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요사)] [목차] == 개요 == 蕭阿古只 (? ~ ?) [[요나라]]의 인물. 자는 살본(撒本)이다. == 생애 == [[태조(요)|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우월(于越)일 때 부터 재주가 뛰어나 소아고지에게 여러 임무를 맡겼다. 야율아보기가 즉위하자 그의 형 [[소적로]](蕭敵魯)와 함께 복심부(腹心部)를 거느려 황제를 숙위하였다. 이후 야율라갈(耶律剌葛)이 반란을 일으키자 순흠황후(淳欽皇后)가 흑산(黑山)의 험준한 지형에서 군사를 두고 수비를 굳게 하고 있었는데 [[태조(요)|태조]]가 해(奚)를 경략 중이였기 때문에 소아고지에게 명하여 기병 1백을 이끌고 황후를 지키게 하였다. 이에 역당 야율질리특(耶律迭里特)과 야율활가(耶律滑哥)는 평소에 그의 용략을 알고 두려워하여 쉽게 공격하지 못하였다. 결국 야율라갈이 북쪽으로 달아나자 소적로와 함께 유하(榆河)로 추격하여 그를 사로잡았다. [[태조(요)|신책]](神冊) 원년, 서남이(西南夷)를 쳐 공을 세우고 산서(山西)의 여러 군현을 돌며 주덕위(周德威)의 군사를 물리쳤다. 신책 3년에는 그 공로로 북부재상(北府宰相)에 임명하고 대대로 그 직을 잇게 하였다. [[태조(요)|천찬]](天贊) 초, [[왕욱(요나라)|왕욱]](王郁)과 함께 연(燕)과 조(趙) 지역을 거쳐 자요진(磁窯鎮)을 격파했다. 그 후 태조가 서쪽을 정벌할 때 모든 남쪽의 일을 그에게 맡겼다. 천찬 4년, [[발해]](渤海)를 정벌할 때 [[부여성]](扶餘城)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홀로 기병 5백을 거느리고 노상(老相)의 3만 군대를 격퇴했다. 얼마 안 가 이미 항복했던 여러 군현들이 다시 항전하자 [[강묵기]](康默記)와 함께 토벌하니 가는 곳 마다 적들이 무너졌다. 반란군이 [[서경압록부|압록부]](鴨淥府)에서 기병 7천을 보내 구원하도록 하였는데 그 기세가 하늘을 찔렀다. 그러나 소아고지가 휘하 정예군을 이끌고 공격하여 단 한 번의 전투로 적 3천을 베고 곧 바로 진군하여 마침내 회발성(回跋城)을 함락시켰다. 이후 얼마 안 가 병사하였다. == 여담 == 어렸을 때 부터 탁월하고 자유분방하였다. 또 날래고 활을 잘 쏘고 용맹하였다고 한다. 형제 관계로 [[소적로]](蕭敵魯)가 있다. [[분류:요나라의 인물]] [[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