/12사이즈 노트와 과도한 인식난, 플릭 등으로 난이도를 끌여올렸다는 평. 초견 플레이의 패널티를 고려해 그동안 e스포츠 대회 최초공개곡은 결승에 사용되는 기존 곡들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레벨로 나오긴 했지만, 37렙 해금 이후 첫 대회의 신곡이 직전 결승 최초공개곡인 [[썩은 외도와 초콜릿]]보다도 더 낮은 레벨로 나왔기 때문에 평가가 박했던 것도 있다. 다만 이전에 나온 [[ÅMARA(대미래전뇌)]]나 [[썩은 외도와 초콜릿]] 등의 사례와 비슷하게 실제로 나온 다음 직접 플레이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 보인다는 의견도 꽤 있다. 원본 자켓과 달리 [[MORE MORE JUMP!]]의 캐릭터 4명의 컬러가 강조되는 자켓 때문에 이 곡이 모모점의 커버로 들어올 것으로 추측하는 유저들이 많았으며, 이후 2023년 원더쇼 채널에서 모모점의 커버로 등장한다는 것이 확정되었다.[* 다만 멤버 전원이 커버 곡에 참여하지는 않고, 모모점의 기존 커버곡 보스였던 [[지구 최후의 고백을]]의 커버에 참여하지 않았던 2인+린의 커버곡으로 실장되었다.] 이에 따라 첫 유닛 이벤트 곡인 [[모어! 점프! 모어!]]를 31레벨로 받은 이후 오랫동안 최고난도 레벨이 갱신되지 않던 모모점은 32레벨 이상 곡을 가장 마지막으로 가져간 그룹이 되었고, 동시에 2번째로 33레벨 이상 악곡을 보유한 그룹도 될 '''뻔했으나''' 정식 공개 시에는 일부 구간 패턴 변경을 통해 '''32'''레벨로 하향되었다. [youtube(aY7TU9v24t4)] 대회 채보와 실장 채보의 비교 영상. 이에 따라 하향되어서 실장된 채보도 호불호가 아주 크게 갈리는데, "대회에서 공개된 채보와 완전히 같은 걸 쳐보고 싶다", "채보의 개성이 완전히 사라지고 전개 방식도 너무 이상해졌다", "안 그래도 33레벨 곡이 부족한데[* 23년 7월 기준으로 33~37레벨 곡이 각각 2, 4, 2, 2, 3곡이 있는 상태로, '''34, 37레벨 악곡 개수가 33레벨 악곡 개수보다 많은 상태'''이며 32/33레벨 사이 또는 33/34~36레벨 사이의 난이도 차이를 좁혀 줄 채보가 거의 없고 최근 1년동안 나온 33레벨 이상의 준보스~보스곡들 마저도 [[썩은 외도와 초콜릿]]을 제외하면 죄다 다지를 강요하는 37레벨로 등장하여 심각한 레벨 분포를 보이는 중이다.] 도대체 왜 하향시켰냐"는 혹평과 "그래도 억지스러운 부분이 많이 개선되어 플레이하기 좋은 채보가 되었다", "지금까지 나온 적 없는 패턴이 등장해서 신선하다"는 호평 둘 다 동시에 나오고 있다. 초고렙곡을 바랬던 소위 탑랭들은 전자로, 채보의 깔끔함을 원하는 쪽은 후자로 평가하는 편. 전반적으로 대회 채보에 비해 상당히 하향되었으나, 중반의 [[하츠네 미쿠의 격창]]을 연상시키는 대계단 패턴과 최후반 24비트 트릴이 여전히 여과 없이 등장하며 심지어 후반에는 '''기존에 비해 강화된 동시치기 패턴'''이 있는지라 피지컬에 따라 32레벨 하위~적정 정도에서 '''33레벨인 하츠네 미쿠의 격창 아래급까지''' 개인차가 엄청나게 갈린다. [clearfix][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츠나 트립, version=234)] [[분류:리듬 게임 수록 정보]][[분류:사운드 볼텍스 부스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Sunny Park의 수록곡]][[분류:GITADORA의 수록곡]][[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분류:유비트(모바일판)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댄스 에볼루션의 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분류:MÚSECA의 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노스텔지어 FORTE의 수록곡]][[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하위 문서]][[분류:Poppin'Party/음악]][[분류: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