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로스터)] ---- ||
'''{{{#FFFFFF 셰인 비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셰인 비버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9년|{{{#ffffff 201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 || [[저스틴 벌랜더]][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메이저 리그 투수 트리플 크라운}}}'''}}} || || [[클레이튼 커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1년)[br][[저스틴 벌랜더]][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1년)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20년)''' || → || 마지막 달성자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댈러스 카이클]][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호세 베리오스]][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저스틴 벌랜더]][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게릿 콜]][br]([[뉴욕 양키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 || [[게릿 콜]][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왕}}}''' || || [[게릿 콜]][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1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게임 MVP }}}'''}}} || || [[알렉스 브레그먼]][br]([[휴스턴 애스트로스]]) || {{{+1 →}}} || '''셰인 비버[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 →}}}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include(틀:2020 All-MLB 퍼스트 팀)] ---- ||<-2> '''{{{#FFFFFF MLB 보유 기록}}}''' || || '''단일 시즌 최다 K/9''' || '''{{{#ff0000 14.1983개}}}'''[* 2020년. 종전 기록은 2019년 [[게릿 콜]]의 13.8179개.][* 잘 알다시피 이는 60이닝을 규정 이닝으로 한 2020 시즌의 수치다. 선대의 모든 기록들을 60이닝만 기준으로 해서 보면 2020년 비버는 역대 29위고, 1위는 2016년 [[크레이그 킴브럴]]이 기록한 16.66이다.]||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가디언스}}}]] 등번호 57번}}}''' || || 카일 크로켓[br](2014~2017) || {{{+1 →}}} || '''{{{#FFFFFF 셰인 비버[br](2018~)}}}'''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42287581.0.jpg|width=100%]]}}} ||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No.57''' || ||<-2> '''{{{+2 셰인 비버}}}[br]Shane Bieber''' || || '''본명''' ||셰인 로버트 비버[br]Shane Robert Bieber || ||<|2> '''출생'''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라구나 힐스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캠퍼스|UCSB]] || || '''신체''' ||190cm / 90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22번,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 '''소속팀'''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2018~)''' || || '''계약''' ||1yr / $10,010,000 || || '''연봉''' ||2023 / $10,010,000 || || '''기록''' ||'''[[트리플 크라운/야구|트리플 크라운]] (2020)''' || || '''SNS''' ||[[https://www.instagram.com/shanebieb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haneBieber19,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ffffff 셰인 비버의 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 [[셰인 비버/선수 경력]]''' || ||<-4>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1|'''{{{#FFFFFF 2018년}}}''']]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2|'''{{{#FFFFFF 2019년}}}''']] || [[셰인 비버/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4|'''{{{#FFFFFF 2021년}}}''']] ||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5|'''{{{#FFFFFF 2022년}}}''']]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6|'''{{{#FFFFFF 2023년}}}''']] || [[셰인 비버/선수 경력#s-3.7|'''{{{#FFFFFF 2024년}}}''']] || == 피칭 스타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9cY8xIEG1Y, width=100%)]}}} || ||<-2> 개막 첫등판 2경기 삼진 기록 경신 - '''27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eberfb.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ebercb.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ebersl.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eberch.gif|width=100%]]}}} || ||<-2>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포심 패스트볼, 너클 커브, 체인지업, 슬라이더''' || 구위와 제구력 모두 뛰어난 완성형 투수. 평균 구속 90마일대 초반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며, 주무기인 83마일대의 슬라이더는 우타자 상대 헛스윙 유도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80마일대의 너클커브를 서드 피치로 던지며, 88마일대의 체인지업을 주로 좌타자 상대로 던진다. 존의 좌우 보더라인에 자유자재로 공을 넣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커맨드가 우수하며, 템포가 상당히 빠르고 공격적인 승부를 즐긴다. 덕분에 삼진/볼넷 비율이 상당히 높다. 2019년 들어서 이닝 소화력이 굉장히 좋아졌다. 8월 8일까지 올 시즌 평균 6.1이닝을 던지고 있으며 3번의 완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좌타자 상대로 던지는 체인지업이 낙차 폭과 제구력 모두 좋아졌고 슬라이더는 더욱 아래로 많이 꺾이고 있으며 커브와 함께 구속이 상승했다. 덕분에 2018 시즌에 비해 모든 구종의 피안타율이 1할대 근처를 맴돌고 있는데 점차 [[코리 클루버]]의 전성기를 닮아가고 있는 중이다. 남은 과제는 투심 패스트볼과 같은 변형 패스트볼의 장착을 통한 피홈런 억제. 비버의 진정한 강점은 우수한 구위를 갖고 있음에도, 결코 구위만 믿고 던지는 투수가 아니라는 점이다. 비버는 유망주 시절까지만 해도 평범한 구위를 뛰어난 커맨드로 보완하는 유형의 투수였는데, 프로에 와서 구위가 향상된 사례이다. 즉 그냥 던져도 강력한 공에 유망주 시절부터 갈고 닦은 정교한 커맨드가 더해지니 타자들은 그야말로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것. 여기에, 움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디셉션(야구)|디셉션]]이 매우 출중하다. 오른팔을 직각 정도만 뻗어서 릴리스포인트를 몸으로 가리기 때문에 공이 [[갑툭튀]]하는 효과가 있어 구속이 실제보다 더 빨라보이는 효과도 있다. 2020년부터 커터를 장착하였다. 지난해 팀 동료였던 [[트레버 바우어]], [[코리 클루버]]와 팀 동료 [[애런 서발레]] 등에게서 배운 것. 평균 87~90마일의 커터는 좌타자 상대로 몸쪽에 꽂을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체인지업과 커터 조합으로 좌타자 상대 부진을 떨쳐내는 중. 커터의 장착으로 더욱 많은 투구 레퍼토리를 사용하게 되었고 패스트볼,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모두 지난 시즌보다 한층 강해졌다. 2021 시즌에 당한 어깨부상 이후로는평균 93~94마일까지 나오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하락하여 2022 시즌에는 91~92마일 정도로 형성되고 있는 데다가 리그의 평균 구속이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이기에 이젠 패스트볼의 구위 자체만 놓고 봤을 때 탑클래스라고 하긴 어려워졌고, 탈삼진율도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브레이킹 볼의 위력과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여전히 가디언스의 1선발 역할을 무리 없이 수행하고 있다.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2회 (20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20)'''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투수 [[골드 글러브]] (2022)'''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020)'''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다승 1위 (2020)'''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 1위 (2020)'''[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All-MLB 팀|All-MLB]] 퍼스트 팀 (2020)''' || == 이모저모 == [[파일:shane-bieber-reality-check.jpg|width=40%]] * 선수들이 자기 별명 유니폼을 입고 나오는 플레이어스 위크 행사 때 ''''NOT JUSTIN ([[저스틴 비버]] 아님)''''이라는 닉네임을 달고 나와 화제가 되었다.[[https://www.mlb.com/cut4/is-this-justin-bieber-or-shane-bieber/c-303598528|#]][* [[저스틴 비버]]는 안티가 어마어마하게 많다. 올림픽 아이스하키 결승에서 미국과 캐나다가 붙자 '지는 나라가 비버 갖기' 라는 슬로건이 유행했을 정도.] 그리고 [[저스틴 비버]] 역시 '''NOT SHANE BIEBER'''라는 저지로 [[http://mlbpark.donga.com/mp/b.php?p=1&b=mlbtown&id=201908280034883834&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6jjSgtYk3HRKfX@h-j9RY-ALmlq|친분을 과시했다.]] [[파일:셰인과 저스틴.png|width=50%]] * 자신의 플레이어 카드에 본인 이름이 아닌 [[저스틴 비버|저스틴]]이 써있는 카드를 보고 트위터에 올렸다. 그리고 이를 본 [[저스틴 비버]]가 "우리는 특별한 관계인 것 같다"라며 리트윗하였다. * 그의 인스타그램에 들어가 보면 어렸을 때 태권도를 배운 사진이 있다 [[https://www.instagram.com/p/CHB5z1YprTl/?igshid=xikuxrs3t3hx]]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둘러보기 == [include(틀:AL 사이 영 상 1~3위(2020-))]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오렌지(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UCSB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현역]][[분류:사이 영 상 수상자]][[분류:MLB 다승왕]][[분류:MLB 평균자책점왕]][[분류:MLB 탈삼진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