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제117대 상원의원)] [include(틀:미국 제118대 상원의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4388%, #214388%, #214388%, #214388)" '''{{{#white 미합중국 제117대 연방 상원의원[br]{{{+1 셰러드 캠벨 브라운}}}[br]Sherrod Campbell Brow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64px-Sherrod_Brown_117th_Congress_(2).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2년]] [[11월 9일]] ([age(1952-11-09)]세) || ||[[미국]] [[오하이오 주]] 맨스필드 || || '''{{{#ffffff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ffffff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ffffff 학력}}}''' ||[[예일 대학교]] {{{-1 (러시아학 / [[학사|B.A.]])}}} [br]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1 (교육학 / [[석사|M.A]])}}} [br]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1 (행정학 / [[석사|M.P.A.]])}}}|| || '''{{{#ffffff 가족}}}''' ||배우자 신디 헤네시[br]슬하 자녀 2명 || || '''{{{#ffffff 종교}}}''' ||[[기독교]]([[루터교]]) || || '''{{{#ffffff 경력}}}''' ||오하이오 주 하원의원 {{{-2 (1975~1982 / 61선거구 )}}}[br]제47대 오하이오 주 국무장관 {{{-2 (1983~1991)}}}[br]연방 하원의원 {{{-2 (1993~2007 / 오하이오 13구 )}}}[br]연방 상원 금융거래위원위원장 {{{-2 (2021~현재)}}}[br]''' 연방 상원의원 {{{-2 (2007~/ 오하이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합중국]]의 교육자 출신 [[정치인]]으로 현직 오하이오 주 연방 상원의원이다. 현재 주 전체를 대상으로 선출하는 선출직[* 주지사, 국무장관, 연방 상원의원 등] 중 유일하게 [[민주당(미국)|민주당]] 소속이다. == 생애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교육학과 행정학을 전공한 이후 오하이오 주립대의 맨스필드 분교에서 1971년부터 강사로 활동하면서 교육자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지역 민주당 지도부와 접촉하면서 정계에 본격적으로 입문하게 됐고, [[1974년]] 당시 최연소 주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선출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어 [[1982년]]에는 공화당의 버질 브라운(Virgil Brown)을 누르고 주 국무장관까지 올랐고, 4년뒤에는 득표율을 한단계 올리면서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1990년]]에는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의 증손자인 밥 태프트에게 패하면서 3선 도전에는 실패하고 주 정부와는 거리를 두게 되었다. 아무래도 오하이오 출신 전직 대통령 가문의 정치인[* 태프트 대통령은 오하이오 주의 [[신시내티]] 출생이다.]을 상대하다보니 지명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밥 태프트는 이후 승승장구해 제67대 주지사까지 오르게 된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연방 공직으로 나설 기회가 되었는데, 아예 거주지를 태어나 평생을 살아온 맨스필드에서 로레인으로 옮겨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도전하게 됐다. 당시 현직 의원이었던 8선의 돈 피즈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지역구가 공석이 되었고, 민주당 세가 매우 강한 [[클리블랜드]][* 오하이오주가 사실상 레드 스테이트화 된 지금도 클리블랜드만큼은 시장이 민주당 소속이고, 시의원 17명도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서부와 남부 교외를 선거구로 둔만큼 민주당 경선이 사실상 본선으로 취급받았다. 결국 경선에서 가까스로 승리하고 본선에서는 공화당의 마거릿 R. 뮬러(Margaret R. Mueller)를 큰 차이로 누르고 승리해 연방 하원에 입성했다. 이후 내리 6선에 성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1994년]] 민주당이 매우 오랜만에 연방 하원 다수당 지위를 상실하는 아픔을 같이 맛봤다. 하원의원 시절에는 [[결핵]] 퇴치 문제에 앞장서 관련 기금을 증액하는데 주력했으며 [[동성결혼]]을 막으려는 오하이오 주헌법 수정에 반대하고, [[1996년]] 이성결혼만을 인정해 [[성소수자]]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결혼보호법(Defense of Marriage Act)에 대하여도 반대표를 던졌다. 하지만 하원 다수당을 공화당이 차지한 상황인지라 결국 의회를 통과했고, 동성결혼은 추후 [[2015년]] [[미국 연방대법원|연방대법원]] 판결로 인해서야 겨우 인정되었다. [[2006년]]에는 무대를 바꿔 연방 상원의원 직에 도전하기로 했다. 공화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한 [[마이크 드와인]] 의원[* 낙선 이후 주 법무장관(혹은 검찰총장)을 거쳐 현재 오하이오 주지사를 지내고 있다.]과 [[2006년 미국 중간선거|중간선거]]에서 맞붙었는데 [[조지 W. 부시 행정부]]에 대한 심판론의 도움을 받아 무난히 승리를 거두면서 드디어 상원의원으로 입성에 성공했다. 이후 2012년과 2018년에도 재선에 성공, 3선 상원의원으로 재직 중에 있다. 현재 우경화가 [[캔자스]]나 [[미주리]]만큼 진행된 [[오하이오]]에서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이 있지만, 여론조사에서는 모든 공화당 유력주자들을 상대로 우세를 보이고 있고 브라운의 인기가 오하이오에서 매우 높기 때문에 당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2 || 주 국무장관 선거 ||<|3> [[오하이오]] ||<|13> [include(틀:민주당(미국))] || '''1,739,602 (53.60%)''' || '''당선 (1위)''' || '''초선''' || || 1986 || 주 국무장관 선거 || '''1,805,833 (59.72%)''' || '''당선 (1위)''' || '''재선''' || || 1990 || 주 국무장관 선거 || 1,604,058 (46.99%) || 낙선 (2위) || || || 1992 || [[199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7> [[오하이오]] 13구 || '''134,486 (53.31%)''' || '''당선 (1위)''' || '''초선''' || || 1994 || [[199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93,147 (49.08%)''' || '''당선 (1위)''' || '''재선''' || || 1996 || [[199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46,690 (60.49%)''' || '''당선 (1위)''' || '''3선''' || || 1998 || [[1998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16,309 (61.55%)''' || '''당선 (1위)''' || '''4선''' || || 2000 || [[2000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0,058 (64.59%)''' || '''당선 (1위)''' || '''5선''' || || 2002 || [[2002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23,025 (68.97%)''' || '''당선 (1위)''' || '''6선''' || || 2004 || [[2004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01,004 (67.43%)''' || '''당선 (1위)''' || '''7선''' || || 2006 || [[2006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3> [[오하이오]] || '''2,257,485 (56.17%)''' || '''당선 (1위)''' || '''초선''' || || 2012 || [[201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762,690 (50.70%)''' || '''당선 (1위)''' || '''재선''' || || 2018 || [[2018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358,508 (53.40%)''' || '''당선 (1위)''' || '''3선''' || == 여담 == * 형인 찰리 브라운 3세가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웨스트버지니아]]에서 주법무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는데, 현재도 정치를 하고 있는건 가문에서 셰러드 브라운이 유일하다. [[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2년 출생]][[분류:맨스필드(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예일 대학교 출신]][[분류: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미국 상원의원]][[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미국의 루터교회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