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구려 국왕)]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fbe673 '''소수림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고구려의 왕자)] ---- [include(틀:역대 고구려 태자)]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color: #fbe673" '''고구려 제17대 태왕[br]{{{+1 소수림왕 | 小獸林王}}}'''}}}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추총.jpg|width=100%]]}}} || ||<-2><#000> {{{#fbe673 {{{-2 소수림왕릉으로 추정되는 천추총 전경.}}} }}} || ||<|2> '''출생[br]{{{-3 (음력)}}}''' ||[[340년대]] 추정[* 고구려의 태자가 된 날이 355년이고 동생 [[고국양왕]]이 350년대생으로 추정되는데 350년대생으로 추정되는 고국양왕보다 나이가 많고 350년대인 355년에 태자가 되었으니 태자로 책봉되었을때의 소수림왕의 나이가 10대일 가능성이 있어 소수림왕은 340년대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고구려]] [[국내성]] || ||<|2> '''사망[br]{{{-3 (음력)}}}''' ||[[384년]] [[11월]] (향년 30~40대) || ||[[고구려]] [[국내성]] || || '''능묘''' ||소수림(小獸林)[* [[천추총]] 추정.] || ||<|4>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고구려의 태자}}}''' || ||[[355년]] [[1월]] ~ [[371년]] [[10월 23일]] {{{-2 (16년 9개월)}}} || ||'''{{{#fbe673 제17대 태왕}}}''' || ||[[371년]] [[10월]] ~ [[384년]] [[11월]] {{{-2 (13년 1개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횡성 고씨]] || || '''휘''' ||구부(丘夫) || || '''부왕''' ||[[고국원왕]] || || '''형제''' ||[[고국양왕|고이련]] || || '''종교''' ||[[불교]] || || '''신장''' ||약 165cm 초과[* 고구려인 평균키가 [[https://m.cafe.daum.net/alhc/51q2/3502?listURI=%2Falhc%2F51q2|165cm]]였는데 소수림왕의 외모에 대한 기록에서 신체가 장대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소수림왕의 키는 165cm 초과로 추정된다.] || ||<|3> '''시호''' ||'''소수림왕(小獸林王)''' ||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 ||'''해미류왕(解味留王)''' || || '''연호''' ||건시(建始)?[* 북한 학계가 소수림왕의 연호라고 주장하지만 근거는 전혀 없다.], 태녕(太寧)?[* 북한 학계가 소수림왕의 연호라고 주장하지만 근거는 건시(建始)와 같이 전혀없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구려]]의 제17대 [[태왕]].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이런 이름 때문에 제3대 [[대무신왕]]의 다른 명칭에서 제기되는 '''[[해씨 고구려설]]'''이 부정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명으로 소수림왕 시기에 고구려 왕계가 정리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고구려인들이 소수림왕을 어떻게 평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한데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 불렸던 영웅 대무신왕과 함께 놓고 보면 단번에 드러난다. 고구려인들은 소수림왕을 '소해주류' 즉 '작은 대무신왕'에 비유한 것이다.] 태자 시절의 이름은 구부(丘夫)로 추정된다. 조카인 광개토대왕에게 가려져서 그렇지 알고보면 뛰어난 능력을 가진 군주이다. 특히 부왕인 [[고국원왕]] 시절 외침으로 여러 치명타를 입으면서 하마터면 내리막으로 빠질 수도 있었던 고구려를 단기간에 부흥시켜 [[광개토대왕]] ~ [[안장왕]] 때까지 이어지는 '''전성기 시대의 줄기를 마련한 군주'''로서, [[백제]]의 [[고이왕]], [[신라]]의 [[법흥왕]], [[통일신라]]의 [[신문왕]]과 같이 '''나라의 기반을 마련한 [[개혁]] 군주'''들 중 한 명이다. 이 시기 국력을 축적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시기에 이르러 크게 팽창하였으며 [[남북조시대|분열 상태였던 중원 왕조들]]에도 밀리지 않는 [[동아시아]] 최강국으로 떠오르게 된다. == 태자 시절 및 즉위 == 《[[삼국사기]]》에는 그에 대해 신체가 장대하고, 웅대한 지략을 가진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며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sg&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sg_018r_0030_0010&position=-1|#]] 355년 1월에 [[태자]]에 책봉되었는데 이후 활발하게 정사에 개입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340년에 태왕의 명령으로 [[전연]]의 태조 문명제 [[모용황]]을 [[예방#s-2]](禮訪)한 것으로 보이나 소수림왕이 355년에 태자가 된 것을 감안하면 소수림왕과는 다른 인물이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움직임 덕에 군주로서의 정무를 좀 더 일찍 수행할 수 있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그리고 [[전연]]의 침략 이후 고구려의 태자가 [[사신(외교)|사신]]으로 갔다 왔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소수림왕이었는지는 불분명한데 [[고국원왕]]의 [[장남]]이 소수림왕인 것을 보면 그였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에 장남이 사신으로 다녀온 경우도 제법 많았고, 이후 그의 행적을 보면 [[사신(외교)|사신]]으로 다녀오면서 [[전연]] 및 [[전진]]으로 들어오는 각종 [[유교|유]] • [[불교]] 서적을 접하고 그것을 토대로 [[고구려]]의 정치 체제를 [[업그레이드]] 시켰을 가능성이 크다. 즉, [[율령]][* 형법과 행정법] 반포와 [[불교]] 공인, [[태학]] 설립도 이 시절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그러나 [[고국원왕]] 10년에 세자를 사신단으로 보냈다는 기록은 340년인데 그 당시에는 소수림왕이 태어나기도 훨씬 이전이거나 [[갓난아기]]였다. [[관례#s-2]]상 [[성년]]이 되는 나이는 15세이고 그때 즈음에 태자로 책봉되기 때문에 추정컨데 이 사신으로 보내진 세자는 일찍 요절하고 후대에 소수림왕은 세자 혹은 태자로 즉위 했을 것이다. 애초에 [[고국원왕]] 10년에 나온 세자가 15년 후에 나오는 태자 ‘구부’와는 다른 인물일 수 밖에 없고 구부를 소수림왕이라고 [[비정#s-2]]한다면 고국원왕 10년 기록의 세자는 소수림왕의 [[이복형제|이복형]]이거나 [[동복형제|동복형]]일 가능성이 크다. [[371년]] [[10월 23일]], [[고국원왕]]이 [[평양성 전투(371년)|평양성 전투]]에서 백제군이 날린 [[화살]]에 맞고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일각에서는 고국원왕이 부상을 입자 대신 전투를 지휘했을 거라는 의견도 있지만 확실치 않다. 고국원왕이 쓰러졌는데도 [[평양성]]이 함락당하지 않은 것을 보면 소수림왕이 있든 없든 간에 결사 항전이 심하여 [[근초고왕]]이 물러났을 가능성이 크다. === 당시 국제 정세 === 370년 선비족 모용씨의 전연은 [[티베트]]계 저족의 우두머리 부견이 건국한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前秦)에 의해 멸망했다. 전진은 세력을 키운 끝에 [[화북]] 일대를 통일했고, 남쪽의 [[동진]]을 멸망시키기 위해서는 배후를 안전하게 해야 된다는 판단으로 고구려에 제법 유화적인 태도를 취했다. 고구려 입장에서도 전진은 조상들의 원수인 전연을 멸망시킨 나라였고, 일단 자기네 사정도 급한데 화북을 통일한 상태임에도 온건한 자세를 취해오니 [[외교]]로 일단락시킬 수 있었다. [[한성백제]]는 아직까지 [[전성기]]를 이끈 [[근초고왕]]이 건재하게 버티고 있는 상황이었고, 국력 역시 강력한 탓에 함부로 접근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위기에서 '''소수림왕이 선택한 것은 중앙 집권을 강력하게 하는 일환으로 [[불교]], [[유교]], [[율령]]을 통한 내치의 안정'''이었다. === 내정 안정화 === >二年 夏六月 秦王苻 堅 遣使及浮屠順道 送佛像經文。 王遣使廻謝 以貢方物。 立大學 敎育子弟。 >2년 여름 6월에 진(秦)나라 왕 [[부견]](苻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 왕은 사신을 보내 답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대학(大學)을 세우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다. > >三年 始頒律令。 >3년에 율령(律令)을 처음으로 반포하였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최초로 고등 교육 기관인 [[태학]]을 세워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한 교육 체제를 완성시키는 동시에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의 기틀을 바로 잡아 훗날 번영의 초석을 단단히 마련하였다. 일련의 이러한 정책들은 이전의 고구려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문치주의|문치주의(文治主義)]]'''를 표방했던 것으로 법치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며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들이었다.[* 일각에서는 고구려 말기인 [[연개소문]]이 [[대막리지]] 재임 당시에 불교를 탄압하고 [[도교]]를 증진시켰는데 이를 토대로 [[삼국시대]] 때 [[왕권]] 강화가 불교의 중흥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도 있다.] >四年 僧阿道來 >4년에 중 아도(阿道)가 왔다. > >五年 春二月 始創肖門寺 以置順道。 又創伊弗蘭寺 以置阿道。 此海東佛法之始。 >5년 봄 2월에 처음으로 초문사(肖門寺)를 세우고 (그곳에) 순도를 두었다.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세우고 (그곳에) 아도(阿道)를 두었다. 이것은 우리나라 불교의 시작이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고구려 제17대 해미류왕(解味留王)【혹은 소수림왕(小獸林王)이라 한다.】 여름 6월에 진(秦)왕 부견(符堅)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시켜 불상과 경문을 보내었다. 이에 임금과 신하들은 예의를 갖추어 성문까지 나가 맞아들였으며, 정성을 다해 믿고 공경하니 감격과 경사가 널리 퍼졌다. (중략) [[마등]]이 [[후한]]에 들어온 때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인데, 그 뒤 4년(374)에 신승(神僧) 아도(阿道)가 위(魏)에서 들어왔으며【옛 글에 있음.】 처음으로 성문사(省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무르게 하였다. 기록에 말하기를 “성문을 절로 만들었다.”고 하였으니 지금의 흥국사가 그것이며, 뒤에는 잘못 기록하여 초문(肖門)이라 하였다. 또 이불란사(伊佛蘭寺)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였으니, 《고기》(古記)에는 흥복사가 그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해동불교의 시작이다. >---- >'''《[[해동고승전]]》''' 또한 전진의 승려 순도를 통해 불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이렇게 받아들인 불교를 내부를 안정화시키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고국원왕 때 고갈되었던 고구려의 국력은 점차 회복되기 시작했다. 단 5년 만에 흔들리던 나라를 붙잡고, 예전의 모습을 되찾기 시작하자 소수림왕은 백제에 대한 복수를 시도하게 된다. 다만 여러 기록들을 통해 불교는 이미 고구려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소수림왕은 이를 국가적으로 "공인"한 것으로 보인다.[* 각훈(覺訓)이 기록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동진의 고승 지둔(支遁)(314년 ~ 366년)이 고구려 도인(高句麗 道人)에게 축법심(竺法深)이라는 스님의 덕행을 찬양하는 서신을 보낸 기록이 나온다.] [[미천왕]] 때에 멸망시킨 옛 [[낙랑군]]과 [[대방군]] 일대의 중국인들을 통해서 알음알음으로 전해졌을 거라고 한다. 소수림왕이 처음으로 세웠다는 초문사와 이불란사의 위치는 어디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 《해동고승전》에는 지금의 흥국사와 흥복사라고 했는데 이는 [[고려]]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모두 고려 개경에 있었던 사찰의 이름이다. 일연 역시 《[[삼국유사]]》에서 이를 지적하면서 "그때 고구려 수도는 압록강 북쪽에 있었는데 여기까지 와서 절을 세웠을 리가 있냐"며 부정했다. === 백제에 대한 반격 === >五年 秋七月 攻百濟水谷城。 >5년 가을 7월에 백제 수곡성(水谷城)을 공격하였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三十年 秋七月 高句麗來攻北鄙水谷城。 陷之 王遣將拒之 不克。 王又將大擧兵報之 以年荒不果。 >30년 가을 7월, 고구려가 북쪽 변경의 수곡성(水谷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임금이 장수를 보내 방어하게 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했다. 임금이 다시 병사를 크게 동원하여 보복하려 했으나 흉년이 들었기 때문에 실행하지 못했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초고왕]]''' 앞서 서술된 일련의 정책들을 통해 고구려의 국력이 회복되자 소수림왕은 자신감을 갖게 되었는지 마침내 재위 5년만인 375년 7월, [[백제]]와 싸워볼 만하다고 판단하고는 군대를 보내 백제의 수곡성을 공격하여 무너뜨렸다. 갑작스러운 공격을 당한 [[근초고왕]]은 고구려에 반격하려고 했으나 [[흉년]]이 들어 하지 못했다고 하니 소수림왕으로써는 조금이나마 아버지 고국원왕의 원한을 풀 만한 [[복수]]였을 것이다.[* 다만 권근은 "부모의 원수 갚을 생각은 안하고 율령을 반포하고 불사(佛寺)를 창건만 하다가 이제 와서 겨우 수곡성 하나 함락시킨 그것도 복수라고 할 수 있나?"라고 《동국사략》에서 비난했다. 권근이 근본적으로 [[불교]]를 괴력난신으로 보는 유학자임을 감안하긴 해야겠지만.] 1년 후인 376년 [[근구수왕]]이 즉위하자마자 고구려는 백제의 북쪽 변경을 다시 공격했으나 소득을 거두지 못했다. >六年 冬十一月 侵百濟北鄙。 >6년 겨울 11월에 백제의 북쪽 변경을 침략하였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冬十一月 高句麗來侵北鄙 >겨울 11월, 고구려가 북쪽 변경을 침략했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구수왕]]''' 이러한 침략이 거듭 이뤄지자, [[근구수왕]]은 이를 묵과할 수 없었는지 [[고구려]]에 대대적인 역공을 가했다. 30,000명의 병사를 이끌고 두 번째로 [[평양성]]을 향해 진격해 들어간 것이다.[* 백제 역사상 평양성을 직접 본 것이 확실한 왕은 [[근초고왕]]과 [[근구수왕]]뿐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성왕(백제)|성왕]]이 남평양을 점령했다는 글귀가 있어서 성왕 역시 평양을 직접 본 것이 아닌가 하지만 '남평양'은 고구려에서 지금의 서울 일대를 가리키던 표현이었다. 다만 《[[일본서기]]》에서는 한성과 평양을 구분지어 서술하고, 백제, 왜의 연합군이 평양을 치자 고구려왕이 궁의 담을 넘어 도망쳤다라는 기록이 존재한다.] >七年 十一月 南伐百濟。 >7년 11월 백제가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을) 침공해 왔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三年 冬十月 王將兵三萬 侵高句麗平壤城。 >3년 겨울 10월 임금이 병사 3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평양성(平壤城)을 침범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구수왕]]''' 하지만 소수림왕은 이를 막아냈고, 그해 11월에 백제에 대한 역공을 감행했다. 하지만 이 또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백제와 아웅다웅하며 서로에 대한 견제를 시도하는 사이, [[거란|거란족]]이 소규모 침공을 해온 기록이 남아있다. 더군다나 이 시기에 가뭄이 들어 백성들이 서로 잡아 먹을 지경에 이르렀다는 기록도 남아 있어 당시 고구려가 또다시 군사를 일으키긴 힘들어 보인다. 이후 별다른 침공 기록이 없다가 재위 14년째인 384년 11월에 승하하고 소수림(小獸林)에 묻혔다. == 평가 == >고구려가 절체 절명의 위기에서 무릎을 꿇지 않고 다시 일어날수 있었던 그 계기, 그 계기는 소수림왕이 있었기 때문이더라, 소수림왕이야 말로 위기를 극복했던 왕이더라, 라는 이야기 입니다. 개혁군주, 변화의 군주. 나중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5세기는 고구려의 전성기라구요. [[광개토대왕|광개토태왕]], 여러분이 잘 알고 좋아하는 왕의 시기에요. 그런데 광개토태왕에게 꽂히면 안 된다고. 그 광개토태왕이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기 위해서는 정말 (소수림왕의) 뼈를 깎는 변화와 고통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어요. (중략) 소수림왕이 그걸 한 거야. 이 위기에서 무릎꿇지 않고 일으킨 왕이 소수림왕입니다. >---- >[[최태성]] 한국사 강의 중 [[https://youtu.be/16mTIqpA4Do|영상 6:25부터]] 많은 [[한국사]] 책과 [[교과서]]에서는 [[고구려]]의 기틀을 세운 왕으로 무난하게 묘사되지만 자세히 보면 '''나라가 멸망할 위기를 극복한 것 뿐 아니라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한 훌륭한 [[수성(동음이의어)#s-1.3|수성]]형 군주이다.'''[* 물론 한국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역사학과 학생 정도 된다면 [[통일신라]]의 [[신문왕]], [[고려]]의 [[광종(고려)|광종]], [[조선]]의 [[세종(조선)|세종대왕]] 수준으로 수많은 학습 분량을 제공하는 왕이다. 정비한 제도의 숫자만 본다면 세종대왕과 맞먹는 양인데, 세종대왕은 유명하기라도 하지 소수림왕은 제대로 배우기 전까지 몰랐던 경우가 부지기수다.] 기존에 뒤쳐진 체제를 완벽하게 정비해 발전을 모색하는 길을 열어주면서도 본인 세대에서 이미 국력을 회복시켜서 [[전쟁]]을 일으킬 수가 있었다. 대단한 점은 기본적으로 체제가 무너지면 필요한 것이 군사와 자금인데 이 두 가지는 결국 인구수가 뒷받침이 되어 그 후 인재가 나와 주어야 한다. 그러나 소수림왕은 [[백제]]나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 등 고구려보다도 더욱 인구수와 자연 조건이 좋은 나라들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고구려라는 나라를 [[개혁]]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정말 고평가 받을 만한 대단한 업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소수림왕 시대의 고구려와 비슷한 상황이었던 고려 말 [[정도전]]과 같은 급진파 [[신진사대부]]들은 뛰어난 인재들이었지만 개혁을 포기하고 나라를 [[건국]]하는 것을 선택했다. 기존의 것을 뜯어고치는 개혁은 새로운 것을 세우는 [[혁명]]보다도 어렵다는 것이다.[* 당장 고구려 말고도 [[부여|동부여]]도 [[전연]]에게 침략당해 50,000여 명이 포로로 끌려가는 등 엄청난 피해를 입었지만 소수림왕처럼 나라를 부흥시키지 못하고 서서히 쇠퇴해갔다. 이런 두 나라의 격차는 [[광개토대왕]] 시기에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무능한 아버지 [[고국원왕]] 시기에는 할아버지였던 [[미천왕]] 시기의 영광은 어디갔는지 전연에게 털려 수도가 그대로 함락되고, [[왕비]]가 포로가 되었으며 미천왕의 능도 도굴되고 왕마저 백제와의 전쟁에서 전사하는 등 [[흑역사|치욕적이라고 해도 할 말이 없는 시기]]였고, 그대로 나라가 망했어도 이상하지 않았지만 소수림왕은 단 5년만에 국가의 기틀을 잡아 백제를 공격하고 성을 함락시킬 정도로 나라를 재건해내는 실로 대단한 업적을 이룩했던 것이다. 멸망 위기 이후에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게 한 소수림왕의 [[능력]]은 세계사에서도 비교 대상이 거의 없을 정도로 대단했다.[* 한국사에서 찾는다면 [[고려]]의 [[현종(고려)|현종]] 정도. 현종도 [[여요전쟁|거란의 침공]]으로 [[전국]]이 쑥대밭이 되는 와중에 체제를 정비하고 이후에 이어지는 고려의 전성기를 열었다. 다른 나라 역사 중에서는 중국 [[춘추시대]]에 [[오운|오자서]]가 이끌던 [[오(춘추시대)|오나라]]에게 무릎을 꿇었지만 곧장 나라를 강성하게 만들어 냈던 월왕 [[구천]]의 [[월나라]]가 있다.] 그래서인지 광개토대왕보다 소수림왕을 높게 쳐주는 시각도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설민석]]도 [[어쩌다 어른]]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TCBurrokN0c|소수림왕이 없었다면 광개토왕도 없었다]]고 이야기했다. [[고국양왕]]의 형, [[광개토대왕]]의 큰아버지, [[장수왕]]의 큰할아버지로 어떻게 보면 '''6대에 걸쳐 내려온 [[명군]] 혈맥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고구려는 왕복이 꽤나 좋은 나라였는데 당시의 [[라인업]]이 특히 후덜덜했다. 소수림왕 → [[고국양왕]] → [[광개토대왕]] → [[장수왕]] → ~~[[문자명왕]]~~[* 문자명왕의 치세를 들여다보면 이쪽은 '''결코 명군이라 할 수 없다.''' 안장왕이 없었더라면 그대로 나라가 퇴락했을 수준. 말년의 의자왕이나 연산군 같은 폭군은 아니었지만, 최소한 [[암군]]의 반열에 들어가며, 고구려가 남쪽으로 더 진출하지 못하게 만든 원흉이다.] → [[안장왕]][* 보통 [[문자명왕]]까지를 전성기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안장왕]]의 치세 때까지 전성기가 유지되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 오히려 부왕 말기에 있었던 위기를 극복함과 동시에 [[패수 전투]]를 시작으로 혈성, [[오곡원 전투|오곡원]]에서 백제군을 상대로 연전연승을 거둠으로써 한강 이남 지역으로 그들을 몰아냈고 과거 [[후연]]의 수도이기도 했던 [[북위]]의 용성을 침공해 약탈하는 등 활발한 영토 확장을 벌이며 고구려의 국력을 유지시켰다. 양면 [[외교]] 정책도 결실을 맺으면서 [[남북조]]로부터 동시에 고구려 왕에 임명받기도 했다. 본격적인 쇠퇴기는 안장왕 사후 [[안원왕]], 그것도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내분]]이 벌어지는 말엽부터 시작된다.]에 이르기까지 6대 하고 정확히 160년. 이 군주들의 치세 동안 고구려는 전반적으로 내내 상승세를 이어 나가며 전성기를 구가하였고, 개털이 되어 오늘 내일하던 산골짜기 [[막장]] 국가에서 [[동아시아|동북아시아]]의 지역 강국으로 각성하였다. 이 분이 고구려의 기틀을 닦지 않았다면 광개토대왕도 '''‘[[대왕|대왕(大王)]]’'''이라는 칭호를 얻어내기 힘들었을 것이다. 소수림왕은 그야말로 동생 고국양왕과 함께 [[광개토대왕|조카]]의 위업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정치적, 군사적 초석을 탄탄히 다져놓은 셈이었다. 당시 후연과 백제의 침입으로 고구려는 완전히 [[만주]]의 동쪽 산골짜기로 밀려나갔는데, 한반도 북부는 도저히 사람이 살 곳이 안되어 인구도 [[한반도]] 내의 [[백제]]와 [[신라]]에 비해 밀도가 적은 데다가 대부분 산지였다. 이런 암울한 상황에서 소수림왕이라는 [[명군]]이 나타난 것이다. >고구려가 나라를 세운 지 400여 년 만에 처음으로 태학을 세웠으니, 어찌 그리 학교를 세워 교육을 시키는 것이 늦었는가? 지금 왕은 비록 보람 있는 일을 할 만한 자질이나, 중을 받들고 절을 지어서 고구려에서 부처를 믿는 첫 임금이 되어 자손들이 그 허물됨을 본받아서 그 앙화(殃禍)가 널리 퍼짐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었다. 비록 태학을 세웠다 하나 인재를 성취하는 효과(效果)를 거두지 못하였으니, 어찌 학문을 좋아하는 마음이 불교를 좋아하는 데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아니랴! >----- >《[[동사강목]]》 권2하 임신년 신라 내물왕 17년, 고구려 소수림왕 2년, 백제 근초고왕 27년(진 간문제 함안 2, 372)[* 정확히는 최보가 《[[동국통감]]》에서 쓴 사설을 인용한 것이다.] >소수림(小獸林)은 태학을 세워 자제를 가르치니 자못 공업이 있는 듯하였으나, 이단과 사설에 현혹되어 동진(東晋)의 중을 맞아들여 절(佛寺)를 창건하고 받들기를 더욱 삼갔으니, 동한(東韓)에서 부처에 아첨한 최초의 임금이다. >----- >《동사강목》 <도상> -고구려전세도- [[조선시대]]에는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다. [[불교]]를 최초로 도입했기 때문인데, [[숭유억불]]의 시대인 조선시대에서는 [[신라]]의 [[법흥왕]][*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를 공인한 법흥왕 대신, [[묵호자]]에게 상을 내리고 불교를 최초로 긍정적으로 인정하려 한 [[눌지 마립간]]이 대신 불교 삼형제의 일원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물론 불교 같은 간사한 말(邪說)을 끌어들인 만악의 근원, 원흉 취급이므로 좋은 건 절대 아니다.], [[백제]]의 [[침류왕]]과 함께 불교를 들여와 삼한을 어지럽힌 불교 삼형제로 꼽힌다. 사실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조선시대 당대의 역사 인물 평가는 현대와는 다른 점이 아주 많다.[* 예를 들면 [[신라]]의 경우 중대보다 하대 왕들이 대체로 평가가 더 좋다. 물론 어느 역사적 국가든 간에 [[국교]]로 정한 [[종교]]든 학문이든 후세에 갈수록 타락한다는 점은 변함이 없기에 이건 [[조선]]이 [[고려]]를 까기 위해서란 목적이 크다. 근데 모순점은 조선은 말로만 불교를 탄압했지 속으로는 아직도 불교를 믿는 국가이기도 하면서 [[태조(조선)|태조 이성계]]도 말년에는 불교에 종사했다는 거다. 그 외에도 [[세종(조선)|세종]], [[세조(조선)|세조]] 등도 모두 말년에는 불자가 되었다. 왜 이런지는 [[숭유억불]]을 참고하자.]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52&categoryId=49615&cid=49615|《삼국사기》 <소수림왕 본기]]>''' 一年冬十月 소수림왕이 즉위하다 '''二年夏六月 전진에서 불교가 전래되다''' '''二年夏六月 태학을 세우다''' '''三年 율령을 반포하다''' 四年 승려 아도가 오다 五年春二月 초문사와 이불란사 두 사찰을 창건하다 五年秋七月 백제 수곡성을 공격하다 六年冬十一月 백제를 침범하다 七年冬十月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다 七年冬十一月 백제를 정벌하고 전진에 조공하다 八年 가뭄으로 백성이 굶주리다 八年秋九月 거란이 북쪽 변경을 침범하다 十三年秋九月 혜성이 나타나다 十四年冬十一月 소수림왕이 죽다 == 대중매체에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소수림왕/17.jpg|width=100%]]}}} || ||<:> '''[[태왕사신기]]에서의 소수림왕''' || * 2007년 [[MBC]] 드라마 <[[태왕사신기]]>에서는 배우 [[전성환]]이 연기했다. 말년에 [[귀족]]들에게 시달리던 나약한 왕으로 나왔으며 드라마 픽션 인물로 자신의 여동생(연호개의 어머니)이 오빠가 아파 죽겠는데 계속 자기 아들을 왕으로 앉혀달라고 조른다. 그것도 침상에 누운 상태에서 귀에다 속삭이면서 말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21.egloos.com/e0017672_4f3b69d7e25a3.jpg|width=100%]]}}} || ||<:> '''[[근초고왕(드라마)|드라마 근초고왕]]에서의 소수림왕''' || * 2010년 [[KBS]] 드라마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에서는 아역은 [[정윤석]], 성인은 정인우가 연기했다. 시크한 [[외모]]에 냉철하고 명석한 젊은 [[태자]]로 나와 드라마가 각종 문제들로 최악의 혹평과 [[시청률]] 부진을 겪고 있는 와중에도 주인공인 [[백제]] 측 인물들보다 훨씬 [[인기]]를 끌었다. * 2011년 KBS 드라마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에서는 [[스포트라이트]]를 모두 주인공인 [[광개토대왕]](담덕)에게 몰아주려는 의도인듯 생략하여 등장하지 않았다. 소수림왕이 생략되니까 [[고국양왕]]이 대신들에게 밀리는 [[호구(유행어)|호구]]가 되었던 상황. 소수림왕이 나왔었다면 고국양왕의 [[이미지]]가 그렇게 망가지지 않았을 것이다. * [[김진명]]의 소설 《[[고구려(소설)|고구려]]》에서 어머니인 아불정효에게 아버지는 싸우면 뺨을 내주고 싸움을 그만두는 사람이라고 말하며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아버지를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태양을 쫓아가보겠다는 편지만을 남기고 병사 1명과 함께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닌다. 돌아다니면서 부여구, 모용황, 석호를 만나다가 석호로부터 [[고구려]]가 [[모용황]]의 공격을 받고 아버지인 사유가 항복을 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 후 아버지가 있는 고구려로 돌아온다. * 소설 《재조산하》:망국의 태자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한다. * 웹툰 [[삼국전투기]]에서는 비류 전투 편 막바지에 살짝 등장. '''소'''수'''림'''왕이라서 소림승으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고구려 왕실)] [각주] [[분류:384년 사망]][[분류:퉁화시 출신 인물]][[분류:고구려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