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손연재)] ||
{{{#ffffff '''손연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 [include(틀: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 ---- [include(틀:올해를 빛낸 스포츠선수 1위)] }}} || ||<-2> '''{{{+1 손연재}}}[br]孫延在|Son Yeonj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45333_458393_1416.jpg|width=100%]]}}} || ||<|2> '''출생''' ||[[1994년]] [[5월 28일]] ([age(1994-05-28)]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광진구)|군자동]][br](現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광진구)|군자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밀양 손씨]] (密陽 孫氏)|| || '''학력''' ||[[세종초등학교(서울)|세종초등학교]] {{{-2 (졸업)}}}[br][[광장중학교]] {{{-2 (졸업)}}}[br][[서울세종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학부/교육과학대학|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2 ([[스포츠|스포츠레저학]] / [[학사]])}}} || || '''신체''' ||165cm|52kg|[[AB형]] || || '''직업''' ||[[리듬체조]] 선수 {{{-2 (전 종목 / ^^은퇴^^) }}} || ||<|3> '''가족''' ||부모님[* 외동딸이다.] || ||배우자 이준효^^(1985년생, 2022년 8월 21일 결혼)^^[* 9살 연상의 금융업계 종사자다.][br]자녀^^(2024년 출산 예정)^^[* 2023년 8월 20일, JTBC 뉴스룸 인터뷰에서 최초로 밝혔다. [[https://youtu.be/P-GWUqzZeso|영상]]] || ||반려견 두부^^(말티즈)^^ || || '''소속''' ||[[https://instagram.com/leapstudio_official|리프스튜디오]], [[https://youphoria.co.kr/son|넥스트유포리아]][* 2009년 [[슬로베니아]] 챌린지 주니어 대회에서 우승한 이후 IB스포츠 소속이었지만 [[SM엔터테인먼트]]와 [[갤럭시아SM|IB]]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함에 따라 갤럭시아 SM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이후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826_0010247981&cID=10501&pID=10500|현대중앙기획]]으로 이적했다.] || || '''서명''' ||[[파일:손연재 서명.png|width=30%]] || || '''링크''' ||[[https://youtube.com/channel/UCOqkjNENaEv3VrErgE7P_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cafe.naver.com/duswowkd.cafe|[[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 [[http://cafe.daum.net/sonyeonjae|[[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eonjae0528, 크기=20)] | [[https://facebook.com/sonyeonja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yeonjae_s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리듬체조]] 선수. [[2012 런던 올림픽]] 개인 종합 5위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개인 종합 4위를 기록했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손연재/선수 경력)] == 평가 == === 난도 === 장기는 포에테 피봇이며, 루틴에서도 비중을 많이 두었다. 2014년까지는 벡밴드-애티튜드난도-아라베스크턴-백벤드-아라베스크난도 뿐 아니라 프런트스케일턴-애티튜드에서 퐁세로 이어지는 복합회전 난도들도 선보였으나, 기량이 떨어지자 루틴에서 모두 제외했다. 2010년까지는 백스플릿 턴에서 정수리를 프리렉에 붙여서 도는 기술도 구사했었다. === 음악성 === 클래식, 재즈, 왈츠 음악풍의 OST 음악을 주로 사용했으며 가끔 이국적인 색채의 음악도 선곡했다. 그에 따른 안무와 표정 댄스스텝을 구성했다. 그러나 비트가 강하고 웅장한 음악에는 취약했으며, 리듬감과 박자감도 약한 편이었다. 또한 시즌 도중 난도 조정이나 안무 수정이 잦았으며 어느 시즌 경기를 봐도 시즌 초반과 후반 대회 루틴이 많이 달랐다. === 곤봉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손연재 곤봉 연기.gif|width=100%]]}}}|| 곤봉 2개를 머리 위에 올리고 댄스 스텝을 하거나, 곤봉 1개를 던진 후 곤봉이 떨어질 것 같은 위치에 다른 곤봉을 떨어뜨린 다음 곤봉 2개를 동시에 발로 밟는 기술을 자주 선보였다. 그러나 후자는 실수가 많았고, 2016 시즌 중반에는 아예 빼버렸다. [[2012 런던 올림픽]] 때도 실수가 나온 종목이 곤봉이었다. 곤봉 2개를 던지고 매트 위로 2바퀴를 구른 후, 곤봉을 캐치하는 리스크 난도였다. 하지만 올림픽 결선에서 2개를 다 놓치는 대형 실수가 나왔고, 그 이후엔 곤봉 2개를 던진 후 매트 위로 구르지 않고 3~5회전을 돌고 나서 서서 곤봉을 캐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공을 몸선을 따라서 굴리듯 곤봉을 팔 사이로 가슴선을 따라 굴려서 이동시키는 수구난도 기술도 2011년~2013년까지 구사하였다. 이후에는 어깨와 등선을 따라 곤봉을 굴리는 수구난도로 바꾸었는데, 2013년~2016년까지 구사했다. 그리고 수구를 던지고 발로 받은 후 발등 위로 곤봉을 올리고 위로 차서 곤봉을 잡기도 했는데, 2011~2013년까지 선보였다. 곤봉을 돌리면서 웨이브를 넣기도 했는데, 이는 신체난도로 인정되었다. === 공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손연재 볼 연기.gif|width=100%]]}}} || 공을 높이 던지고 뒤를 돌아보지 않은 채 바닥에서 튕겨나오는 공을 팔과 등 사이로 잡는 기술(블라인드 캐치)을 선보였었다. 리체 팬들 사이에서는 이를 우스갯소리로 '하하 난도'라고 불렀다. [[무한도전]] 손연재 특집에서 손연재의 이 기술을 [[하하(가수)|하하]]가 따라했는데, "이거 웬만한 선수들도 잘 못해요"라는 손연재의 말이 무색하게 한 번의 시도로 성공했기 때문이다. '하하가 할 수 있는 난도'라는 뜻으로 '하하 난도'라고 했다. 2011-2012년도 공 루틴이 동일했는데 똑같이 루틴 마지막에 선보인 수구 난도(마스터리 난도)가 이것이다. [[예브게니야 카나예바]]도 2012년 공 루틴에서 이 난도를 구사했다. 2013년에는 동일한 난도에 공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뒤로 축회전을 하는 동작을 추가하여 오리지널리티 등재를 시도했으나, 결국 등재되지 않았다. 이 난도는 2014년까지 시도했는데 아시안 게임 개인종합과 세계선수권을 포함한 경기에서 몇 번의 실수가 나왔고, 그 이후론 이 난도를 구사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공을 던진 후 팔을 뒤로 올려서 목과 팔 사이로 받아내거나, 공을 던진 후 매트를 구르고 양 다리 사이로 공을 받는 리스크 난도를 구사했다. 팬들은 이를 또 우스갯소리로 '혜빈 난도'라고 불렀는데, 손연재가 주니어 유망주였던 시절 출연한 방송에서 [[전혜빈]]이 한 번의 시도로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는 2016년도 은퇴할 때까지 계속 루틴에서 구사했다. 또한 발등에 공을 올리고 뒤로 물구나무를 서서 공을 움켜쥔 다리를 바꾸는 마스터리 난도를 많이 선보였다. 2012년에는 이 기술에다 다리만을 움직여 공의 위치를 바꾸기도 했다. 이 기술도 2016년까지 계속 구사하였다. 그 외에도 2015년 한정으로 공을 높게 던진 후 다리 사이로 공을 캐치하거나, 프론트 스플릿 밸런스 상태에서 어깨선을 따라 공을 굴리는 난도도 구사하였다. === 리본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손연재 리본.gif|width=100%]]}}}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댄스 스텝 도중 팔꿈치로 리본대를 조작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2015년부터는 오른팔에서 등선을 따라 리본대를 굴리고 리본을 보지 않고 캐치하는 마스터리 난도를 선보였다. 전반적으로 손연재는 피봇에 크게 의존하는 편이었는데[* 2013-2016 쿼터제 자체가 아무래도 피봇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리본 경기를 보면 그다지 안정적이진 못했다. 본래 피봇에 자신이 있을수록 리본이 강한 것이 일반적이나, 리본에서 매듭이 생기거나 몸에 닿는 실수가 종종 있었다. 리본이 워낙 길고 잘 들러붙는 성질이 있다 보니 몸에 감기거나, 매듭이 꼬이거나, 모양이 흐트러지는 일 등이 많이 생겼다. 그리기 자체는 잘했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리본이 몸에 닿거나 매듭이 생기는 실수가 종종 있었다. [[2012 런던 올림픽]] 결선 때도 리본에 매듭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때도 리본이 댄스 스텝 도중 팔에 닿는 실수가 있었다. 2015 세계선수권 종합 결선에선 리본 때문에 곤혹을 치러야 했다. 첫 동작이 부메랑을 응용한 미스터리 난도였는데, 리본대를 못 잡고 떨어트리면서 그 이후로도 계속 리본을 떨어트리는 실수를 거듭했다. 예선전과 종목별 결선에서도 18점대를 무난히 받은 루틴이었는데, 결선에서 순식간에 벌어진 실수에 관중들도 놀란 반응이었다.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도 리본에서 매듭이 거듭 꼬이는 등 2015년은 리본에 운이 없었다. === 후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120141921_anigif22222.gif|width=100%]]}}} || 본인이 가장 자신 있다고 말한 종목이었으며, 현역 시절 후프에서 메달을 종종 따왔다.[* 다만 판정에는 논란이 있었다.] 후프를 높이 던지고 점프하여 후프를 통과하는 기술과, 연속 립을 시도하면서 후프를 발에 걸어 착지함과 동시에 발목 사이로 후프를 돌리는 마스터리 난도를 구사했었다. 곤봉이나 공과 달리 실수없이 무난하게 루틴을 잘 소화해냈다. 후프를 허리에 돌리면서 포에테 피봇과 애티튜드 피봇을 돌았다. 또 팡셰 턴을 할 때는 후프를 목에다 걸고 돌렸다. 리스크로는 후프를 높게 던지고 후프를 통과하면서 수구를 받는 등 후프 조작은 안정적으로 구사했다. 그러나 후프에 강한 선수들인 [[마르가리타 마문]],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안나 리잣디노바]]처럼 관중을 주목할 만한 화려한 기술은 없었다.[* 세 선수는 모두 후프에 오리지널리티를 갖추고 있다.] [[스페인]]의 알무데나 시드[* [[1996 애틀랜타 올림픽]]부터 [[2008 베이징 올림픽]]까지 4번의 올림픽에서 개인종합 결선에 진출한 선수로, 스페인에선 리듬체조의 대가라고 평가받는다.]가 2015년 세계선수권 후프 해설을 진행하면서 '솔직히 그다지 인상적인 루틴은 아니었다. 수구를 던지고 받는 동작에서 몇 가지 부정확한 동작이 있었다. 그러나 리본 경기에서 저지른 큰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심판들은 높은 점수를 줄 것 같다'는 꽤나 독설적인 평가를 했다.[* 실제로 [[이리나 비녜르|비녜르]]의 리듬체조 유착 관계를 잘 아는지 '손연재가 러시아 전지훈련을 받고 있기에 높은 점수를 받는다', '솔직히 실수가 나올 만한 요소가 없는 평이한 루틴이다', '늘 한가지 표현과 연기로 모든 루틴을 수행한다', '[[2012 런던 올림픽]] 이후로 꾸준히 하향세다'라고 말하는 등 손연재를 보고 강도 높은 독설을 했다. 개인의 평가이니 사람들마다 다를 수 있다.] == [[/수상 기록|수상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손연재/수상 기록)] ||
<-3> {{{#white 세계선수권}}} || || 동메달 || 2014 이즈미르 || 후프 || ||<-3>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2014 인천]] || 종합 || || 은메달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4 인천]] || 단체전 || || 동메달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2010 광저우]] || 종합 || ||<-3> {{{#white 아시아선수권}}} || ||<|11> 금메달 ||<|3> 2013 타슈켄트 || 종합 || || 곤봉 || || 후프 || ||<|3> 2015 제천 || 종합 || || 공 || || 후프 || ||<|5> 2016 타슈켄트 || 종합 || || 곤봉 || || 공 || || 리본 || || 후프 || ||<|3> 은메달 ||<|2> 2013 타슈켄트 || 단체전 || || 리본 || ||<|2> 2015 제천 || 단체전 || || 동메달 || 리본 || ||<-3> {{{#white 유니버시아드}}} || ||<|3> 금메달 ||<|3>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2015 광주]] || 종합 || || 공 || || 후프 || ||<|3> 은메달 || [[2013 카잔 하계 유니버시아드|2013 카잔]] || 공 || ||<|2>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2015 광주]] || 곤봉 || || 리본 || == [[/사건 사고|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손연재/사건 사고)] == 방송 출연 == ||
<|99><:> [[파일:마이 리틀 텔레비전 로고.svg|width=70%]] ||<:><-5> {{{+1 [[MBC|[[파일:MBC 로고.svg|width=70]]]] ''' [[마이 리틀 텔레비전|{{{#050099 마이 리틀 텔레비전}}}]] ''' {{{#B2A529 ''' 역대 우승자 ''' }}} }}} ||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31~MLT-35#s-7|{{{#000000 MLT-35}}}]]'''||<:>{{{+1 →}}}||<:> '''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36~MLT-40#s-2|{{{#000000 MLT-36}}}]] ''' ||<:> {{{+1 → }}} ||<:> '''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36~MLT-40#s-3|{{{#000000 MLT-37}}}]] ~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36~MLT-40#s-4|{{{#000000 38}}}]] ''' || ||<:>No. 084[br][[김가연|인실.KIM]][br]No. 085[br][[임요환#s-10.4|콩까남]][br]No. 086[br][[홍진호/방송활동|콩진호]]||<:>{{{+1 →}}}||<:> '''No. 088[br]꿀연재''' ||<:> {{{+1 → }}} ||<:> No. 089 [br][[홍혜걸|허당닥터]][br][[여에스더|옵세닥터]] || ||<:>[[김가연]][br][[임요환#s-10.4|임요환]][br][[홍진호/방송활동|홍진호]]||<:>{{{+1 →}}}||<:> '''손연재''' ||<:> {{{+1 → }}} ||<:> [[홍혜걸]][br][[여에스더]] || * 2007년 《[[여걸 식스]]》에 출연했다. * 2012년 8월 《[[런닝맨]]》에 출연했다. 다만 전술되어 있듯이 국가대표 선발전에 발목 부상을 이유로 불참을 했는데, '달리는 컨셉'의 예능인 런닝맨에 출연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 * 2012년 9월 22일 《[[무한도전]]》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qYizcPqxZTh9u1SVboh2KKNTCclEMfJ|손연재 특집]]에 출연했다. 말하는대로 특집의 연장선에서 무한도전 멤버들에게 리듬체조를 가르쳤다. 2013년 9~10월의 [[무한도전 응원단]] 특집에도 잠깐 얼굴이 비춰졌었다. * 2012년 9월 25일 《[[김승우의 승승장구]]》에 출연했다. * 2014년 11월 3일 《[[힐링캠프]]》에 출연했다. * 2014년 11월 13일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에 출연했다. * 2016년 10월 9일 [[마이 리틀 텔레비전]] MLT-36 마리텔을 촬영했다. 게스트인 [[성소]], [[차오루]]와 함께 리듬체조뿐 아니라 다양한 소재의 방송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결과 1위를 차지했다. * 2016년 11월 7일과 14일 《[[냉장고를 부탁해]]》에 [[차태현]]과 같이 출연하였다. * 2017년 4월 EBS 자연 다큐멘터리 《이것이 야생이다》에 [[김국진]]과 함께 고정으로 출연하였다. * 2017년 《내 방 안내서》에 출연했다. * 2017년 12월 8일 ~ 2018년 1월 19일까지 KBS2 《[[발레교습소 백조클럽]]》에 고정으로 출연하였다. * 2018년부터 KBS [[아시안 게임]] 해설위원을 통해 KBS 리듬체조 해설위원으로 활동중이다. * 2019년 MBC 《[[언니네 쌀롱]]》에 첫 번째 게스트로 출연했다. * 2020년 9월 2일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 출연했다. * 2020년 10월 15일 KBS2 《[[펫 비타민]]》에 반려견 두부와 함께 출연했다. * 2020년 11월 14일 tvN 《[[온앤오프(tvN)|온앤오프]]》에 출연했다. * 2021년 7월 10일 MBC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 2021년 12월 4일, 12월 11일 SBS 《[[편먹고 공치리]]》에 출연했다. * 2022년 3월 4일, 3월 18일 KBS2 《[[편스토랑]]》 에 출연했다. * 2022년 4월 2일 MBC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 2023년 1월 14일 MBC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 2023년 8월 20일 JTBC 《[[JTBC 뉴스룸]]》에 출연했다. == 광고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카트라이더 - 드리프트]] * 오션월드 * LG 휘센 에어컨 * LG U+ LTE8 * [[롯데푸드 파스퇴르|파스퇴르]] 아이스크림 * [[썬키스트]] 훼미리 * 썬키스트 브이 밸런스 * 썬키스트 [[https://youtu.be/JpNZPEuTapQ|강의실 편]] * 헤어댄스 팬틴 * [[미스터 피자]] * 잇츠온 그린키트 * 콘택트렌즈 브랜드 네오이즘 * 커블체어 * FILA S WAVE * 15FW [[노스페이스]] VX 자켓 * 명인제약 메이킨Q * 르꼬끄 골프 * KCC건설 스위첸 * LG전자 초경량 포토 프린터 포켓포토 * KB손해보험 매직카다이렉트 * LG 옵티머스 G * 베스트슬립 [[https://youtu.be/AxlKSIDhros| ]] == 여담 == === 기타 === * [[본인]]이 [[V LIVE]]에서 스포츠인으로서 동경하는 정치인 혹은 정치 정당의 성향은 보수라고 밝혔다. * 스포츠인 중에서 [[미녀]]로도 유명하다. * 매일 아침마다 [[쑥|쑥진액]]을 먹는 루틴이 있다. * [[http://www.doctorw.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413|‘런던올림픽 국가대표 미녀선수’]] 1위에 손연재가 선정됐다. * 현재까지 역대 대한민국 리듬체조 선수들 중에서 올림픽에서 메달순위에 가장 가까웠고 가장 높은 순위(4위)를 기록했으며 아직까지 손연재를 능가하거나 뛰어넘는 선수들이 나오지 않고있다. 불모지에서 정말 여러모로 고생을 많이 했을것이다 * 퍼스널 컬러는 [[주황색]]이다. * 배우자는 연예인이 아니라 명문 대학교를 나온 엄연한 금융업계 [[기업인]]이다. 배우자가 연예인이라는 루머가 돌자 "남편 대졸인데.."[* 연예인들은 중졸, 고졸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35&num=661886&page=14306|초등학교 수준만도 못한 연예인]]들도 많다고 한다.]라며 짜증섞인 반응을 내기도 했다. * [[2010년]] [[http://imgnews.naver.com/image/moneytoday/2010/12/02/2010120209440455380_1.jpg|중학교 졸업사진]]이 화제가 되었다. * [[2012년]] AP통신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2&aid=0002328227|메인 화면]]으로 등장했다. * [[2012년]] [[연세대학교]] 수시모집에 지원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http://sports.media.daum.net/general/news/moresports/breaking/view.html?newsid=20120907153305679|합격했다.]] * 2012 타슈켄트 월드컵 마지막 결선 무대 당시 음악이 시작되자마자 리본이 끊어졌으나, 다행히 [[알리야 가라예바]]가 자신의 리본을 던져주어 경기를 진행할 수 있었다. * 모 체육 관련 서적에 손연재 선수의 어릴 적 모습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0&dirId=10010105&docId=258442007&qb=7IaQ7Jew7J6s&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SJlOtwoRR1VssbLfavVssssssth-328078&sid=HSzpwiMf4Eo8igM45qefTA%3D%3D|수록되었다.]] 책의 구성과 내용으로 보아 중고등학교 체육 교과서로 보인다.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결국 [[2017년]] [[2월 18일]] 공식 은퇴 선언을 했다. 선수 생명이 짧은 [[리듬체조]] 종목 특성상 보통 선수들은 10대 후반~20대 초중반에 은퇴하는 경우가 많은데, 손연재도 많은 이들이 예상한 시점에 은퇴했다고 볼 수 있다.[* 올림픽 이후 터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늘품체조]] 시연회 참석 등의 논란으로 또 한번 비판의 대상이 되어, 그녀의 은퇴 결정은 자의반 타의반이었을 것이라는 [[https://sports.v.daum.net/v/20170220090103165|시각]]도 존재했다.] 이후 방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자신이 처음에 [[러시아]] 노보고르스크 체육관에 전지훈련을 왔을 때 같이 훈련한 동료 선수들이 은퇴하고 다음 세대 선수들과도 같이 훈련을 했다고 한다. * [[2016년]] [[9월 6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KBO 리그/2016년|2016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LG 트윈스]] 경기의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233989&redirect=true|시구자]]로 나섰다. [[2011년]]에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LG 트윈스]]의 홈경기에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573&redirect=true|시구]]를 했다. * [[2017년]] [[6월 14일]] [[디스패치]]에 의해 [[FT아일랜드]]의 리더 [[최종훈(1990)|최종훈]]과 한일 양국에서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11/0003052872|데이트를 하는 모습]]이 포착되어 열애설이 났고, 바로 열애를 [[https://www.dispatch.co.kr/777157|인정했다.]] 이후 [[2017년]] [[8월 1일]] 최종훈의 일본 팬미팅 현장에서 결별 사실이 [[http://www.star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143|알려졌다.]] 이후 2022년 4월 연상의 일반인과의 열애를 인정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첫번째 열애설과 다르게 알려진 정황이나 증거는 없으며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3개월 뒤인 2022년 5월 27일, 8월에 해당 연인과 결혼할 예정이라는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582434|소식]]을 발표했다. * 2020년 [[커블체어]]의 광고모델로 활동했다. * [[안젤리나 다닐로바]]와 절친이다.[[https://www.dailian.co.kr/news/view/629461|#]] * 前 [[서울 삼성 썬더스]] 농구선수 [[천기범]]과 생년월일이 같다. 게다가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스포츠레저학과 13학번 동기이기도 하다. * 2023년 7월, [[세브란스병원]] 어린이병원에 5,000만 원,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에 2,000만 원을 기부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https://www.news1.kr/articles/?5122223|#]] * 2023년 8월 20일, [[JTBC 뉴스룸]]에서 [[임신]] 소식을 전했으며, 최근 어린이 병원에 1억 원이 넘는 돈을 기부한 [[https://news.koreadaily.com/2023/08/20/sports/broadcast/20230820195933227.html|이유]]를 밝혔다.[[https://youtu.be/P-GWUqzZeso|인터뷰]] * 손연재는 "태어날 아이가 만약 딸이라면 리듬체조를 권유하겠느냐"는 인터뷰 질문에 "생각을 많이 해봤는데, 개인적으로는 안 시키고 싶다"라고 답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145480|#]]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에 여타 스타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손연재 갤러리가 존재한다. 네이버와 다음에도 팬 카페가 있지만 회원 수도 5,000명 미만이고 올라오는 게시물 수도 적다. 리듬체조를 사랑하는 사람들 중엔 손연재 팬보다는 안티들이 더 많지만, 리듬체조에 대해 관심도 자체는 높은 편이다. 특히 고난도 기술을 예술적으로 소화하는 다른 국내/해외 선수에 대하여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안나 리잣디노바]]에 대하여 호감을 보여준다.[* 일부는 손연재를 '전갤주(前 갤러리 주인)' 등으로 피휘하여 부른다.] === 악성 댓글 논란과 판례 === 손연재는 운동 선수 중 전례 없이 긴 기간 인터넷 상에서 악성 댓글을 받았다. 1994년 [[황선홍]]을 비롯해 크게 욕을 먹은 운동 선수들이 몇 년 지나면서 비난이 수그러진 반면, 손연재에 관한 악성 댓글은 7~8년을 이어졌다. 악성 댓글의 내용을 요약하면 소속사와 함께 [[김연아]]를 이용하여 [[언론 플레이|언플]]을 하고 김연아의 가치를 깎아내리려고 한 것, [[러시아]] 코치진의 힘을 이용해 대회마다 점수를 실력 이상으로 조작한 것, 정치색이 짙은 행사에 여러 차례 참석 후 수상, 입학 특혜 등 특혜를 받았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2008년]] [[김연아]]와 같은 소속사가 된 이후 '제2의 [[김연아]]'라는 기사가 나왔다. 김연아의 팬들은 손연재가 김연아의 후광을 등에 업고 실력 없이 급하게 인기를 끌려 한다고 비판하였다. 광고 모델도 유사한 데다 2012년 9월, 손연재가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에 지원하면서 김연아 팬들의 비판이 심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리듬체조]] 인프라가 잘 된 곳이 [[세종대학교]]이기에 일반적으로 리듬체조 선수들은 [[서울세종고등학교]]-[[세종대학교]]에 진학하는 편이고, 연세대학교 진학은 이례적이다. [[고려대학교]]([[체육교육과]])의 김연아와 의도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샀다. 손연재를 비판하는 측은 비난의 시작으로 2011년 모스크바 그랑프리 성적 조작 사건을 꼽는다. 시작은 정보를 잘못 기재한 언론이었으며, 이것을 리듬체조 팬들이 지적하면서 일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onyeonjae&no=120113|불거졌다.]] 이 일은 검색 포탈에 손연재의 연관어로 성적 조작이 뜰 만큼 상당히 이슈가 되었다. 비판하는 이들은 "손연재는 실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전하는 대회마다 점수가 높게 나오는데, 이것은 손연재 선수 및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계열 선수들이 속한 [[러시아]] 훈련팀의 코치가 바로 비네르 라인에 속하는 코치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많은 아시아 계열 선수들이 [[러시아]] 훈련에서 이 코치에게 코칭을 받는다.] 이 비네르 라인의 힘을 거스를 수 없기 때문에, 나름 리듬체조에 영향력이 있다고 하는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의 선수들도 어쩔 수 없이 손연재가 자신들보다 높은 등수가 나오는 것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비판은 손연재 선수가 [[김연아]] 선수와 엮인 기사가 나오며 심화되었고, 여러 이해 관계의 안티들이 형성되었다. "리듬체조의 선구자적 역할을 하고 있는 선수를 왜 억지로 낮추냐", "옹호하는 사람들은 리듬체조 점수 분석할 줄은 아느냐", "심판이 매긴 점수가 오랫동안 터무니 없었다면 스포츠계에서 왜 조사가 없냐", "리듬체조계에서 [[러시아]]가 어떤 위상인지 아느냐" 이런 류의 분쟁이 무한 루프를 돌고 있다. 2010년 이후 김연아가 소속사였던 IB 스포츠를 떠나면서 해당 소속사와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자연히 등을 돌리게 된 팬들이 많다. 손연재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팬덤이 약한 손연재가 김연아 안티들의 작용으로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여 손연재가 김연아와 엮이는 것을 무척 싫어한다. 손연재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처음에 손연재와 [[김연아]]를 엮는 것에 무관심하려 했지만 정도가 지나쳤다고 주장한다. [[분류:손연재]]