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JTBC의 예능, rd1=손없는 날(JTBC))] [include(틀:토막글)] [목차] == 개요 == '''손 없는 날'''은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 한다는 [[악귀]] 또는 악신이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길한 날을 의미한다. 음력 중 끝자리가 9와 0인 날[* 음력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이 손없는 날에 해당한다. [[악귀(드라마)]]에서는 '''무방수날'''이라고 나와서 헷갈릴 수도 있는데 이는 음력 2월 9일, 어떤일을 해도 해가 없는 날로써 손 없는 날의 옛표현이다. == 특징 == [[4자 금기|4층을 F층으로 표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술적인 의미이기 때문에 청년층 이하로는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 개념이지만, 아직도 중장년층 이상으로는 이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이 상당수 있으며 이런 신앙을 가진 사람들은 이사, 결혼, 개업 등 중요한 날을 손없는 날로 정하려 하는 성향이 있다. 이 때문에 손없는 날에 용달을 부르려면 돈이 더 많이 필요하다. 손없는 날에 이사가 집중되기에, 손없는 날에 이사를 가려는 사람들은 이사업체에 웃돈까지 얹어가며 예약을 잡으려고 한다. 다만, [[윤달]]은 예약 경쟁이 덜한 편인데, 윤달 전체가 손없는 날로 취급되는지라 이사 예약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윤달에는 원하는 날짜에 예약을 잡기가 쉽다. == 여담 == 일본에서는 육요(六曜, 로쿠요)[* 선승(先勝, 센쇼), 우인(友引, 토모비키), 선부(先負, 센부), 불멸(佛蔑, 부쓰메쓰), 대안(大安, 타이안), 적구(赤口, 샷쿠)의 6가지. 당나라 때의 점법인 육임신과(六壬神課)가 일본식으로 정착한 것으로, 날짜의 길흉을 셈할 때 사용한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달력에도 육요가 새겨져 있다.] 등을 참고해서 이사에 적합한 길일을 택한다. 대안과 천사일(天赦日), 일립만배(一粒萬倍) 등에 해당하는 날이 이사가기 좋은 날로 꼽힌다. == 같이 보기 == * [[이사]] * [[무속]] * [[달력]] * [[태음력]] * [[신구간]] * [[미신]] [[분류:도시전설]][[분류:점성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